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방위군 사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파일:이승만 신성모 윤보선.jpg‎|썸네일|200px|[[이승만]], [[신성모]], [[윤보선]](1949년 3.1절 기념식장에서)<br>(사건 직후 윤보선은 이승만에게 신성모와 김윤근 등의 처벌을 건의했으나 오히려 공산주의자들의 농간이라는 대답을 듣고 이승만과 결별한다.)]]
 
'''국민방위군 사건'''(國民防衛軍 事件)은 [[한국전쟁]]중 [[1951년]] [[1월]] [[1·4 후퇴]]때 제2국민병으로 편성된 국민방위군 고위 장교들이 국고금과 군수물자를 부정처분하여 착복함으로써 12월~2월사이에 국민방위군으로 징집된 이들 가운데 아사자, 동사자가 약 9만에서 12만여 명에 이르렀던 사건을 말한다.
 
중공군의 한국전쟁 개입으로 인해 예비병력 확충에 어려움을 겪자, 중공군 및 조선인민군에 대항하고자 제2 국민병을 편성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국민방위군이다. 최초에 [[대동청년단]] 단장 [[김윤근]]을 육군 준장에 임명한 뒤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추가로 병력을 모집하였다. 부사령관에는 [[중국]] 독립운동가 출신 [[윤익헌]]이 대령으로 특별 임명된 뒤 보직되었다. 그러나, 국민방위군에게 군수보급, 물자를 지급해야할것을 고급 장교들이나 간부들이 이를 부정 착복, 횡령하여 수많은 국민방위군으로 징집된 이들이 아사하거나 동사하는 사태가 속출하였다.
 
[[1951년]] 봄이 돼서야 이 사건이 국회(당시 부산)에서 폭로되어 드러남으로써, 이 사건으로 [[신성모]](申性模)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장관이 물러났다. 국민방위군 사건이 진상규명되는 과정에서 국방장관 [[신성모]]를 비롯한 [[이승만 정권]]에 의해 진상규명이 방해받는것을 지켜보았던 [[부통령]] [[이시영]](李始榮)은 [[제1공화국]] 정부에 크게 실망감을 느껴 이에 반발하여 사표를 제출하였다. 또한 야당 내에서 [[이승만]]에게 호의적이었던 [[한민당]]과 [[민주국민당 (1949년)|민국당]]계 인사 [[조병옥]], [[윤보선]], [[김성수 (1891년)|김성수]] 등이 [[이승만 정권]]에 등을 돌리게 된다.
 
이 사건에 관련된 국민방위군 간부들은 [[군사재판]](당시 [[군법회의]])에 회부되었다. 그 결과 사령관 [[김윤근]](金潤根), 부사령관 [[윤익헌]](尹益憲), 보급과장 [[박기환]] 등 5명에게는 [[사형]]이 언도되어, [[1951년]] [[8월 12일]] 야산에서 [[총살형]]이 집행되었다. 그러나 국민방위군 사건을 계기로 군입대 기피현상 증가 및 [[이승만]] 내각의 신뢰도는 급격히 실추하게 된다.
 
==개요==
22번째 줄:
 
[[1950년]] [[12월 21일]] ‘국민방위군 설치법’이 공포되었고, 당시 국방부 장관 [[신성모]]는 우익단체인 ‘대한청년단’단장 [[김윤근]]을 준장으로 임관시키고 국민방위군 사령관으로 임명한다. 최소한의 기간요원만이 현역에서 차출되었고, 방위군 지휘관 대부분은 주로 청년단 출신들로 충원되었는데,불과 몇 개월 사이에 소집된 국민방위군 중 [[서울]]에 모여든 방위군 숫자만 무려 50만여 명에 이르는 병력을 모으긴 했으나, 중국군의 대공세로 또다시 서울을 빼앗기게 된 정부는 방위군 장병들을 [[대구]]·[[부산]] 등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게한다.
 
사령관 [[김윤근]]은 [[지청천]] 등이 물러난 뒤 우익청년단체인 [[대한청년단]]의 단장이었으며 당시 국방부 장관 [[신성모]]의 사위였다.
 
