중세 한국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r2.6.5) (로봇이 바꿈: en: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Middle Korean
44번째 줄:
* '''ㆁ'''([[옛이응]])은 《훈민정음》에 따르면 ㄱ, ㅋ과 함께 아음(어금닛소리)의 불청불탁음으로 되어 있다. 이는 현대 한국어의 끝소리 ㅇ과 같은 [ŋ]음을 냈다. 현대 한국어와 같이 단어의 첫머리에는 올 수 없는 글자였지만, 초성에도 사용되었다는 점이 현대 한국어와는 다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 '''ㆆ'''([[여린히읗]])은 중세 한국어 시기인 [[1465년]], [[원각경언해]]부터 사용되지 않기 시작한 자음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쓰였는데, 주로 고유어보다는 한자어의 정립을 위해 사용된 자음이었다. 고유어에서는 관형사형 어미 -ㄹ 다음에 나오는 자음을 된소리로 발음하라는 기호로 쓰였으며 한자어에서는 [[동국정운]]식 한자음의 영모(影母)자 표기를 위해, [[이영보래]](중국 한자의 -t계 입성 운미가 한국에서 -l로 변화하자 그것을 바로잡기 위해 ㄹ다음에 여린히읗을 표기하는 것)를 위해 썼다.
 
==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