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칠도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一)四念處,又作四念住。... (二)四正勤,又作四正斷。... (三)四如意足,又作四神足。... (四)五根,根,即能生之意,此五根能生一切善法。... (五)五力,力即力用,能破惡成善。... (六)七覺分,又作七覺支、七覺意。... (七)八正道,又作八聖道、八道諦。...〔雜阿含經卷二十六、卷二十七、卷二十八、俱舍論卷二十五、大毘婆沙論卷九十六、法界次第初門卷中之下〕"}}
 
《아함경》 에서 [[고타마 붓다]]는 여러 가지 [[도품]](道品)을 언급하고 있는데, [[37도품]]이라 하면 그 중에서도 [[4념주4념처]](四念處, 四念住){{.cw}}[[4정단4정근]](四正勤, ㅍ){{.cw}}[[4신족]](四神足, 四如意足){{.cw}}[[5근]](五根){{.cw}}[[5력]](五力){{.cw}}[[7각지]](七覺支, 七覺分){{.cw}}[[8정도]](八正道)의 37가지 [[도품]](道品) 또는 [[선법 (불교)|선법]](善法) 또는 [[수행법 (불교)|수행법]](修行法)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8F%84%ED%92%88&rowno=1 道品(도품)]". 2012년 11월 5일에 확인}}{{sfn|권오민|2003|pp=274-280. 37보리분법}}{{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39&DTITLE=%A4T%A4Q%A4C%B9D%AB~ 三十七道品]". 2012년 11월 5일에 확인}} 이들 7그룹을 '''7과'''(七科)라고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39&DTITLE=%A4T%A4Q%A4C%B9D%AB~ 三十七道品]". 2012년 11월 5일에 확인}}
 
《잡아함경》 등에서 [[고타마 붓다]]는 이들 '''7과 37도품'''(七科三十七道品)외에도 [[4도]](四道){{.cw}}[[4법구]](四法句){{.cw}}[[지관 (불교)|지관]](止觀){{.cw}}[[정관수습]](正觀修習) 등의 [[도품]]도 언급하거나 설했던 것으로 나온다.{{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T.99|loc=제26권 제663경 〈이력경(二力經) ③〉.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2n0099_p0184b19 T02n0099_p0184b19 - T02n0099_p0184b25]. 37도품(三十七道品)|quote=<br>"如是我聞。 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爾時。世尊告諸比丘。如上說。差別者。何等為修力。謂修四念處。 佛說此經已。諸比丘聞佛所說。歡喜奉行。如四念處。如是修四正斷.四如意足.五根.五力.七覺分.八聖道分.四道.四法句.止觀亦如是說。"}}{{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K.650, T.99|loc=제26권 제663경 〈이력경(二力經) ③〉.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3&startNum=1027 1027 / 2145]. 37도품(三十七道品)|quote=<br>"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