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지식사회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Aydin1884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정리 필요}}
{{dlete|독자연구, 저작권}}
'''과학지식사회학'''(科學知識社會學,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은 과학과 연관된 지식과 학문을 지식사회학적 시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즉 [[자연과학]]을 사회학의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을 일컫는다. 과학지식사회학은 과학지식의 구성에 사회적 요인이 어떻게 개입되었는가를 밝히고, 모든 과학지식은 그 진위 평가와 무관하게 동등한 사회학적 설명이 가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과학을 사회적 요인과는 상관없이 과학 자체의 논리적 합리성에 관련한 것으로만 보았던 전통적인 [[과학철학]]과, 과학지식보다는 과학의 사회적 요인에만 관심을 기울인 기능주의적 과학사회학 모두를 비판하는 것이다.
==정의==
 
셸러와 만하임이 주창한 지식사회학은 철학, 종교, 정치사상만을 대상으로 하고 과학은 사회를 뛰어넘은 절대적인 지식으로 보았다. 이러한 틀을 깬 과학지식사회학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됐는데 데이비드 블로어(David Bloor), 배리 반스(Barry Barnes) 등 에든버러 대학의 과학사회학 그룹이 특히 주축이 되었다. 반스와 블로어의 ‘강한 프로그램’ 이후로 과학지식사회학은 ‘경험적 상대주의 프로그램’, ‘실험실 연구’, ‘행위자 연결망 이론’ 등으로 분파된다.
 
과학사회학과 과학지식사회학을 동일한 것으로 생각하는 이들이 종종 있는데 과학사회학과 과학지식사회학은 다른 시각을 가진 별개의 학문이다. 로버트 머튼(Robert.K.Merton)은 과학에 대한 최초의 사회학적 연구를 시작하면서 ‘과학사회학’을 만들었으며 과학사회의 규범구조와 제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과학사회학은 과학지식 자체에 대한 분석보다는 과학자들의 사회에 대한 분석에 가까웠고 이를 비판하며 등장한 것이 과학지식사회학이다. 앞서 언급한 과학지식사회학이 과학철학과 기능주의적 과학사회학 모두를 비판하며 등장했다는 설명은 이러한 배경을 의미한다.
 
===지식사회학===
과학지식사회학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우선 과학지식사회학의 모체인 지식사회학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지식사회학이란 지식 또는 학문이 사회적 요인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있다는 전제 하에 그것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사회학]]의 한 분야다. 지식사회학에 따르면 지식은 사회로부터 생성된다. 때문에 지식은 반드시 사회적인 맥락 속에서 사회적 요인을 통해 분석되어야 한다. 지식 속에 내포된 사회 요인이 사회에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가를 확인하는 것도 지식사회학의 중요한 목표이다.
줄 7 ⟶ 12:
 
막스 셸러와 칼 만하임은 지식에 대한 마르크스의 사유를 일부 인정하면서도 [[마르크스주의]]에 비판점을 제기했다. 그들은 마르크스가 주목했던 경제적, 계급론적인 시각 이전에 지역, 연령, 성과 같은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에 주목하여 지식사회학 연구를 전개해나갔다.
 
===과학지식사회학===
과학지식사회학(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은 과학과 연관된 지식과 학문을 지식사회학적 시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즉 [[자연과학]]을 사회학의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을 일컫는다. 과학지식사회학은 과학지식의 구성에 사회적 요인이 어떻게 개입되었는가를 밝히고, 모든 과학지식은 그 진위 평가와 무관하게 동등한 사회학적 설명이 가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과학을 사회적 요인과는 상관없이 과학 자체의 논리적 합리성에 관련한 것으로만 보았던 전통적인 [[과학철학]]과, 과학지식보다는 과학의 사회적 요인에만 관심을 기울인 기능주의적 과학사회학 모두를 비판하는 것이다.
 
셸러와 만하임이 주창한 지식사회학은 철학, 종교, 정치사상만을 대상으로 하고 과학은 사회를 뛰어넘은 절대적인 지식으로 보았다. 이러한 틀을 깬 과학지식사회학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됐는데 데이비드 블로어(David Bloor), 배리 반스(Barry Barnes) 등 에든버러 대학의 과학사회학 그룹이 특히 주축이 되었다. 반스와 블로어의 ‘강한 프로그램’ 이후로 과학지식사회학은 ‘경험적 상대주의 프로그램’, ‘실험실 연구’, ‘행위자 연결망 이론’ 등으로 분파된다.
 
과학사회학과 과학지식사회학을 동일한 것으로 생각하는 이들이 종종 있는데 과학사회학과 과학지식사회학은 다른 시각을 가진 별개의 학문이다. 로버트 머튼(Robert.K.Merton)은 과학에 대한 최초의 사회학적 연구를 시작하면서 ‘과학사회학’을 만들었으며 과학사회의 규범구조와 제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과학사회학은 과학지식 자체에 대한 분석보다는 과학자들의 사회에 대한 분석에 가까웠고 이를 비판하며 등장한 것이 과학지식사회학이다. 앞서 언급한 과학지식사회학이 과학철학과 기능주의적 과학사회학 모두를 비판하며 등장했다는 설명은 이러한 배경을 의미한다.
 
==과학지식사회학의 등장배경==
줄 164 ⟶ 162:
 
김환석, <과학사회학이란 무엇인가>, 대한교육 제97호 1999년 01,02월
 
[[분류:사회학]]
[[분류:과학철학]]
[[분류:과학학]]
[[분류:사회구성주의]]
 
[[de:Wissenschaftssoziologie]]
[[en: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
[[fa:جامعه‌شناسی علم]]
[[fr:Sociologie de la connaissance scientifique]]
[[he:סוציולוגיה של הידע המדעי]]
[[ru:Социология научного знания]]
[[uk:Соціологія наукового знанн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