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과거에는 우리나라도 1인당 장내 기생충이 2종 있었던 시절이 있었다(=장내 기생충 누적 감염률이 200%). 그러나 1966년 기생충병 예방법의 시행이후 집중적인 집단관리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국민의 교육수준과 생활환경의 향상도 이루어져서 현재 최소한 장내 기생충질환은 격감한 상태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기생충병은 빈번한 외국여행, 외국인의 많은 유입, 기상이변 등의 환경적 변화, 기생충병 급감에 의한 기생충병에 대한 무관심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현재 직면한 기생충병의 문제들===
# 수입성 기생충질환(foreign parasitic disease=imported parasitic disease)의 증가
# 기회감염(opportunistic infection)의 증가: 통상 비병원성이던 기생충이 면역반응 장애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 항암치료, 장기이식 등)로 병원성을 갖게 됨
#자유생활 종(free-living species)의 병원성 획득
#신 종(new species) 기생충병의 발견
#관리되고 있었던 기생충병들의 재유행
==참고 문헌==
제7차 장내 기생충 감염현황(2004)
순천향대학교 기생충학교실 prof.남해선 2012년도 의학과 1학년 강의록
[[ar:علم الطفيليات]]
[[arz:باراسيتولوجي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