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rts project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거문고, 《글로벌 세계 대백과》 참조
2번째 줄:
'''거문고'''는 낮고 중후한 [[소리]]부터 높은 [[소리]]까지 넓은 옥타브의 [[소리]]를 내는 [[한국]]의 전통 [[악기]]이다. '''현금'''(玄琴)이라고도 한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한 악기 분류법 중 사부에 속한다.
 
통나무 통에 명주실 여섯을 매어 술대로 뜯는 악기로, 줄풍류를 비롯하여 가곡반주·[[산조]]에 쓰인다. 소리는 깊고 꿋꿋하며 장중하고 남성적이어서 예로부터 백악지수(百樂之首)라 하여 선비들이 음악의 도를 닦는 그릇으로 소중히 여겨 왔다.
== 유래 ==
[[삼국사기]]에 의하면 [[왕산악]](王山岳)이 [[중국]] 악기인 칠현금(七絃琴)을 개조하여 거문고를 만들었다. 본래 4현 17괘였으나 지금은 6현 16괘로 바뀌었다. 칠현금은 있으나 연주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음을 왕이 슬퍼하자, 왕산악이 그 주법을 바꾸고 100여곡을 작곡하여 바치며 왕 앞에서 연주하니, 이윽고 검은 학이 날아들었다는 전설이 있다. 검은 학이 날아들었다 하여 '현학금'이라 부르다가, '검은(학)고', '거문고'로 불린다는 설과, [[고구려]]의 옛 이름인 '검', '곰'과 현악기를 뜻하는 '고'가 합쳐져 만들어진 말로서 '고구려의 현악기'라는 뜻으로 불린다는 설이 있다.
 
== 명칭 및 유래 ==
{{토막글|한국 문화}}
본래 4현 17괘였으나 지금은 6현 16괘로 바뀌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왕산악]](王山岳)이 [[중국]] 악기인 칠현금(七絃琴)을 개조하여 거문고를 만들었다. 본래 4현 17괘였으나 지금은 6현 16괘로 바뀌었다. 칠현금은 있으나 연주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음을 왕이 슬퍼하자, 왕산악이 그 주법을 바꾸고 100여곡을 작곡하여 바치며 왕 앞에서 연주하니, 이윽고 검은 학이 날아들었다는 전설이 있다것이다. 검은이를 학이 날아들었다 하여 '현학금'이라‘현학금(玄鶴琴)’이라 부르다가, '검은‘검은(학)고'고’, '거문고'로 불린다는 설과, [[고구려]]의 옛 이름인 '검', '곰'과 현악기를 뜻하는 '고'가 합쳐져 만들어진 말로서 '고구려의 현악기'라는 뜻으로 불린다는‘거문고’로 설이불린다고 있다한다.
{{토막글|악기}}
 
진나라 이전 고구려 고분벽화에 거문고 원형으로 보이는 악기가 있으므로 거문고는 그 이전부터 원형이 고구려에 있던 것 같다고 하는 설도 있다. 거문고는 신라에 전해져서 신라인 옥보고(玉寶高)가 지리산에서 50년 동안 수련한 끝에 30곡을 지어 속명득(續明得)에게 전하고 속명득은 귀금선생에게, 귀금선생은 안장(安長)과 청장(淸長)에게, 안장은 극상(克相)과 극종(克宗)에게 가르쳤다고 한다. 극종은 7곡을 짓고, 극종 뒤에는 세상에서 거문고를 하는 이가 많았다고 한다. 왕산악이 지은 백여곡은 곡명도 전해지지 않으며, 옥보고가 지은 상원곡(上院曲)·중원곡(中院曲)·하원곡(下院曲)·남해곡(南海曲) 등 30곡은 이름만 전한다.
 
거문고 명칭이 현학금에서 나왔다는 《삼국사기》 기록과는 별도로, '거문고'는 '검은고'로 고구려금(高句麗琴)이라고 해석하는 설도 있다. [[고구려]]의 옛 이름인 ‘검’, ‘곰’과 현악기를 뜻하는 ‘고’가 합쳐져 만들어진 말로서 ‘고구려의 현악기’라는 뜻으로 불렸다는 것이다.<ref name="글로벌_1">거문고,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특징 및 구조 ==
거문고통의 앞면은 오동나무판, 뒷면은 밤나무판으로 되었다. 통의 길이는 5자 정도, 넓이는 5치(寸) 8푼(分) 정도가 된다. 거문고의 머리쪽을 용두(龍頭, 용의 머리), 꼬리쪽을 봉미(鳳尾, 봉황의 꼬리), 용두의 윗면을 좌단(坐團)이라 한다. 통 위에는 딴딴한 회목(會木)으로 된 16개의 괘가 차례로 열지어 세워져 있다. 용두 좌단과 통 사이에는 현침(絃枕)이 질려 있다.
 
통 앞면 위는 6개의 줄이 용두와 봉미에 매어 있는데, 용두 쪽에는 줄이 뒷면 진괘에 매어져 있다. 줄은 가까운 쪽에서부터 문현(文絃)·유현(遊絃)·대현(大絃)·괘상청·기괘청·무현(武絃)이라 부른다. 유현·대현·괘상청은 괘 위에 얹혀 있고, 문현·기괘청·무현은 안족(雁足)으로 받쳐져 있다. 대현이 가장 굵고 문현·무현이 다음이고 괘상청이 그 다음, 기괘청이 그 다음 가늘고 유현이 가장 가늘다.
 
오른손에 단단한 해죽(海竹)으로 된 술대(匙)를 쥐고 현침 가까이 줄을 내리치거나 거슬러치는데 술대로 앞면 통이 상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부드러운 가죽으로 된 대모(玳瑁)를 통에 덮는다.<ref name="글로벌_1"/>
 
== 연주 및 운지법 ==
왼손은 손가락으로 줄을 눌러 괘를 짚어서 음을 내는데 운지법(運指法)은 다음과 같다. 소지(小指, 새끼손가락)는 문현 위에 붙이고, 무명지는 유현을, 장지는 대현을, 식지(食指)와 엄지는 유현과 대현을 두루 누른다. 거문고 구음법(口音法)은 줄과 누르는 손가락에 따라 정해져 있으며 괘는 바뀌어도 구음은 변하지 않는다. 대현을 장지로 누르면 ‘덩' 대현을 식지로 누르면 ‘둥' 대현을 엄지로 누르면 ‘등' 유현을 무명지로 누르면 ‘당' 유현을 식지로 누르면 ‘동' 유현을 엄지로 누르면 ‘징' 문현을 거쳐 유현의 어느 음을 2박에 걸쳐 탈 때에는 ‘쌀갱' 문현을 거쳐 유현의 어느 음을 한 박 안에서 빠르게 이어 탈 때네는 ‘싸랭' 문현을 거쳐 대현의 정해진 음까지 탈 때 장지로 짚은 음은 ‘슬기덩', 식지로 짚은 음은 ‘슬기둥', 엄지로 짚은 음은 ‘슬기등'이라 부른다.<ref name="글로벌_1"/>
 
== 주석 ==
<references/>
 
== 참고 자료 ==
{{글로벌}}
 
{{한국의 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