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쿼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Osteologia(토론)의 편집을 Tj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실수
17번째 줄:
}}
 
'''위 쿼크'''({{lang|en|up quark|업 쿼크}}, 기호 u)는 +2/3의 전하를 가진 제1[[세대 (물리학)|세대]]의 쿼크다. 질량은 1.7-3.3 MeV/''c''<sup>2</sup>로, 모든 쿼크 중에서 가장 가벼우며, [[아래 쿼크]]와 함께 [[양성자]](uud)와 [[중성자]](udd)를 이룬다. 다른 쿼크와 마찬가지로, 아래 쿼크는 [[스핀]]이 ½인 [[페르미온]]이며, 4가지의 [[기본 상호작용]]을 모두 겪는다. 그 [[반입자]]는 '''위 반쿼크'''이다.
'''위 쿼크''' 혹은 '''u 쿼크'''는 모든 쿼크 중에서 가장 가벼운 소립자이다. 물질을 이루는 핵심 구성 성분 중 하나이다. 위 쿼크와 함께 원자 핵을 이루는 중성자(하나의 위 쿼크와 두개의 아래 쿼크) 그리고 양성자(두개의 위 쿼크, 하나의 아래 쿼크)를 형성한다. 1세대 쿼크이고 +2/3의 전하량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1.7-3.3 MeV/c²의 질량을 가진다. 다른 모든 쿼크와 마찬가지로 아래 쿼크는 페르미입자로 1/2의 스핀을 가진다, 그리고 4가지의 기본상호작용을 모두 겪는다: 중력 상호작용, 전자기적 상호작용, 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또한 몇 가지 성질에서 같은 규모를 갖지만 부호가 반대인 위 반쿼크라는 반입자를 가진다.
 
위 쿼크의 존재는 아래 쿼크와 야릇한 쿼크와 함께 1964년 머리 겔만(Murray Gell-Mann)과 조지 츠바이크가 팔도설(Eightfold Way)에 의한 강입자를 분류하기 위한 계획에서 상정되었다. 아래 쿼크의 경우 [[SLAC]](Stanford Linear Accelerator Centre)에서 1968년에 처음 관찰되었다.
 
== 역사 ==
위 쿼크는 [[아래 쿼크]]·[[맵시 쿼크]]와 함께 1964년 [[머리 겔만]]과 조지 츠바이크(George Zweig)가 [[팔정도 (물리학)|팔정도]]를 따라 [[하드론]]을 분류하기 위해 도입하였다. [[SLAC]]에서 1968년에 처음 관찰되었다.
 
소립자20세기 물리학이초반, 소립자 생겼을물리학의 무렵(20세기 초반)에는초창기에는 [[양성자, ]]·[[중성자 그리고 파이온과]]·[[파이온]]과 같은 강입자들이 소립자라고 여겨졌다. 하지만 새로운 입자들이 발견됨에 따라 '[[입자 동물원]]'은 1930~1940년 대에 몇 안되던 입자들 부터 1950년 대에는 수십개에 이르도록 확장했다. 각각의 입자들이 서로에게 어떠한 작용을 하는 지는 1961년 머리 겔만과 유볼 네맨이 각각 강입자를 분류하는 계획인 팔도설 혹은 좀 더 전문적으로 말하자면 [[SU(3)]]머리 [[맛깔겔만]]<ref>{{cite 대칭을 주장할 때까지는 불확실했다.book
|author=M. Gell-Mann
|year=2000 |origyear=1964
|chapter=The Eightfold Way: A theory of strong interaction symmetry
|editor=M. Gell-Manm, Y. Ne'emann
|title=The Eightfold Way
|page=11
|publisher=[[Westview Press]]
|isbn=0-7382-0299-1
}}<br />원 논문: {{Cite journal
|author=M. Gell-Mann
|year=1961
|title=The Eightfold Way: A theory of strong interaction symmetry
|work=[[Synchroton Laboratory]] Report CTSL-20
|publisher=[[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ostscript=<!--None-->
}}</ref>과 유발 네만<ref>
{{cite book
|author=Y. Ne'emann
|year=2000 |origyear=1964
|chapter=Derivation of strong interactions from gauge invariance
|editor=M. Gell-Manm, Y. Ne'emann
|title=The Eightfold Way
|publisher=[[Westview Press]]
|isbn=0-7382-0299-1
}}<br>Original {{cite journal
|author=Y. Ne'emann
|year=1961
|title=Derivation of strong interactions from gauge invariance
|journal=[[Nuclear Physics (journal)|Nuclear Physics]]
|volume=26 |pages=222
|doi=10.1016/0029-5582(61)90134-1
}}</ref>이 각각 [[강입자]]를 분류하는 계획인 [[팔정도 (물리학)|팔정도]]([[SU(3)]] [[맛깔]] 대칭)를 주장할 때까지는 불확실했다.
 
