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oePeu.bot (토론 | 기여)
잔글 robot Adding: ja:郷札
죽암 (토론 | 기여)
상세 기술
1번째 줄:
'''향찰'''(鄕札)은 [[신라한자]] 시대의,의한 [[한자한국어]] 빌려표기법의 하나이다. 주로 [[한국어향가]] 적던표기에 방식이다.사용되었으며 [[향가고대 한국어]]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서 중요한 많이위치를 쓰였다차지한다.
 
== 개요 ==
한문을 주로 하는 글에서 토로 쓰던 부분에 한정된 [[이두]](吏讀)는 향찰에서 분화·독립된 것이므로 이 둘을 구별해야 한다는 견해와, 이를 같은 것으로 보는 학자가 있다. 이 둘을 구별해서 볼 때, 한국어 전부를 이 방식으로 적은 [[향가]]식(鄕歌式) 표기법이 향찰이다. 그러므로 이두는 생략해도 한문이 그대로 남아 이해할 수 있으나, 향찰의 경우는 향찰을 없애면 문장 전체가 없어진다. 향찰로 표기된 문장은 한문이 아니고 모두 한국어이기 때문이다.
향찰은 한자의 음(소리)과 훈(뜻)을 이용하여 한국어를 표기했다. 한문 해석을 위한 보조 문자인 [[구결]]과는 달리, 향찰은 그것 자체로 한국어 문장을 완벽하게 표기할 수 있다.
 
향찰 자료는 지극히 한정되어 있어 향가 25수가 주된 자료이다. 그 내역은 “[[삼국유사]]”(1281년)에 수록된 [[신라]] 시대 향가 14수, “균여전”(1075년)에 수록된 [[고려]] 시대 향가 11수이다. 그 이외에 [[고려 예종]]의 ‘도이장가(悼二將歌)’ 1수,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1236년)에 나타나는 약 이름과 같은 것도 향찰의 자료가 될 수 있다.
 
표기에 사용되는 한자는 훈독자(뜻을 빌려 읽는 한자)와 음독자(한자음을 빌려 읽는 한자)가 있다. 일반적으로 체언, 용언 어간과 같이 단어의 실질적 부분은 훈독자가 사용되며 [[조사 (품사)|조사]]나 어미 등 단어의 문법적 의미를 맡는 부분은 음독자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吾衣’(나의)는 ‘吾’가 훈독자, ‘衣’가 음독자이다. 훈독자 ‘吾’는 그 한자음 ‘오’와는 관계 없이 ‘나’라는 뜻을 나타내며, 음독자 ‘衣’는 ‘옷’이라는 뜻과는 상관 없이 ‘의’라는 소리를 나타낸다(여기서는 속격 조사로서 씀). ‘夜音’(밤)은 ‘夜’가 훈독자이며 ‘音’이 ‘밤’의 끝소리 ‘ㅁ’을 나타내는 음독자이다. 이와 같이 단어의 끝소리를 음독자로 표시하는 것을 ‘말음 표기’라 한다.
 
== 해독상의 어려움 ==
 
향찰의 훈독자는 그것이 실제로 어떻게 읽혀졌는지 정확히 알기가 어렵다. 가령 ‘春’이라는 훈독자가 있으면 이것이 ‘봄’이란 뜻을 나타냄은 분명하지만 ‘春’이 현대 한국어나 중세 한국어처럼 ‘봄’이라는 소리로 발음되었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증명할 수 없다. 훈독자는 이와 같은 불확실함이 항상 달라 붙는다. 따라서 위의 ‘夜音’처럼 말음 표기가 되어 어형의 일부가 밝혀지는 등 어형에 관해 어떤 암시가 없으면 그 독음을 확정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향찰의 표기법은 불확실한 요소가 많기 때문에 그 어형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국어사와 한자음에 관한 깊은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조심스럽게 추정해야 한다.
 
== 향찰의 예 ==
 
李基文(1998)을 기초로 하여 향가 ‘처용가’의 서두 부분의 해석예를 제시한다. 1.은 향찰, 2.는 해석예이다.
 
#東京明期月良夜入伊遊行如可
#東京 {{첫가끝|ᄇᆞᆯ기ᅵ ᄃᆞ라 밤드리 놀니다가}}
 
이 문장을 해석하는 데 ‘{{첫가끝|ᄇᆞᆯ기}}’라는 어형의 타당성(중세 한국어 관형형 ‘-ㄴ’), 처격 ‘良’의 독법(중세 한국어 처격 ‘-애/-에’), ‘遊行如可’는 ‘놀니다가’로 보아야 할 것인가 아니면 현대어처럼 제1 음절의 받침이 탈락된 ‘노니다가’로 보아야 할 것인가 등등, 세부에서 아직 해결되지 않는 점이 많다.
 
== 같이 읽기 ==
* [[고대 한국어]]
* [[구결]]
{{토막글|한국}}
* [[이두]]
 
== 참고 문헌 ==
*金完鎭(1980) “鄕歌解讀法硏究”, 서울大學校 出版部
*南豊鉉(1981) “借字表記法 硏究”, 檀國大學校 出版部
*李基文(1998) “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小倉進平(1929;1974) ‘鄕歌及び吏讀の硏究’, “小倉進平博士著作集(一)”, 京都大學國文學會
 
[[분류:한국어의 표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