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동 (대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28번째 줄:
대화동 지역은 [[백제시대]]는 우술군이었다가, [[신라시대]]에는 비풍군으로 개명하였고, 그 밑에 유성현과 적오현(뒤에 덕진현)을 그 속현으로 두었다. [[고려시대]] 초기에는 비풍군을 회덕현으로 읍호를 바꾸었고, 이후 [[1018년]] [[고려 현종|현종]] 9년에는 공주의 속현으로 귀속되었다. 그런데 고려시대에는 유성현과 덕진현이 공주의 속현이었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 현종 9년 군·현의 개편시에 회덕의 속현에서 벗어나 공주의 속현이 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후 회덕현은 [[1172년]] [[고려 명종]] 2년에 처음으로 감무(조선시대의 현감과 같음)를 두게 되어 주현으로 승격하게 되었다.
 
조선왕조가 건국된 후 [[1413년]] [[조선 태종|태종]] 13년에 전국을 8도제로 개편하면서 행정구역을 편성하면서, 회덕은 충청우도 공주목에 속하는 종6품의 현감이 다스리는 현이 되었다. 이와 같이 8도제의 실시와 더불어 소현의 병합이 이루어졌는데 이 때에 유성현이 폐지되면서 그 영역이 회덕현과 진잠현에 속하게 되었다. [[1789년]] 정조 13년의 《호구총수》에 기록된 것을 보면 지금의 대화동이 회덕현 현내면 ‘대화리’로 되어 있어 조선중기 때부터 ‘대화리’라는 지명과 행정구역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1895년]] [[조선 고종|고종]] 32년 [[갑오개혁]]으로 인한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태종이래 실시되어왔던 8도제가 폐지되고, 전국이 23부제를 실시하면서, 종래의 부·목·군·현 등의 지방행정 단위를 모두 폐합하여 336개 군을 신설하고, 이를 23개 부에 속하게 하였다. 이로서이로써 회덕현은 공주부에 속하는 27개 군의 하나인 회덕군으로 개편되었고, 대화동은 회덕군 내남면 대화리에 소속되었다. 이 당시 회덕의 구역은 기존의 회덕의 7개 면(현내면, 동면, 외남면, 내남면, 서면, 근북면, 일도면)에 공주군의 5개 면(천내면, 유등면, 탄동면, 구즉면, 산내면)과 청원군 주안면이 편입되어 이전보다 크게 행정구역이 확대되었다.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회덕군이 진잠군과 통합되어 대전군이 되면서대화리는 율사동·구만리·법동 일부와 서면의 구만리 등 일부를 합하여 대전군 내남면 대화리가 되었다. [[1931년]]에는 대전군 대전면이 읍으로 승격하여 대전군 1읍 11개 면으로 되었으며, [[1935년]] [[11월 1일]]에는 대전읍이 부로 승격됨에 따라 대전부와 대덕군으로 분리되었고 대화동은 대덕군 내남면 대화리로 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