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훅: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Wjdghalf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그림 = 13 Portrait of Robert Hooke.JPG
|그림 크기 = 180px
|그림 설명 = 로버트 훅의 상상화훅(상상). 훅의 초상화는 한 점도 남아있지 않다.
|태어난 날 = [[그레고리력]] [[1635년]] [[7월 18일]]
|태어난 곳 = 영국, 프레쉬워터
23번째 줄:
'''로버트 훅'''(Robert Hooke, [[왕립 학회|FRS]], [[1635년]] [[7월 18일]]~[[1703년]] [[3월 3일]])은 [[영국]]의 자연 철학자이며, [[과학 혁명]]기에 이론과 실험 양면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자 [[박물학자]], 그리고 자연철학자이다.
 
로버트 훅은 영국을[[영국]]을 대표하는 과학자 중에 한 명으로, 현대 현미경학의 기본 본질이 되는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를 출판하였으며 [[세포]](cell) 이란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사람이다. 그리고 용수철과[[용수철]]과 같은 탄성체의 복원력과[[복원력]]과 변형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훅의 법칙]]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는 현미경을[[현미경]]을 사용하여 화석을[[화석]]을 관찰하고 초기 [[진화론]]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화학에[[화학]]에 있어서는 [[로버트 보일]]의 [[진공펌프]] 제작에 관여하여 [[보일의 법칙]] 발견에 일조하기도 하였으며 연소에[[연소]]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그레고리안그레고리안식 망원경을[[망원경]]을 제작하여 화성과[[화성]]과 금성을[[금성]]을 관찰하기도 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건축학에[[건축학]]에 있어서도 관여하였는데, [[런던 대화재]] 이후 도시 재건을 위한 설계사의 수장을 지냈다고 한다. [[빛]]의 [[굴절]] 현상을 관찰하여 [[물질파|빛의 파동성]] 이론을 지지하였고, 뉴턴의 고리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또한 공기가 다른 물질에 비해 구성 요소 간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의 소립자들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라 추측하였다. 또한 로버트 훅은 [[중력]]의 작용이 [[거꿀제곱법칙|역제곱법칙]]을 따를 것이라 추론하였는데, 이는 후에 [[아이작 뉴턴]]에 의해 중력의 법칙으로 증명되었다.
 
훅은 [[1662년]] [[왕립 학회]]([[Royal Society]])의 회원이 되었으며 그의 다재 다능한 능력은 많은 왕립 학회 회원들의 실험에 도움을 주었으며 한편으로는 [[왕립학회]]를 신사들의 잡담장소에서 과학자 사회의 원형으로 탈바꿈시키는 데 많은 기여를 한 사교적인 과학자였다.
30번째 줄:
{| class="wikitable"
|-
| '''1635년''' || 7월 18일 와이트 섬의 프레쉬워터(Freshwater)에서 조그만 교구의 목사 존 훅(Rev John Hooke의Hooke)의 아들로 출생하게된다. 그는 유년기를 교회에서 보냈으나 종종 두통을 비롯한 병을 앓았다. 장난감들을 가지고 놀기를 좋아했다.
|-
| '''1648년''' || 10월 아버지 Rev John Hooke이 자살한다. 로버트 훅은 화가 Peter Lely의 제자가 되어 런던으로 이주하게 되고 [[웨스터민스터]](Westminster) 공립학교에 입한다.
93번째 줄:
=== 출생 및 유년기 ===
훅의 생애는 1696년 발간된 그의 자서전을 통하여 알려져 있으나 기록이 정확하지는 않다.
<br/>로버트 훅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죽기 7년 전인 1635년 7월 18일에 영국의 프레시워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존 훅은 와이트 섬의 프레시워터에 있는 올세인트 교회의 목사보였다목사였다. 목사보였던따라서 아버지를훅의 중심으로 그의 가정은가정환경은 부유함과는 거리가 있는 집안이었다있었다. 로버트 훅의가족관계로는, 형제는형제가 둘이 있었으며 그들은 바로 1628년에 태어난 캐서린과 1630년에 태어난 존이었다. 로버트의 형 존은 뉴포트에서 식료품 상인이 되었으나 46세의 나이로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된다. 그의로버트 훅의 형인 존 훅의 딸이자 로버트 훅의 조카인 그레이스는 로버트 훅의훅과 결혼하는 등 나중 삶에 지대한 역할을 끼치기도 한다.
<br/>로버트 훅은 살아나기 힘들 정도로 병약하였고 태어나 7년동안 우유와 유제품들을 달고 살았다고 한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점점 살 수 있는 확률이가능성이 높아지자 그의 아버지는 훅이 직업을 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가르쳤다. 그러나 로버트 훅의 만성적인 건강 악화로 교육은 별 효과가 없었으며, 훅은 줄곧 연장 곁에서 살기를 좋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모형을 만드는 일과 그림을 그리는 일에 재능을 보였다. 그러던 어느 날, 프레시워터에 어떤 직업화가가 찾아왔고 그 화가를 보던 로버트 훅은 자신도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얻게 된다. 난생 처음 그림을 그려보고그려보고는 그림들을 닥치는 대로 배끼기 시작하였으며 직업화가가 되겠다는 꿈을 갖기도 한다. 그러던 중 아버지 존 훅이 숨을 거두게 되고 로버트 훅은 유산을 가지고 도제생활을 하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심한 물감 냄새 때문이었는지, 그는 화가를 포기하게 되고 남은 돈을 웨스트민스터 공립학교의 수업료로 내게 된다. 이 학교에서 그는 그보다 세 살 많은 [[크리스토퍼 렌]](Christopher Wren)을 만나게 된다.
<ref name="G과학사">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과학 p198 - p250, John Gribbin</ref>
 
