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61번째 줄:
{{본문|신근|오온#수온}}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신근]](身根, {{llang|sa|[[:en:kāyendriya|<span style="color: black">kāyendriya</span>]]}})은 거친 [[육체]]적 살덩어리로 이루어진 [[부진근]](扶塵根), 즉 외적인 촉각기관으로서의[[촉각기관]]으로서의 신근과 광명이 차단됨이 없는 맑고 투명한 색인 [[정색]](淨色, rūpa prasāda)으로 만들어진 [[승의근]](勝義根), 즉 내적인 [[촉각기관]]으로서의 신근으로 나뉜다. 설일체유부에서 따르면, [[식신 (5식)|식신]](身識)의 [[소의]](所依: 성립근거, 의지처, 도구)라는 뜻에서 [[신근]]이라고 할 때는 반드시 후자의 [[승의근]]을 가리킨다. 그리고 [[부진근]]으로서의 [[신근]]은 '부(扶)'라는 말 뜻 그대로 [[승의근]]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407&DTITLE=%A4%AD%AE%DA 五根]". 2012년 9월 4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982&DTITLE=%A8%AD%AE%DA 身根]". 2012년 9월 27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693&DTITLE=%AE%DA 根]". 2012년 9월 27일에 확인}} <!--반면, [[부파불교]]의 [[경량부]]에서는 이와 같은 승의근과 부진근의 구분을 인정하지 않았고, 육체, 즉 몸이 곧 [[신근]]이라고 주장하였다.-->
 
마치 거울이 대상을 비추는 것처럼 [[신근]](身根)이 [[촉경]](觸境)을 비추어 받아들이는데, 이와 같이 [[신근]](身根)이 [[촉경]](觸境)을 연(緣)하여 [[신식]](身識)이 생겨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7 87 / 1397]}} 이 때의 [[신근]]과 [[촉경]]과 [[신식]]의 화합을 [[신촉]](身觸)이라고 한다.{{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K.650, T.99|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3&startNum=471 471 / 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