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ipchip Bot (토론 | 기여)
잔글 r2.7.1) (로봇이 더함: ar, bg, ca, cs, de, es, et, eu, fi, fr, he, ja, ms, nl, nn, no, pl, pt, ru, simple, sk, sr, sv, zh
Heidi111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정리 필요}}
{{세계화|대한민국}}
<ref>김동일 외,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 22</ref>특수교육은 특별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게 교육 목표, 방법, 내용을 그들 각각에 맞추어 제공하는 것이다. 특수교육이 행해지기 위해서는 특별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아동 각각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해야하기 때문에 특수교육은 개별화프로그램을 통해 가르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별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아동이라 함은, 일반아동과는 다른 교육적인 배려가 필요한 아동을 의미하는데 장애아동과 영재아동을 포함한다. 하지만 한국에서 특수아동에서의 특수는 대부분 장애를 의미한다. <ref>김동일 외,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34~38</ref>
== 쟁점 ==
특수교육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통합교육과 개별화교육이다. 통합교육은 특수아동의 장애 유형, 발달 수준, 교사와 아동 비율, 일반아동의 준비도, 교사의 훈련 정도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장소의 통합뿐 만 아니라 사회적 통합, 교육과정에서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진정한 통합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특수아동을 받아들이는 일반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 교사, 지역사회의 태도가 중요하다. 그리고 특수아동은 개인에 따라 필요로 하는 교육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개별화교육계획을 통해 각 아동의 장애 특성에 알맞은 적합한 교육목표, 교수방법, 서비스 등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ref>김동일 외,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30~33</ref>
== 한국의 특수교육 ==
한국에서 특수교육의 역사를 살펴보면, 고전적 특수교육기, 근대 특수교육 이식기, 특수학교 설립기, 특수교육 진흥기로 크게 네 가지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고전적 특수교육기에는 한국 최초의 형식적 특수교육기관인 서운관이 설립된 시기이다. 1445년 서운관에서 맹교육을 시작함으로써 한국 특수교육이 시작되었다. 근대 특수교육 이식기에는, 유길준의 ‘서유견문’을 통해 서구의 장애인 교육에 대해 알려지게 되었고 장애인에게도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외국의 선교사들의 선교활동 중에 한국 근대 특수교육이 발전하였는데, 맹교육에 한정되어 있던 특수교육에서 체계적인 농교육까지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특수학교 설립기는 해방 이후에 국립맹아학교, 대구 광명학교 등 특수학교가 설립되었던 시기이다. 하지만 장애아동의 교육 유예를 허락하는 법조항으로 특수교육이 제자리걸음을 하기도 하였다. 후에 특수교육 5개년계획을 수립하여 맹학교 교육과정, 농학교 교육과정, 정신지체 교육과정, 지체부자유 교육과정이 체계화되었다.특수교육 진흥기에는 1977년 특수교육진흥법에 의해 한국의 특수교육이 진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법으로 인해 특수교사 양성기관이 증가하고 국립특수교육원이 설립되었으며 특수교육 정책 전담 부서도 설립되었다. 특수진흥법을 부족한 점을 보안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2007년 제정되어 특수아동에게 통합된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을 실시하는 데 힘쓰고 있다.
== 미국의 특수교육 ==
1975년에 미국에서 장애를 가진 아동과 특수교육 요구아동에게 적절한 무료 공교육을 하기 위해 전장애아교육법을 제정하였고 현재 장애인교육법(IDEA)이라 불린다. 전쟁애아교육법은 모든 장애아동들이 그들의 독특한 요구에 맞게 고안된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를 무료 공교육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장애아동과 부모 또는 보호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며 교육의 효율성을 확인하고 평가하도록 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전장애아교육법은 장애아동 교육에 관한 여섯 가지 원리를 제시하는데 이는 완전수용(zero reject), 비차별적 평가(nondiscriminatory evaluation), 개별화교육 프로그램(IEP)과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free,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FAPE), 최소제한환경(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적법절차(due process), 부모 참여(parental participation) 이다. 1990년에 IDEA로 명칭이 바뀌면서는 전환교육계획,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평가와 긍정적 행동지원의 내용이 추가되었다.
<ref>김동일 외,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2010,23~24</ref>
 
== 주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