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성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3번째 줄:
|규기 조. 《성유식론술기》, 제1권, T43, p. 239c.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3n1830_p0239c04 한문본]}}
 
즉, '''임지자성'''(任持自性)은 자신만의 [[자성 (불교)|자성]](自性) 또는 [[자상]](自相), 즉 '''본질적 성질'''을 지니고 있다는 뜻이고, '''궤생물해'''(軌生物解)는 해당 사물에 대한 [[요별|앎]][解, 인식, 요해, 요별, 지식]을 낳게 하는 궤범이라는 뜻이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4 4 / 1397]}} [[궤범]]은 사물과 사물 사이에 작용하는 규범, 즉 법칙적 관계를 뜻하는데,{{sfn|황욱|1999|p=26}} '궤생물해'는 해당 [[사물 (불교)|사물]](법)이 다른 [[사물 (불교)|사물]](법)들에 대해 가지는 법칙적 관계가관계, 즉 '''본질적 작용'''이 해당 [[사물 (불교)|사물]](법)을 [[앎 (불교)|앎]][解]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5온]] 중의 하나인 [[수온]], 즉 [[마음작용]] 중의 하나인 [[수 (마음작용)|수]](受)는 [[고수 (3수)|고수]](苦受){{.cw}}[[낙수 (3수)|낙수]](樂受){{.cw}}[[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의 [[3수]](三受)로 나뉘는데, [[3수]]는 다음과 같이 다른 [[마음작용]]인 [[촉 (마음작용)|촉]](觸)과 [[욕 (마음작용)|욕]](欲)과의 관계에서 파악할 때 아주 명료하게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