=== 성년기 ===
훅은 가난했기 때문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유한 학부생의 고용인으로 일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장비를 제작하고 실험을 하는데 능숙했던 로버트 훅은 [[옥스포드 대학의대학]]의 많은 과학자들에게 인기있는 조수로 인정받게 된다. 그리고그에 따라서 훅은 [[로버트 보일]]의 조교가 된다. 또한 훅은 옥스포드의 천문학 교수인 세스 워드(Seth Ward. 개량된 망원경 가늠자를 발명한 것으로 알려짐)의 천문학 연구를 거들도 있었으며 1650년대 중반에는 천문학적 시간 측정용 시계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해 냈다. 또한 균형잡힌 스프링으로 조정되는 회중시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기도 하였다. 훅은 1662년 왕립학회에 마련된 자리를 위해 옥스포드를 떠나게 된다. 하지만 보일 등의 여러 사람의 조교로 근무한 것을 인정받아 1663년 석사학위가 수여되게 된다. 또한 1664년 5월 그래샴 대학의 기학학 교수후보로 선정되기도 하며 실제로 1665년 그 자리를 꿰차기도 하였다.
<ref name="G과학사"></ref>
 
=== 중년기 및 말년기 ===
로버트 훅은 중년기에는 능력있는 건축설계사로 널리 인정받았다. 그는 1666년의 [[런던 대화재의대화재]]의 재건 감독관으로 임명되었다. 이것은 그의 뛰어난 기술적 능력 뿐 아니라, 행정적이고 고위관리로서의 리더십도 탁월하였음을 말해 준다. 로버트 훅은 런던의 많은 건축물들을 설계하였는데, 왕립학회의 의과대학동 (1679년 완공)을 포함해 베들레헴 병원(Bethlehem Hospital), Raving Mania 상까지 세웠다. 그는 크리스토퍼 워렌(Christopher Wren)경과 그리니치 천문대(Greenwich Observatory)의 설계를 맡았다. 런던 밖에도 훅이 설계한 건축물들이 세워졌다. 대표적으로 윌렌 교회(Willen Church)가 버킹햄쉬어(Buckinghamshire)에, Ragley Hall이 Warwickshire에 건립되었다.
로버트 훅은 중년기에 많은 과학자들과 발견의 우선권을 두고 다툼을 겪게 되었다. 이로써 그의 명예에 다소 손상이 가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1672년 아이작 뉴턴(Newton)과의 광학에 대한 발견 우선권 논쟁이 있고, 1686년에는 동일한 사람과뉴턴과 중력에 대한 역제곱 법칙의 우선권 논쟁에 휘말렸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Christiaan Huyghens)와는 Spring regulator의 발견 우선권에 대해서 논쟁하였다.
1696년 그의 인생이 말년기에 접어들면서 그의 건강은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로버트 훅은 다양한 질환을 동시에 겪었다; Swollen legs, 가슴 통증(Chest pains), 현기증(Dizziness), 쇠약(Emaciation), 시력 저하증(Blindess). 이 같은 질병들의 근원은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병이었을당뇨병의 합병증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질병으로 인해 고통스러운 삶을 살던 그는 결국 1703년 3월 3일에 런던에서, 그레샴 대학의 자신의 연구소에서 유언장을 남기지 않고 사망한다. 또한 훅의 무덤은 19세기에 런던으로 이장되었으나 현재는 정확히 어디에 안치되어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
<ref name="Robert Hooke">http://www.rod.beavon.clara.net/robert_hooke.htm</ref>
<ref name="로버트훅닷컴"></ref>
=== 왕립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