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체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전사체학'''(轉寫體學)은 발현된 RNA의 총체를 연구하는 [[체학]]의 한 분야이다. [[단백체학]], [[유전체학]], [[상호작용체학]]등과 같이 1990년대 이후에 각광받기 시작한 생정보학의 한 분야이기도 하다. 발현된 단백질의 총합인 단백체와 함께, [[Expressome]]을 형성한다. 이 두가지를 합한 연구학문을 [[발현체학]]이라고 한다. 전사체학과 발현체학은 유전체학에 기능연구를 추가하는 가장 데이터 양이 많은 분야로서 [[기능유전체학]]의 중요 분야이다.
 
'''== 역사적 배경''' ==
전사체학을 간단히 표현하면, DNA칩을 이용한 정보생산과 그것을 분석하는 생정보학 또는 생명정보학이라고 볼 수 있으며, 1995년 경 아피메트릭스와 스태포드의 팻브라운의 cDNA 마이크로어레이 실험법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급성장한 체학의 한 분야이다. 그러나, 실제적인 원천기술은 블랏팅을 개발한 영국의 사던(Southern)이 가지고 있다.
 
1990년대 말에는 그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나서, 생정보학의 핵심부분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이 당시, 많은 양에 비하여 생산된 데이터의 질이 떨어져서 많은 생명과학자로부터 실험 데이터의 신빙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증가했다.
 
'''== 전사체학 데이터베이스''' ==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는 NCBI의 GEO, EBI의 Arrayexpress 등이 있다. 최초의 체계적인 전사체학분석은 하바드 의대의 조지 쳐치 연구소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생정보학 전문기관인 EBI와 NCBI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
 
'''== 서열해독을 통한 전사체연구''' ==
2005년경부터 개발된 차세대서열 해독기의 등장으로 기존의 마이크로어레이를 대체한 서열해독을 이용한 RNA-seq과 같은 방법이 2010년 현재 전사체를 해독하는 주 방법이 되었다.
 
== 같이 보기 ==
* [[전사체]]
 
==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