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돌프 불트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이반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 양식비평 ===
[[1941년]], 그는 [[요한복음서]]에 양식비평을 적용하였다. 그 글에서 그는 요한이라는 복음서 저자가 의존하고 있던, 잃어버린 "복음 표적들"(Signs Gospel)<ref>{{인용문|요한복음서에는 7개의 표적(sign)이 나온다. 이것은 다른 복음서에 나오는 기적(miracle)과는 그 기록 목적이 다르다. 다른 복음서의 기적은 능력을 지닌 예수의 행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요한복음서의 표적은 그 행위 자체보다 예수가 하나님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해 불트만은 "표적은 단순한 능력의 과시가 아니라 언어화된 지령, 곧 상징이다."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물이 포도주가 되는 [[가나의 혼인잔치]] 표적은, 유대교의 시대는 가고 기독교의 시대가 오고 있다는 메시지를 상징한다는 것이다. 불트만은 요한복음서의 저자가 입으로 전해져온 예수 이야기(예수 전승)을 참고하여, 요한복음서에 몇 개의 표적을 실었다고 가정하였다.|{{서적 인용|저자=R. Bultmann|제목=The Gospel of John|쪽=p. 114}}|{{서적 인용|저자=김득중|제목=요한의 신학|출판사=컨콜디아사|발행년도=1994|쪽=p. 68}}에서 재인용}}</ref>의 존재를 구분하여 드러내었다. 이 학술논문은 당시 상당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고, [[역사적 예수]]연구에서 하나의 이정표이다. 같은 해에 이루어진 그의 신약성서와 신화 강의는, 신약성서의 메시지를 비신화화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비신화화의 문제는, 해석자들에게 전통적인 신학을 [[마르틴 하이데거]]와 불트만의 동료가 지닌 철학으로 대체할 것을 요청했다. 그것은 현대의 독자들이 예수가 가르친 메시지의 실재에 접근 가능하게 하려는 노력이었다. 불트만은 예수의 삶이 이야기이며, 그 이야기의 구조에서 우리는 그것이 [[희생제사 신학]](offering theology)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믿었다. 그 이야기의 교훈들은 신화의 익숙한 언어로 우리를 가르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들은 배제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가 이해할 수 있도록 주어진 설명이다. 불트만은 신앙이 현재의 실재가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불트만에게, 세계의 사람들은 항상 실망스럽거나 소란스러웠다. 신앙은 의지의 결정된 중대한 행동이어야만 하고, 그것은 "고대의 증거들"을 추려 모으거나 격찬하는 것이 아니다.
 
일부 학자들은, 불트만처럼 복음서 이야기의 역사적인 신뢰도를 의심하는 극단적인 회의주의를 비판한다. 불트만의 모든 영향력은 영어판으로 《[[케리그마와 신화]]》(''Kerygma and Myth'', [[1948년]])가 출판되고 나서야 비로소 발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