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의용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WikitanvirBot (토론 | 기여)
잔글 r2.7.1) (로봇이 더함: eu:Irlandar Boluntarioak
Movses-bot (토론 | 기여)
잔글 Robot: Formatting ISBN
1번째 줄:
[[파일:Warofindep.jpg|섬네일|아일랜드 의용군 기념 석상]]
'''아일랜드 의용군'''({{llang|ga|Óglaigh na hÉireann}}, {{llang|en|Irish Volunteers}})은 1913년 아일랜드의 독립을 위해 결성된 무장 단체이다. [[아일랜드 시민군]]과 함께 1916년 [[부활절 봉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아일랜드 공화국군 (1919년)|아일랜드 공화국군]] 설립의 모체가 되었다.<ref>Durney, James (2004). The Volunteer: Uniforms, Weapons and History of the Irish Republican Army 1913-1997. Gaul House. pp. 5. ISBN 0 -9549180 -7 -X. </ref> 아일랜드 의용군은 1912년 결성된 [[얼스터 의용군]]에 대항하여 조직되었으며 "모든 아일랜드인의 보편적 자유와 권리의 수호"를 천명하였다.<ref>Foy, Michael; Barton, Brian (2004). The Easter Rising. Sutton Publishing. pp. 7-8. ISBN 0 -750 -93433 -6. </ref>
 
아일랜드 의용군에 가담한 주요 단체로는 [[게일어 연맹]], [[히베르니아 고대 기사단]]과 [[신페인]] 등이 있다.<ref>[The 1916 Rising: Personalities and Perspectives http://www.nli.ie/1916/pdf/3.1.5.pdf], 아일랜드 국회도서관</ref>
6번째 줄:
== 결성 ==
=== 배경 ===
1886년 [[영국의 총리]] [[윌리엄 글래드스턴]]에 의해 아일랜드의 [[자치]]를 인정하는 첫 법률이 발효되었으나 [[영국 하원]]에 의해 부결되었다. 7년 후 두 번째 자치 법안이 하원을 통과하였으나 이번엔 [[영국 상원]]이 이를 거부하였다. 1912년 세 번째 자치법안이 영국 하원에 상정되자 아일랜드의 독립을 촉구하는 민족주의 세력과 영국과의 합병 유지를 주장하는 [[아일랜드 합병파|합병파]]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ref name="Gerry">White, Gerry; Brendan O'Shea (2003). Irish Volunteer Soldier 1913-1923. Bill Younghusband. Oxford: Osprey Publishing. pp. 8. ISBN 1 -84176 -685 -2.</ref>
 
1912년 11월 28일 [[벨파스트]]의 [[벨파스트 시청|시청]]에 합병파 25만명이 서명한 자치법안 반대 청원이 접수되었다. 이들 합병파는 자치법안이 가결될 경우 무력 행사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고 1912년 1월 [[얼스터 의용군]]을 결성하였다.<ref name="Gerry"/>
 
=== 발의 ===
아일랜드 의용군의 결성을 발의한 곳은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이었다.<ref>Easter 1916: The Irish Rebellion, Charles Townshend, 2005</ref>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의 회원이자 공화파 청년단체인 [[피너 에이런]]({{llang|ga|Fianna Éireann}}, 아일랜드 협회)를 창립한 [[불머 홉슨]]이 "아일랜드 의용군 결성을 위한 제안"을 기초하였다. 작은 그룹에 불과했던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은 아일랜드 의용군의 결성을 실현하기 위해 다른 민족주의적인 단체들과 협력하였다. <ref name="IRB">The IRB: The Irish Republican Brotherhood from The Land League to Sinn Féin, Owen McGee, Four Courts Press, 2005, ISBN 1 -85182 -972 -5 pg.353-4 </ref>
 
1913년 1월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은 [[더블린]]의 [[아일랜드 전국 포레스터 재단]] 건물에 사무실을 열고 아일랜드 의용군 창설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제식 훈련과 군사 훈련을 시작하였다.<ref>Fitzpatrick, David (2003). "2". Harry Boland's Irish Revolution (2004 ed.). Cork: Cork University Press. pp. 34. ISBN 1 -85918 -386 -7. </ref> 이들은 [[헤리 볼랜드]]의 지휘 아래 피너 에이런, [[켈트 육상 협회]] 등과 함께 행진을 하기도 하였다. <ref name="IRB"/>
 
