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서는 [[마음 (불교)|마음]][心]은 곧 [[6식]](六識: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을 말하므로, 의근은 [[6식]]이 과거로 [[낙사]]한 것을 말한다. 반면,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 등에서는 [[마음 (불교)|마음]][心]은 곧 [[8식]](八識: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을 말하므로, 의근은 [[8식]]이 과거로 [[낙사]]한 것을 말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1 31-32 / 139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84%8F%E6%A0%B9&rowno=1 意根(의근)]".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불교에서는 [[마음 (불교)|마음]]이 생멸변화가 있는 [[유위법]]의 하나인 것으로 보는데, 따라서 [[마음 (불교)|마음]]이 찰나 찰나로 [[심상속|상속]]한다고 말하며 이것을 [[심상속]]이라고 한다. [[심상속]]에 근거하여 [[마음 (불교)|마음]]을 '''전찰나의 마음'''(前刹那의 心)과 '''후찰나의 마음'''(後刹那의 心)으로 두 가지로 나누어 명명한다. 이 쌍을 다른 말로는 '''전념'''(前念)과 '''후념'''(後念), 또는 '''전식'''(前識)과 '''후식'''(後識)이라고도 한다. 이렇게 나눌 때, [[마음 (불교)|마음]]([[6식]] 혹은 [[8식]])이 과거로 낙사한 것이란 곧 전찰나의 마음, 전념(前念), 혹은 전식(前識)을 말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1 31-32 / 139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84%8F%E6%A0%B9&rowno=1 意根(의근)]".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는 모두 전찰나의 마음이 후찰나의 마음의 [[소의]](所依: 성립 근거, 인식작용의 도구)가 된다고 본다. 즉, 전찰나의 마음이 후찰나의 마음에 일어날 온갖 심적(心的) 현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본다. 달리 말해, 전찰나의 마음은 후찰나의 마음이 온갖 [[마음작용]](심소법)을 일으키는 데 사용할 기본 도구가 된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뜻에서 '전찰나의 마음', 즉 '[[마음 (불교)|마음]]이 과거로 [[낙사]]한 것'을 '''의근'''(意根)이라고 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1 31-32 / 139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84%8F%E6%A0%B9&rowno=1 意根(의근)]". 2012년 9월 20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