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Uoyylno (토론 | 기여)
Uoyylno (토론 | 기여)
60번째 줄:
제어 시스템의 장애로 생기는 손해액이 매우 큰 경우도 있으며, 생명을 잃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일부 스카다 시스템의 하드웨어는 기온, 진동, 전압 변동 등에 대해 높은 내구력을 갖도록 설계되며, 극도로 중요한 시스템에 대해서는 복수의 완전한 제어 센터를 가지게 되는 수준으로 예비 하드웨어와 통신 채널을 구성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인다. 장애가 일어날 경우 빠르게 해당 위치가 파악되며, 해당 기능은 백업 하드웨어 쪽으로 자동으로 인계되며, 장애가 일어난 부분을 전체 공정을 멈추지 않고도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런 시스템의 안정성은 통계적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평균 고장 간격]]({{llang|en|Mean time between failures}})의 변형인 [[평균 고장 시간]]({{llang|en|Mean time between failure}})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고 안정 시스템의 평균 고장 시간은 수 백년 단위에 이른다.
 
===통신 환경 및 방법===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methods===
스카다 시스템은 유선과 무선 통신을 모두 이용해왔고, [[동기식 광통신망]]({{llang|en|Synchronous Optical Networking, SONET/SDH}})도 철도나 발전소처럼 대규모의 시스템에 많이 사용되었다. 스카다 시스템의 원격 관리나 감시 기능을 [[원격측정법]]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일부 유저들은 스카다 데이터를 미리 구축해놓은 사내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다른 응용프로그램과 해당 망을 공유하기도 한다. 과거의 저속망에 적합한 프로토콜이 여전히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SCADA systems have traditionally used combinations of radio and direct wired connections, although [[Synchronous optical networking|SONET / SDH]] is also frequently used for large systems such as railways and power stations. The remote management or monitoring function of a SCADA system is often referred to as [[telemetry]]. Some users want SCADA data to travel over their pre-established corporate networks or to share the network with other applications. The legacy of the early low-bandwidth protocols remains, though.
 
스카다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가볍게 동작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된다. 마스터 스테이션이 RTU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려 할 때에만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가 많다. 널리 사용되는 구형 프로토콜로는 [[모드버스]] RTU, RP-570, 프로파이버스({{llang|en|Profibus}}), 코니텔({{llang|en|Conitel}}) 등이 있다. 이 통신 프로토콜들은 모두 스카다 공급사에 의존적인 형태이긴 하지만, 지금까지 널리 보급되고 사용되었다. 표준 프로토콜로는 IEC 60870-5-101 또는 104, IEC 61850, [[DNP3]] 등이 있다. 이 프로토콜들은 모든 유명 스카다 공급사들에 의해 지원되고 표준화되었다. 한편, 현재 이 프로토콜들의 대부분은 [[TCP/IP]]를 지원하기 위한 확장 기능도 갖추고 있다.
SCADA protocols are designed to be very compact. Many are designed to send information only when the master station polls the RTU. Typical legacy SCADA protocols include [[Modbus]] RTU, [[RP-570]], [[Profibus]] and Conitel. These communication protocols are all SCADA-vendor specific but are widely adopted and used. Standard protocols are [[IEC 60870-5|IEC 60870-5-101 or 104]], [[IEC 61850]] and [[DNP3]]. These communication protocols are standardized and recognized by all major SCADA vendors. Many of these protocols now contain extensions to operate over [[TCP/IP]].
 
한편, 보안 측면에서는 외부로부터의 공격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스카다 시스템을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현재 상하수도 설비 등 여러 현장에서는 관리 목적으로 [[셀 (이동 통신)|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고 최종 소비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등의 목적으로 인터넷 포털과 연동을 해오고 있다. 이 때 무선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인터넷으로 전달되기 전에 암호화된다.
Although some believe it is good [[security engineering]] practice to avoid connecting SCADA systems to the [[Internet]] so the [[attack surface]] is reduced, many industries, such as wastewater collection and water distribution, have used existing cellular networks to monitor their infrastructure along with internet portals for end-user data delivery and modification. Cellular network data is encrypted befor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With최근, increasing[[미국]]의 security[[북미 demands전기 (신뢰성 such as [[협회]]({{llang|en|North American Electric Reliability Corporation]], (NERC}}) and [[critical주요 infrastructure기반시설 protection보호]] (CIP){{llang|en|Critical inInfrastructure theProtection, USCIP}}), there등의 is예처럼 increasing보안의 use중요성이 of증가함에 satellite-based따라, communication.위성 통신을 This사용하는 has경우도 the늘어나고 key있다. advantages that경우의 the장점은 infrastructure독립적인 can통신 be기반시설을 self갖출 contained (not있다는 using것, circuits(즉 from공중 the전화망을 public이용하지 telephone system않음), can자체적인 have암호화 built-in기법을 encryption,사용할 and can있다는 be것, engineered신뢰성과 to가용성을 the스카다 availability시스템 and운용자가 reliability원하는 required만큼 by갖출 the SCADA있다는 system operator것이다. 과거 Earlier일반 experiences소비자 using consumer-grade등급의 [[Very-small-aperture초소형 terminal|VSAT위성 기지국]] were이용한 poor시도는 결과가 좋지 않았다. Modern최근의 carrier[[캐리어 등급]]({{llang|en|Carrier-classgrade}})을 systems만족하는 provide시스템은 the스카다가 quality필요로 of하는 service수준의 required성능을 for제공하고 SCADA있다. <ref>[http://www.elp.com/index/display/article-display/5666163079/articles/utility-automation-engineering-td/volume-16/issue-8/features/demystifying-satellite-for-the-smart-grid-four-common-misconceptions.html] {{llang|en|Demystifying Satellite for the Smart Grid: Four Common Misconceptions}} </ref>
 
RTU 및 기타 자동 제어 장치들은 상호 운용 가능성에 대한 산업 표준의 시대가 도래하기 전에 개발되었다. 이때문에 개발자와 관리자들은 수많은 제어 프로토콜을 만들어내게 되었다. 대형 업체들 역시 고객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만의 고유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공정 제어를 위한 OLE]]({{llang|en|OLE for Process Control, OPC}}) 프로토콜이 각종 하드웨어, 소프트웨어간의 통신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산업망과의 연동을 고려하지 않은 장치끼리도 상호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RTUs and other automatic controller devices were developed before the advent of industry wide standards for interoperability. The result is that developers and their management created a multitude of control protocols. Among the larger vendors, there was also the incentive to create their own protocol to "lock in" their customer base. A [[list of automation protocols]] is being compiled here.
 
Recently, OLE for process control ([[OLE for process control|OPC]]) has become a widely accepted solution for intercommunicating different hardware and software, allowing communication even between devices originally not intended to be part of an industrial network.
 
==SCADA archite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