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천주교 위주 내용 수정
1번째 줄:
[[Image:Hostia i komunikanty.JPG|thumb|라틴서방 전례기독교 가톨릭교회에서교회에서 성찬전례 때 사용하는 누룩이 들어있지 않은 제병]]
[[Image:Vykrajovatko na hostie.jpg|thumb|제병을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들]]
 
6번째 줄:
[[로마 가톨릭 교회]], [[성공회]], [[루터교회]] 등 서방 교회에서 사용하는 제병은 대개 얇고 둥근 모양에 흰색을 띄고 있다. [[아르메니아 가톨릭교회]]와 [[시리아 말라바르 교회]]와 [[마로니트 교회]]등의 기독교 교회는 동방 교회에 속하지만 누룩이 들어가지 않은 빵을 제병으로 사용한다.
 
옛날부터 동방 교회는 대개 발효시킨 빵을 사용하고 서방 교회는 11세기 이래 발효시키지 않은 빵을 사용해왔다. [[비잔틴 전례]] [[동방 가톨릭교회]]는 [[동방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프로스포라]](동방 정교회의 제대용 빵)라는 누룩이 들어간 빵을 제병으로 사용한다. 서방 교회가 누룩이 들어있지 않은 빵을 제병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최후의 만찬]]에서 누룩 없는 빵이 쓰였던 전통에 따른 것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 교회법 924조에 의하면, 제병으로 사용하는 “빵은 순수한 밀을 재료로 하여, 부패의 위험이 없도록 최근에 제조된 것이어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또 제병은 대제병과 소제병으로 구분된다. 대제병은 주례 사제용이고, 소제병은 신자용이다. 대제병은 [[성반]] 위에, 소제병은 [[성합]] 안에 넣어진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로마 미사 전례 총지침 321항에서는 다음과 같이 권장하고 있다. “성찬례에 쓰이는 빵은 … 백성과 함께 미사를 봉헌하는 사제가 미사 중에 실제로 제병을 여러 조각으로 떼어 나눌 수 있고 나눈 조각들을 적어도 몇 신자들에게 나누어 줄 수 있을 만큼의 크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영성체하는 사람의 수가 많거나 다른 사목적 이유가 있다면 작은 제병을 사용해도 좋다. 사도 시대에 성찬례의 단순한 이름이었던 빵을 나누는 동작은 일치와 사랑의 표지로서 그 힘과 중요성을 더욱 밝히 드러낼 것이다. 곧 형제자매들은 하나의 빵을 서로 나누어 먹으며 하나의 빵 안에서 한 가족을 이룬다.”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사용하는 제병은 대부분 관상수도회인 가르멜 수녀회에서 만들어 전국의 각 본당의 주문량에 따라 공급한다. 제병의 재료는 우리밀이다. 우리밀살리기운동이 시작된 1990년 초부터 수입밀 대신 사용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