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섭 (언론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 생애 ==
[[1919년]] [[보성고등학교 (서울)|보성중학교]]를 졸업했다. [[1926년]] [[프랑스]] [[파리 대학교]] 문과를 졸업했고 1926년같은 해 7월 17일 귀국했다.<ref name="동아일보"></ref> [[1927년]] [[신간회]]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같은 해에 [[중외일보]] 논설위원으로 발탁되었다. 1927년 7월 2일 세계 일주를 떠났으며 같은 해 7월 2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최린]]과 합류했다.<ref name="신문과 방송">{{서적 인용
|저자=정진석
|제목=신문과 방송
10번째 줄:
|장=현대사 속의 언론-중외일보 필화 사건
|꺾쇠표=예
}}</ref>
}}</ref> 1927년 10월 8일 《중외일보》에 〈세계 일주 기행 - 조선에서 조선으로〉를 연재하기 시작했지만 [[1928년]] [[2월 27일]] 《중외일보》에 실린 [[아일랜드]] 기행문 필화 사건(당시 조선총독부에서는 이정섭이 쓴 아일랜드 기행문이 독립운동을 고취했다며 문제삼았음)에 연루되어 중외일보 주필 [[이상협 (1893년)|이상협]]과 함께 보안법 및 신문지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고 1928년 3월 1일 연재가 중단되고 만다.<ref name="신문과 방송"></ref> 1928년 4월 4일 경성지방법원으로부터 징역 6개월을 선고받았지만 1928년 11월 2일 경성복심법원으로부터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ref> 1927년 10월 8일 《중외일보》에 〈세계 일주 기행 - 조선에서 조선으로〉를 연재하기 시작했지만 [[1928년]] [[2월 27일]] 《중외일보》에 실린 [[아일랜드]] 기행문 필화 사건(당시 조선총독부에서는 이정섭이 쓴 아일랜드 기행문이 독립운동을 고취했다며 문제삼았음)에 연루되어 중외일보 주필 [[이상협 (1893년)|이상협]]과 함께 보안법 및 신문지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고 1928년 3월 1일 연재가 중단되고 만다.<ref name="신문과 방송"></ref> 1928년 4월 4일 경성지방법원으로부터 징역 6개월을 선고받았지만 1928년 11월 2일 경성복심법원으로부터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1932년]] [[조선일보]] 정치부장으로 임명되었고 [[1933년]] [[11월 6일]] [[시중회]] 간사로 선임되었다. [[1938년]] 2월 [[미나미 지로]] 조선총독과 가진 회견에서 일본 제국의 [[내선일체]] 방법론 가운데 하나로 이른바 민중단일당 건설을 제안했는데 그가 구상한 민중단일당은 군, 관, 민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이들을 일체로 만들고 조선을 총지배하는 단일조직이었다. 이 회견은 1938년 5월에 발행된 잡지 《[[삼천리 (일제 강점기의 잡지)|삼천리]]》에 〈총독회견기〉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1938년]] [[5월 2일]] [[경성방송국|경성중앙방송국]] 방송부 제2방송과 직원으로 입사했고 [[1939년]] 《재만조선인통신》에 내선일체를 찬양하는 논설을 기고했다.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에 [[삼국 동맹 조약]] 체결과 [[태평양 전쟁]], [[대동아공영권]]을 찬양하는 논설을 기고했으며 [[1941년]] 11월 조선방송협회 제2방송부 보도과장과 기획과장으로 선임되었다.
 
[[1932년]] [[조선일보]] 정치부장으로 임명되었고 [[1933년]] [[11월 6일]] [[시중회]] 간사로 선임되었다. [[1938년]] 2월 [[미나미 지로]] 조선총독과 가진 회견에서 일본 제국의 [[내선일체]] 방법론 가운데 하나로 이른바 민중단일당 건설을 제안했는데 그가 구상한 민중단일당은 군, 관, 민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이들을 일체로 만들고 조선을 총지배하는 단일조직이었다. 이 회견은 1938년 5월에 발행된 잡지 《[[삼천리 (일제 강점기의 잡지)|삼천리]]》에 〈총독회견기〉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1938년]] [[5월 2일]] [[경성방송국|경성중앙방송국]] 방송부 제2방송과 직원으로 입사했고 [[1939년]] 《재만조선인통신》에 내선일체를 찬양하는 논설을 기고했다.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에 [[삼국 동맹 조약]] 체결과 [[태평양 전쟁]], [[대동아공영권]]을 찬양하는 논설을 기고했으며 [[1941년]] 11월 조선방송협회 제2방송부 보도과장과 기획과장으로 선임되었다.
[[1941년]] [[9월 7일]] [[임전대책협의회]] 채권가두유격대 명치정대에 참가했으며 [[1941년]] [[10월 22일]] [[조선임전보국단]] 평의원, [[1945년]] [[6월 9일]] [[조선언론보국회]] 평의원으로 각각 선임되었다. [[1945년]] [[6월 14일]] 조선언론보국회 주최로 열린 언론총진격대회 연사로 활동했다. 광복 이후인 [[1945년]] [[9월 15일]]부터 [[1948년]] [[10월 7일]] 대한민국 정부의 방송 국영화 조치로 해체될 때까지 조선방송협회([[한국방송공사]]의 전신) 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 전쟁]] 때인 [[1950년]] [[7월 17일]] 납북되었다.
 
[[1938년]] [[5월 2일]] [[경성방송국|경성중앙방송국]] 방송부 제2방송과 직원으로 입사했고 [[1939년]] 《재만조선인통신》에 내선일체를 찬양하는 논설을 기고했다.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에 [[삼국 동맹 조약]] 체결과 [[태평양 전쟁]], [[대동아공영권]]을 찬양하는 논설을 기고했으며 [[1941년]] 11월 조선방송협회 제2방송부 보도과장과 기획과장으로 선임되었다. 1941년 9월 7일 [[임전대책협의회]] 채권가두유격대 명치정대에 참가했으며 [[1941년]] [[10월 22일]] [[조선임전보국단]] 평의원, [[1945년]] [[6월 9일]] [[조선언론보국회]] 평의원으로 각각 선임되었다. [[1945년]] [[6월 14일]] 조선언론보국회 주최로 열린 언론총진격대회 연사로 활동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언론/출판 부문과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4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광복 이후인 [[1945년]] [[9월 15일]]부터 [[1948년]] [[10월 7일]] 대한민국 정부의 방송 국영화 조치로 해체될 때까지 조선방송협회([[한국방송공사]]의 전신) 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 전쟁]] 때인 [[1950년]] [[7월 17일]] 납북되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언론/출판 부문과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4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 주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