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교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r2.7.3) (로봇이 바꿈: eu:Vajrayāna; 예쁘게 바꿈
1번째 줄:
{{다른 뜻|밀교|[[불교]]의 종파로서의 밀교 또는 금강승|<br />{{pad|1.8em}}동양과 [[서양의 밀교|서양]]의 밀교(密敎)적 또는 비교(秘敎)적 가르침 전반}}
{{불교}}
 
12번째 줄:
밀교는 중국 [[원나라]] 때도 전파되어 오늘날 밀교를 가장 많이 신앙하는 지역은 [[티베트]]와 [[몽골]]이다.
 
== 성립 연대 ==
{{불교 전통 연표}}
 
18번째 줄:
인도는 본래 다신교의 나라였다. 불교가 성립되기 이전에 이미 [[브라만교|바라문교]](婆羅門敎)의 제신(諸神)을 숭배하였으며, 재앙을 막고 복을 받기 위한 요가수행과 성구(聖句)·[[만트라]](眞言)의 구송(口誦), 불 속에 물건을 던져넣으면서 하는 여러 종류의 기원 따위가 행해지고 있었다. 노력에 의하여 정각(正覺)에 이를 것을 이상으로 하는 불타의 가르침은 이들과는 배치되는 것이었으나 꽤 오래 전부터 불교 속에 바라문교의 여러 신들이 수호신으로서 받아들여졌고 또 수호주(守護呪) 따위가 독송되고 있었다. 7세기에 들어와서 화엄경(華嚴經) 등 대승불교의 경전을 기반으로 하여 바라문교와 기타 민간종교의 주법(呪法)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밀교가 성립되었다. 밀교라 함은 다라니나 만트라를 욈으로써 마음을 통일하여 정각에 이르고자 하는 실천적인 가르침이며 그 심오한 경지는 외부에서 들여다보아서는 알 수가 없다는 비밀교라는 뜻의 약칭이다. 여기에는 범신론적인 불타관은 나타나지 않고 [[만다라]](曼茶羅)와, 외우면 영험을 얻게 된다는 [[다라니]](陀羅尼), 식재(息災)·조복(調伏)·증익(增益)을 위한 호마법(護摩法) 등 제법(諸法)의 채용이 그 특색이다.<ref name="글로벌-밀교의 대두">[[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역사#밀교의 대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밀교의 대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 인도의 밀교 ==
[[원시불교]]에서는 금지되어 있었던 세속적인 주술(呪術)이나 비의(秘儀)가 차차 [[인도 불교]] 속에 침투되었는데, 특히 [[재가신자]](在家信者)를 중심으로 해서 일어난 [[대승불교]]에는 그 경향이 강하여 [[대승경전]] 속에 [[다라니]]라고 부르는 [[주문]](呪文)이 있으며 후일 이것이 하나의 독립된 경전이 되었다.<ref name="글로벌-인도의밀교">[[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분파#밀교_2|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인도불교의 부파와 학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34번째 줄:
굽타 왕조(270∼470년경)를 중심으로 하여 최성기를 맞았던 대승불교는 뒤이어 고원(高遠)한 학문과 사상체계로 이론화되어 종교로서 민중으로부터 멀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밀교는 민중의 현실적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었으나 힌두교적 색채가 강해짐에 따라서 불교 본래의 모습은 희박해지고 다시 좌도화(左道化)되어 타락의 길을 걸음으로써 당시 이슬람 세력에 대항하고 있던 인도 제왕(諸王)의 민족의식과 결부되어 부흥기에 있었던 전통 바라문교-힌두교 앞에서 후퇴를 당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에 있었다. 특히 12세기말부터 13세기초에 걸쳐 배타적 일신주의를 내건 이슬람 세력이 침입하여 불교의 중심지였던 비하르지 방을 점령하고 밀교의 본거지였던 비크라마시라 사원을 비롯하여 많은 불교사원을 파괴하고 많은 승려를 죽였다. 이렇게 하여 불교는 내외적으로 쇠퇴가 촉진되어 인도 땅에서 쇠망하게 되었다. 오늘날 아샘이나 벵골 지방에서 소수의 불교도가 잔존해 있으며 또한 일부에서는 부흥운동도 일어나고 있다.<ref name="글로벌-밀교의 대두"/>
 
== 중국의 밀교 ==
[[수나라|수]][[당나라|당]]시대(隋唐時代)의 종파 불교에서 마지막을 장식하는 것이 인도 밀교(密敎)의 중국 전래이다.<ref name="글로벌-중국의밀교">[[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분파#밀교_3|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43번째 줄:
[[만다라]](曼茶羅)의 염송(念誦), [[다라니]]의 독송(讀誦), [[가지기도]](加持祈禱) 등 독자적인 수법(修法)을 행하는 밀교는 중국으로의 전래 당시부터 [[당나라]] 조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져 국가종교적 색채가 짙었으며 후에는 민간에도 유행했다.<ref name="글로벌-중국의밀교"/> [[당나라]] 말기에는 [[당 무종|무종]](武宗)의 [[폐불]](廢佛)로 큰 타격을 받아 민간신앙에 동화했으나 밀교가 지니는 의례나 기도는 중국의 다른 불교 종파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ref name="글로벌-중국의밀교"/>
 
== 한국의 밀교 ==
{{본문|진언종#한국의 진언종}}
 
52번째 줄:
[[명랑]]과 [[밀본]] 이후 [[혜통]](惠通: fl. 7세기)은 당에서 인도 밀교승 [[선무외]](善無畏: 637-735)에게 밀교 교의를 배운 다음 [[문무왕]] 5년(665)에 귀국하여 크게 교풍(敎風)을 일으켰으며, 후대에서는 [[혜통]]은 해동 [[진언종]](眞言宗)의 조사로 삼았다.<ref name="글로벌-밀교의 전래"/>
 
== 일본의 밀교 ==
{{본문|진언종#일본의 진언종}}
 
59번째 줄:
일본의 [[진언종]]은 밀교를 불교의 최고 진리라 천명하고 [[즉신성불]](卽身成佛)의 사상을 강조하였다.<ref name="글로벌-일본의 진언종"/> 종교의 실천적인 면에서 일본의 진언종은 밀교의 방법을 더욱 중시한다.<ref name="글로벌-일본의 진언종"/> 또 "국가의 안정을 수호"하며 "재앙을 없애고 복을 쌓는 것"을 경서를 읽고 불사에 종사하는 목적으로 간주하였다.<ref name="글로벌-일본의 진언종"/>
 
== 티베트의 밀교 ==
{{본문|티베트 불교}}
 
69번째 줄:
* [[진언종]]
 
== 주석 ==
<references/>
 
97번째 줄:
[[es:Vajrayāna]]
[[et:Vadžrajaana]]
[[eu:VajrayanaVajrayāna]]
[[fa:وجره‌یانه]]
[[fi:Vajray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