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굴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아흔~kowiki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정의문쓰고, 내용 조금 다듬음. 매체->매질
1번째 줄:
천문학에서 '''굴절차'''란 [[대기권]] 안에서 대기권 밖의 별의 관측함에 있어서, 대기권층과 그 바깥의 진공에서의 밀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관측의 오차를 말한다.
'''굴절 (Refraction)'''은 빛이 밀도가 서로 다른 투명한 매체, 즉 공기나 물 속을 통과 할 때 일어나는 현상을 일컫는다. [[광선]]은 [[물리학]]적으로 볼 때 [[빛]]의 파장을 의미하며, 이 파장은 거의 일정한 속도와 폭으로 움직인다. 그러나 빛이 밀도가 서로 다른 매체를 지나갈 경우 파장의 폭과 속도는 매체의 밀도에 비례하여 달라진다. 이를테면 빛이 공기에서 물 속으로 투과될 경우 공기 속에서의 빛의 파장과 물 속에서의 빛의 파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물 속에 있는 대상은 흔히 물 밖에서 관찰하는 우리 눈에 낯설게 보인다. 다시 말해 물 속에 담그어진 막대기가 마치 구부러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빛의 굴절]]이라고 한다.
 
'''굴절[[빛의 굴절]](Refraction)'''은 빛이 밀도가 서로 다른 투명한 매체,[[매질]]간을(예를 들어 공기나공기와속을사이를) 통과 할 때 일어나는 현상을 일컫는다. [[광선]]은 [[물리학]]적으로 볼 때 [[빛]]의 파장을파동을 의미하며, 이 파장은파동은 동일한 매질 안에서 거의 일정한 속도와 폭으로 움직인다. 그러나 빛이 밀도가 서로 다른 매체를매질을 지나갈 경우 파장의파동의 폭과파장과 속도는 매체의매질의 밀도에 비례하여 달라진다. 이를테면 빛이 공기에서 물 속으로 투과될 경우 공기 속에서의 빛의 파장과 물 속에서의 빛의 파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물 속에 있는 대상은 흔히 물 밖에서 관찰하는 우리 눈에 낯설게 보인다. 다시 말해 물 속에 담그어진 막대기가 마치 구부러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현상은 [[빛의 굴절]]이라고에 의한 한다것이다.
 
[[그림:ASTRO5.jpg|right]]
이와 같은 굴절 현상은 역시 천제천체 관측에서 역시 항상 고려해야 해야 할 점이다사항이다. 왜냐하면 대기권 밖의 [[인공위성]]에서의 전체천체 관측을관측(유일한 예로, [[허블 망원경]])을 제외하고 우리의 관측장소는 언제나 지구 내에서안에 한정되어 있으며, 별이 발산한 빛은 밀도가 서로 다른 여러 층으로 된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여 관측자에게 다다르기 때문이다. [[천문학]]에서 문제로 삼는 굴절차란 위에서 설명한 일상 생활에서 경험하는 빛의 굴절 현상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굴절된 빛의 각도를 잡아 빛의 출처인 별의 위치를 밝히는 데에 있다. 쉽게 알아보기 위하여 과장하여 그린 위의 그림에서 우리가 관측하기엔 별은 흰색의 별을 우리는위치에 맨눈으로있는 밤하늘에것처럼 보게되지만생각되지만, 별의 실제의 위치는 이와 약간 다른 지점에 있다. 지구상에서 굴절차를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위치는 북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