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지식사회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tarry228 (토론 | 기여)
Starry228 (토론 | 기여)
135번째 줄:
 
과학지식사회학은 사회학일뿐 과학적이지 않다는 비판도 있다. 물리학자 데이비드 머민은 콜린스와 린치의 특수상대성 이론에 대한 분석을 읽고 처음에는 그들이 물리학의 지적 권위를 떨어뜨리고 과학자들이 별 다른 인식적 근거 없이 이론을 선택한다고 주장함으로써 과학을 폄하하려 한다고 생각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과학자들은 과학지식사회학자들이 과학의 객관성과 보편성을 무시, 과학의 존재가치를 떨어뜨린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과학지식사회학이 제시하는 근거는 비이성적이고 직관적이라고 반론했다.
----
===참고 문헌===
김경만, 《과학 지식과 사회 이론》, 한길사
데이비드 J. 헤스 저, 김환석 역, 《과학학의 이해》, 당대
고명섭, 《담론의 발견》, 한길사
참여연대 과학기술민주화를위한모임, 《진보의 패러독스 – 과학기술의 민주화를 위하여》, 당대
막스 셸러, 《지식의 형태와 사회 1, 2권》,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로버트 K. 머튼 저, 석현호 역, 《과학사회학》, 민음사
앤드루 웹스터, 김환석 외 1명 역, 《과학기술과 사회》, 한울
위베 바이커 저, 송성수 역,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새물결
데이비드 블루어 저, 김경만 역, 《지식과 사회의 상》, 한길사
이영희, 《과학기술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윤정로, 《과학기술과 한국사회》, 문학과 지성사
송호근, <칼 만하임의 지식사회학 연구>
김환석, <과학사회학이란 무엇인가>, 대한교육 제97호 1999년 01,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