이 분류 계획은 강입자를 [[아이소스핀]] 다중항으로 분류했다 하지만분류하지만, 배경이 되는 물리적 토대는 아직 불명확하다. 1964년 조지 츠바이크와츠바이크<ref 머리 겔만이 당시에 위 쿼크, 아래 쿼크 그리고 야릇한 쿼크만으로 구성된 쿼크 모델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 쿼크 모델이 팔도설을 설명할 순 있었지만 1968년 SLAC에서 처음으로 쿼크가 발견될 때까지 쿼크의 존재에 대한 증거는 없었다. 깊은 비탄성 산란은 양성자에 하부구조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고 양성자가 3개의 보다 근본적인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쿼크 모델이 이 현상을 설명하였다.name="Gell-Man1964">
{{cite journal
|author=M. Gell-Mann
|title=A Schematic Model of Baryons and Mesons
|journal=[[Physics Letters]]
|volume=8 |issue=3 |pages=214–215
|year=1964
|doi=10.1016/S0031-9163(64)92001-3
}}</ref>와 [[머리 겔만]]<ref name="Zweig1964a">
{{cite journal
|author=G. Zweig
|title=An SU(3) Model for Strong Interaction Symmetry and its Breaking
|journal=CERN Report No.8181/Th 8419
|year=1964
}}</ref><ref name="Zweig1964b">
{{cite journal
|author=G. Zweig
|title=An SU(3) Model for Strong Interaction Symmetry and its Breaking: II
|journal=CERN Report No.8419/Th 8412
|year=1964
}}</ref>이 당시에 위 쿼크, 아래 쿼크 그리고 [[야릇한 쿼크]]<ref name="Carithers">
{{cite journal
|author=B. Carithers, P. Grannis
|title=Discovery of the Top Quark
|url=http://www.slac.stanford.edu/pubs/beamline/25/3/25-3-carithers.pdf |format=PDF
|journal=[[Beam Line (journal)|Beam Line]]
|volume=25 |issue=3 |pages=4–16
|publisher=[[SLAC]]
|year=1995
|accessdate=2008-09-23
}}</ref>만으로 구성된 쿼크 모형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 쿼크 모형이 [[팔정도 (물리학)|팔정도]]를 설명할 수는 있었지만, 1968년 [[SLAC]]에서 처음으로 쿼크가 발견될 때까지 쿼크의 존재에 대한 증거는 없었다.<ref name="Bloom">
{{cite journal
|author=E. D. Bloom ''et al.''
|title=High-Energy Inelastic ''e''–''p'' Scattering at 6° and 10°
|journal=[[Physical Review Letters]]
|volume=23 |issue=16 |pages=930–934
|year=1969
|doi=10.1103/PhysRevLett.23.930
}}</ref><ref name="Breidenbach">
{{cite journal
|author=M. Breidenbach ''et al.''
|title=Observed Behavior of Highly Inelastic Electron–Proton Scattering
|journal=[[Physical Review Letters]]
|volume=23 |issue=16 |pages=935–939
|year=1969
|doi=10.1103/PhysRevLett.23.935
}}</ref> 심층 비탄성 산란은 양성자에 하부 구조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고 양성자가 3개의 보다 근본적인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쿼크 모형이 이 현상을 설명하였다.<ref>
{{cite web
|author=J. I. Friedman
|title=The Road to the Nobel Prize
|url=http://www.hueuni.edu.vn/hueuni/en/news_detail.php?NewsID=1606&PHPSESSID=909807ffc5b9c0288cc8d137ff063c72
|publisher=[[Hue University]]
|year=
|accessdate=2008-09-29
}}</ref>
 
처음에 사람들은 이 세개의 입자를 쿼크로 받아들이기보단받아들이기보다는 [[리처드 파인만파인먼]]의 [[파톤]] 디스크립션을 선호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쿼크에 대한이론을 가설이선호하는 점차경우도 받아들여졌다.있었지만,<ref>
{{cite journal
|author=R. P. Feynman
|title=Very High-Energy Collisions of Hadrons
|journal=[[Physical Review Letters]]
|volume=23 |issue=24 |pages=1415–1417
|year=1969
|doi=10.1103/PhysRevLett.23.1415
}}</ref><ref>
{{cite journal
|author=S. Kretzer ''et al.''
|title=CTEQ6 Parton Distributions with Heavy Quark Mass Effects
|journal=[[Physical Review D]]
|volume=69 |issue=11 |page=114005
|year=2004
|arxiv=hep-ph/0307022
|doi=10.1103/PhysRevD.69.114005
}}</ref><ref name="Griffiths">
{{cite book
|author=D. J. Griffiths
|title=Introduction to Elementary Particles
|page=42
|publisher=[[John Wiley & Sons]]
|year=1987
|isbn=0-471-60386-4
}}</ref> 시간이 흐르면서 쿼크 모형이 점차 받아들여졌다.<ref>
{{cite book
|author=M. E. Peskin, D. V. Schroeder
|year=1995
|title=An introduction to quantum field theory
|page=556
|publisher=[[Addison–Wesley]]
|isbn=0-201-50397-2
}}</ref>
 
== 질량 ==
줄 39 ⟶ 157:
*η 및 η와 같은 [[맛깔|맛깔 없는]] 중간자는 "위 쿼크"-"반 위 쿼크" 쌍을 포함하는 "쿼크"-"반 쿼크" 몇 쌍의 선형결합이다.
*다수의 관측된 [[바리온]]은 하나 이상의 위 쿼크를 포함한다. [[핵자]]와 같이 Δ 바리온은 몇 개의 위 쿼크와 아래 쿼크 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Δ<sup>++</sup> 바리온은 세 개의 위 쿼크를, Δ<sup>+</sup> 바리온은 두 개의 위 쿼크를, 그리고 Δ<sup>0</sup> 바리온은 단지 하나의 위 쿼크를 지닌다.
 
== 주석 ==
<reference />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