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GrouchoBot (토론 | 기여)
잔글 r2.6.4) (로봇이 더함: dsb:Wumarłe mórjo
잔글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사해로 인해 이스라엘과 요르단은 세계 8대 가성칼륨 생산국이 될 수 있었다. 비록 작은 나라지만, 캐나다와 러시아보다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다른 국가들의 광산들은 지하 광산에서 채굴되는 반면, 이곳에서는 바다에서 직접 채굴한다. 펌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하에서 채굴하는것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지하 1000미터 아래서 시추하는 것보다 지상에서 작업하는 것이 안전하기도 하다.가성칼륨의 채굴이 이곳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다른 원료의 채굴과 함께 가성칼륨의 채굴도 계속 확대되고 있다.<ref name="키즈"/>
 
반건조 지역인 요르단강은 요르단 최대 담수원이다. 요르단강 유역은 특히 요르단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지역이다. 요르단 인구의 75%가 이곳에 집중되집중되어 있고 농업도 이 지역에서 생산된다. 문제는 이곳에서 생산되는 멜론, 바나나, 토마토 등이 많은 물을 소비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고성능 시설의 부족으로 낭비되는 물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엔 물 부족에 따라 많은 농업인들이 생산 방식을 바꾸었고 오늘날에는 물을 절약하는 방식 첨적주입 방식과, 온실 재배를 하는 경우도 늘고있다. 현재 요르단강 유역에만 약 6만개의 온실이 있다. 물을 적게 소비하는 공중 재배가 유행하고 있는 것이다. 대취야재의 경우 1톤을 재배하는데 1000세제곱미터의 물이 필요하지만, 토마토는 이보다 두배 이상이 들어간다.<ref name="키즈"/>
 
또한 사해 부근에는 [[천연 가스]]가 매장된 것이 확인되어, 향후에 가스 개발이 계획되고 있다.<ref name="키즈"/>
33번째 줄:
== 문제 ==
[[파일:Dead sea german.jpg|thumb|right|250px|사해 위성사진]]
몇십년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거대한 호수를 이루었던 사해는 현재 두 부위로 나뉘어있다나뉘어 있다. 북부는 넓고 수심도 깊은 반면, 남부는 소금 생산을 위한 염전이 조성되어 있다. 사해가 이렇게 두 구역으로 나뉘게 된건 해수면 하강 때문인데, 최근에는 매년 1미터씩 해수면이 낮아지고 있어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그래서 운하를 만들어 북쪽의 물이 남쪽으로 흐르도록 만든 것이다. 그 때문에 사해에 있는 관광단지는 몇년 전까지만 해도 해수면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사해가 계속 증발애 지금은 2킬로미터의 거리나 되어 버스를 타고 이동해야 하며 현재도 계속 거리가 벌어지고 있다.<ref name="키즈"/>
 
사해의 해수면이 낮아지는것은 위성 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해수면의 하강은 [[이스라엘]]건국([[1948년]]) 이후, 농업의 확산에 따라, 요르단강 상류에 대규모 관개 사업이 시행되어 농업과 인구가 증가하게 된 것이 주요 원인이다. 1950년대 이스라엘은 토지를 관계하고, 4개 사막에 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갈릴리 호수에 댐과 운하를 건설했다. 이와 동시에 이웃 국가인 요르단도 요르단강에 주요 지류에서부터 운하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농업과 인구 증가가 이루어지며 해수면 하강은 가속화됐다. 요르단강 주변에 증가한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정부는 여러개의 댐을 건설했다. 동시에 이스라엘도 역시 댐을 건설해나갔다. 이로 인해 1960대만 해도 13억톤의 물을 공급하던 요르단강은 2000년 들어서 2억9000만 세제곱미터의 물밖에 공급하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비정부기구의 추산치에 따르면 광산업체들이 사해에 끌어쓰는 물의 양이 연간 3억톤에 이르기 때문에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으면 50년 이내에 사해는 곧 사라질지도 모른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2&aid=0000095858 死海, 죽기전에 살리자”] 세계일보 2005년 5월 9일</ref> 그러나, 요르단강과 그 지역으로부터 취수량을 줄임으로써 사해 해수면의 하강을 늦출 수 있다. 사해 해수면이 낮아지면 주변 토지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물 부족에 시달리는 이 지역에서는 상당히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ref name="키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