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이 진술을 [[5근]](五根: [[5식]]의 인식작용의 소의, 즉 성립 근거 또는 도구)과 비교하여 달리 말하면, 안근(眼根)은 안식(眼識)만의 [[소의]]가 되는 것처럼 [[5근]]의 각각은 [[5식]](五識) 중 해당되는 [[식 (불교)|식]](識)만의 [[소의]]가 되지만, 반면,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는, 의근(意根)은 [[전5식]]의 [[소의]]도 되고 [[제6식]]인 [[의식 (불교)|의식]]의 [[소의]]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1 31-32 / 1397]}} 마찬가지로,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경우, 의근(意根)은 [[전5식]]의 [[소의]]도 되고 [[후3식]]인 [[의식 (불교)|의식]]{{.c}}[[말나식]]{{.c}}[[아뢰야식]]의 [[소의]]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근]](意根: [[6식]] 또는 [[8식]]의 인식작용의 소의, 즉 성립 근거 또는 도구)은 [[전5식]]의 [[소의]]도 되고 [[제6식]](설일체유부의 경우) 또는 [[후3식]](유식유가행파과 법상종의 경우)의 [[소의]]도 되기 때문에, 색경·성경·향경·미경·촉경·법경의 [[6경]](六境)을 전체적으로 취할 수 있다. 의근(意根)은 [[18계]] 중 '''[[의계]]'''(意界)와 동의어이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1 31-32 / 139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51 51 / 139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78 78 / 1397]}}
<!------------------------------------------------------------------------------------------
 
이상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소의관계가 성립한다.
 
22번째 줄:
* [[신근 (불교)|신근]](身根)과 [[신근 (불교)|신근]](身根)이 낙사하여 형성된 [[의근]](意根)만이 [[신식 (불교)|신식]](身識, [[촉각]])의 소의가 된다.
* [[의근 (불교)|의근]](意根)만이 [[제6식]], 즉 [[의식 (불교)|의식]](意識, [[생각]])의 소의가 된다. 그러나, [[의근 (불교)|의근]](意根)은 [[전5식]]의 [[소의]]도 되고 [[제6식]]인 [[의식 (불교)|의식]]의 [[소의]]도 되기 때문에, 색경·성경·향경·미경·촉경·법경의 [[6경]](六境)을 전체적으로 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6식]], 즉 [[의식 (불교)|의식]](意識, [[생각]])도 색경·성경·향경·미경·촉경·법경의 [[6경]](六境)에 대해 전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