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4번째 줄:
왜 <math>\ f(x) </math>가 높이가 되는지 알아보자.
연속함수에 대해 구간의 양 끝 함수값의 사이에 <math>\ y </math>값을 잡으면
그에 대응 하는대응하는 <math>\ x </math>값이 적어도 하나 존재 한다는존재한다는 것을 중간값 정리에 의해 우리는 알고 있다.
구간[a,b]에서 f(x)와 x축 사이의 각 조각이 막대그래프가 되도록 하는 <math>\ y </math>값( <math>\ f(c) </math> ) 그리고 그에 대응하는 <math>\ x </math>값을 우리는 <math>\ c </math>라 하자 (by [[중간값 정리]]) . 이때 <math>\ c </math>의 범위는 <math>\ x < c < x + dx </math> 의 범위를 갖는다.
그런데 <math>\ dx </math>의 값은 0을 향해 가고 ( by 미분 ) , 우리는[[압착 부등식의 극한 양쪽값이 같은 값을 갖게 되면 가운데 값은 양쪽값과 같은 값을 갖는다는 극한값의 성질에정리]]에 의해 <math>\ lim_{dx\to0}c= x </math>임을 <math>\ x </math>있다.
와 같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넓이 <math> {d} \int_{a}^{x} f(t)dt</math> 에서 밑변 <math>\ dx </math> 으로 나눈 것은 높이 <math>\ f(x) </math>가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