[[마이클 콜린스 (정치인)|마이클 콜린스]]를 비롯한 여러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의 회원들은 아일랜드 의용군이 영국 정부에 대해 "무릎 반사"와 같은 즉각적인 대응을 취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저 "고참 아일랜드 형제단원의 보충 부대"에 불과하다고 평가하였다.<ref> Collins, Michael (1922). The Path to Freedom. London: Talbot Press Limited. pp. 63. </ref>
22번째 줄: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은 아일랜드 의용군의 상징적인 지휘관으로 형제단의 창립자이자 [[더블린 대학교]]의 교수였던 [[에오윈 맥네일]]을 지명하였다. 1913년 11월 1일 [[오라힐리]]는 [[게일어 연맹]]이 발행하던 신문인 《안 클리어브 솔리쉬》({{llang|ga|An Claidheamh Soluis}}, 빛의 검)에 〈북쪽의 시작〉이라는 기사를 실어 아일랜드 의용군의 설립을 알리고 맥네일을 지지하였다.<ref>Kee, Robert, The Bold Fenian Men, 1976, page 203</ref>
 
1913년 11월 25일 아일랜드 의용군의 공식적인 출범을 알리는 집회가 [[더블린]]의 로툰더 호텔 부근에서 열렸다. 5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출범식에서는 맥네일, [[패트릭 피어스]], 마이클 데이비트와 같은 이들이 연설하였다. 의용군 단원들은 옷깃에 백색 활모양의 상징을 달았다.<ref>White, Gerry; Brendan O'Shea (2003). Irish Volunteer Soldier 1913-1923. Bill Younghusband. Oxford: Osprey Publishing. pp. 9. ISBN 1 -84176 -685 -2.</ref>
 
한편 또 다른 무장 단체인 [[아일랜드 시민군]]이 같은 해 8월 19일 결성되었다. 그러나 당시 이들과 의용군 간에는 별다른 교류가 없었다.<ref name="IRB" />
33번째 줄:
* [[핀 에이런]] 대표: [[콘 콜버트]](IRB), [[에몬 마틴]](IRB), 페트릭 오리언(IRB)
 
위원회가 구성되었을 때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은 30명 가운데 12명이었다. 이후 패트릭 피어스, 조셉 플런컷, 토머스 맥도너가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에 가입하여 형제단은 위원회의 반수를 차지할 수 있었다.<ref>Greaves, C. Desmond (1971). Liam Mellows and the Irish revolution. New Introduction by Gerry Adams (2004 ed.). Belfast & London: In Ireland:An Ghlór Gafa, Belfast. In UK: Lawrence & Wishart, London. pp. 59. ISBN 1 -905007 -01 -9. </ref>
 
1913년 11월 25일 아일랜드 의용군은 선언문을 발표하여 자신들의 목적이 "모든 아일랜드인의 보편적 자유와 권리의 수호"에 있으며 "침략 및 지배"를 부정한다고 밝혔다. 맥네일은 영국의 압제에 맞서는 의용군이 대중적인 지지를 받을 것이라 확신하였다. 그는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무장 봉기를 계획하였다.<ref>F.S.L. Lyons, Ireland Since the Famine Weidenfield and Nicolson, 1971, p.341 </ref>
48번째 줄:
[[제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아일랜드 의용군에서 [[아일랜드 의회당]]이 분리되어 나가자 의용군을 지위하는 위원회는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이 장악하게 되었다. 여전히 아일랜드 의용군의 명목상 대표를 맡고 있던 [[에오윈 멕네일]]은 대중적 지지가 있을 때까지 무장봉기를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 소속의 의용군 지휘부는 이러한 생각에 반대하였다.<ref>Townshend, Charles, Easter 1916: The Irish Rebellion</ref>
 
한편, [[사회주의]]적 성향의 노동운동 세력이 중심이었던 [[아일랜드 시민군]]은 더 이상 봉기가 연기될 경우 독자적으로 무장봉기를 단행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하였다. 200명에 불과한 아일랜드 시민군의 봉기가 실패하면 또 다른 무장봉기의 가능성이 없어질 것이라고 판단한 아일랜드 의용군은 1916년 부활절을 기해 무장봉기를 감행하기로 결정한다.<ref>Neeson, Eoin, Myths from Easter 1916, Aubane Historical Society, Cork, 2007, ISBN 978 -1 -903497 -34 -0 </ref>
 
1916년 [[부활절]] 주간이 되자 아일랜드 의용군은 아일랜드 시민군과 함께 [[더블린]]에서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이들은 중앙우체국을 점령하고 아일랜드 공화국 기를 내걸었다. [[패트릭 피어스]]는 중앙우체국 정문에서 유명한 [[부활절 선언문]]을 낭독하였다. 더블린 시민들의 첫 반응은 그리 열렬한 것이 아니었다. 시민들은 이 사태를 갑작스럽게 여겼으며 일부는 오히려 봉기한 의용군을 비난했다. 그러나 영국군의 무자비한 탄압에 무고한 시민들이 희생되고 [[패트릭 피어스]]를 비롯한 봉기의 주도자들이 처형되자 아일랜드인들은 영국의 잔혹한 처사에 분개하였다. 이들의 희생은 아일랜드인들에게 독립에 대한 각성을 가져왔다.<ref>페트리샤 레비, 이동진 역, 아일랜드, 휘슬러, 2006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