부사령관 [[윤익헌]]은 독립운동가 출신이었다.<ref name="yunik00">유영익, 한국과 6.25전쟁 (연세대학교출판부, 2002) 100페이지</ref> [[윤익헌]]은 [[중국]]에서 독립운동에 종사한 후 귀국하여 청년 운동에 투신하여 각종 청년단체의 총무부장을 역임하였다.<ref name="yunik00"/> 그가 때때로 명분이 분명치 않게 돈을 쓴다는 의심을 받으면서도 각종 청년단체의 총무부장을 역임한 이유는 "돈을 만들어 내는데 그와 맞먹는 사람을 도저히 찾을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ref name="yunik00"/>"라는 시각도 있다.
 
[[윤익헌]]은 [[경기도]] [[용인군]] 출신으로, [[경성제일고보]]를 동맹휴학 사건으로 중퇴, [[중국]]에서 [[황포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지청천]] 장군 밑에서 독립운동에 종사했다. 해방 후에는 광복청년회, 대동청년단, 한청 등에서 총무국장직을 역임했고, [[김윤근]]과는 [[대동청년단]] 시절부터 함께 일했다.<ref name="yunik00"/>
 
=== 죽음의 행렬과 고위간부들 예산 유용 ===
줄 70 ⟶ 76:
 
[[파일:국민방위군 사령관 총살형.jpg|썸네일|300px|right|국민방위군 사령관 외 5명 총살집행순간]]
국회는 [[1951년]] [[4월 30일]] 국민방위군의 해체를 결의하였고, 이와 관련된 부정착복한 국민방위군 고위간부들은 군법회의에 회부되었다. 그 해 [[7월 19일]] 중앙고등군법회의는 사령관 김윤근, 부사령관 윤익헌 이하 5명에게 사형을 언도하였으며, [[8월 12일]] 야산에서 [[김윤근]], [[윤익헌]], [[강석한]], [[박창언]], [[박기환]] 등에 대한 공개총살형이 집행되었다.
 
당시 국회에서는 이들이 착복한 막대한 자금이 정치권세력, 특히 이승만지지 세력에 흘러들어간 정황증거를 포착하고 있었지만, 이들이 너무 일찍 처형되는 바람에 결국 숱한 의문을 남긴 채 사건은 종결된다.
줄 108 ⟶ 114:
== 바깥 고리 ==
*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cd=&d=&k=&inqr=&indme=&p=1&q=%B1%B9%B9%CE%B9%E6%C0%A7%B1%BA+%BB%E7%B0%C7&masterno=22027&contentno=22027 국민방위군사건|國民防衛軍事件]
* [http://cnbnews.com/category/read.html?bcode=23883 국방부, '국민방위군' 희생자 56년만에 '순직' 인정] 씨앤비뉴스 2007.10.30
* [http://kilsp.jinbo.net/publish/2001/010618.htm 거지 중의 상거지, 해골들의 행진]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45922&yy=2006 <nowiki>[</nowiki>정영진의 대구이야기<nowiki>]</nowiki> (42)국민방위군 사건의 종결] 매일신문
*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gid=523808&cid=307136&iid=252154&oid=055&aid=0000189104&ptype=011 국민방위군 산과 들에 몰래 '매장'…60년만에 밝혀낸 진실 SBS 2010-09-0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568853 진실화해위 `국민방위군' 직권조사]
줄 117 ⟶ 125:
== 같이보기 ==
{{Col-begin}}
{{Col-23}}
* [[제1공화국]]
* [[6.25 전쟁]]
줄 127 ⟶ 135:
* [[대한민국의 국방부]]
* [[신성모]]
{{Col-23}}
* [[김윤근]]
* [[대동청년단]]
* [[대한청년단]]
* [[지청천]]
* [[윤익헌]]
{{Col-2}}
* [[강석한]]
* [[박창언]]
* [[박기환]]
* [[이기붕]]
{{Col-3}}
* [[이승만]]
* [[이철승]]
줄 140 ⟶ 154:
* [[이시영]]
{{Col-end}}
 
== 관련 서적 ==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50년대편 1(인물과 사상사, 2006)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50년대편 2(인물과 사상사, 2006)
* 유영익, 한국과 6.25전쟁 (연세대학교출판부, 2002)
 
{{한국 전쟁}}
줄 152 ⟶ 171:
[[분류:조병옥]]
[[분류:윤보선]]
[[분류:대한민국의 군사]]
[[분류:부패]]
[[분류:폭력]]
 
[[en:National Defense Corps Inci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