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질 (1422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SotialeBot (토론 | 기여)
22번째 줄:
'''김질'''(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다. [[사육신]]과 함께 [[단종 복위 운동]]에 참여했으나 실패를 예상하고 이를 고변하였다. 자(字)는 가안(可安), 호는 쌍곡(雙谷), 시호는 '''문정'''(文靖). 본관은 [[안동 김씨|(구) 안동]]이다.
 
[[음서]]로 무관이 되고, 부사직(副司直)에 이르렀을 때 사가독서(賜暇讀書)를 청원하여, 특별히 허락받았다. 그뒤그 뒤 [[1447년]] [[생원시]]에 2등으로 합격했으며 [[1450년]](문종 즉위년)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수찬, 사간원 우정언, 성균관 사예 등을 거쳐 [[1455년]]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 등과 함께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했다가 여러 번 기회를 놓치고 위험을 느끼게 되자, 뜻을 바꾸어 [[조선 세조|세조]]에게 사육신의 거사를 알렸으며 이 공로로 군기감판사(軍器監判事)가 되고,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과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고 뒤에 부원군으로 진봉되었다.
 
그뒤그 뒤 [[평안도]][[관찰사]], [[공조판서]], [[병조판서]], [[우참찬]], [[경상도]][[관찰사]] 등을 지내고, [[1468년]] [[우의정]], [[좌의정]]이 되었다. [[1468년]] [[세조]]의 사망과 [[1469년]] [[예종]]의 사망 당시에는 [[원상]]의 한사람으로 정무를 처결하였다. 그 뒤 [[조선 성종|자을산군 혈]]을 지지하고, [[조선 성종|성종]] 즉위 직후에는 왕족 [[귀성군]]을 숙청하였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으로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군디ㅗ었다.
 
관직은 [[의정부]][[좌의정]]에 이르렀고, [[조선 성종|성종]] 초에 〈경국대전〉의 편참에 참여하였다. 고려의 장군 충렬공 [[김방경]]의 후손으로, [[개국공신]] 익원공 [[김사형]]의 증손자이자 [[의정부]][[영의정]]을 지낸 [[정창손]]의 사위이다. 또한 [[강희맹]]의 사돈으로 [[강희맹]]의 딸은 그의 아들 [[김성동 (1452년)|김성동]]과 결혼했다. [[조선 세조|세조]] 사후 [[영의정]] [[한명회]], [[신숙주]] 등과 함께 원상(院相)세력을 형성하였으며, [[원상제]]의 전범이 되었다. 낙풍부원군 [[김자점]]의 5대 선조이며 백범 [[김구]]의 20대 방조에 해당된다.
33번째 줄:
쌍곡 김질은 [[1422년]] 조선 개국 공신 [[김사형]](金士衡)의 증손이며 [[동지중추부사]] [[증직|증]] [[의정부]][[영의정]] [[김종숙]]의 아들로 태어났다.
 
음서제로 관직에 입문하여 [[충의위]](忠義衛) 부사직 등을 지냈다. 그뒤그 뒤 부사직으로 재직 중 [[1447년]](세종 29년) [[식년과]]의 생원시에 2등으로 합격하여 [[생원]](生員)이 되었다. [[1450년]] 부사직으로 재직 중 휴가를 얻어 [[성균관]]에 입학, 성균관에서 수학하였다.
 
그가 성균관에 수학하려 하자 전례가 없어서 들어갈수 없었다. 그러나 [[의정부]]의 특별 건의로 [[성균관]]에 입학할수 있게 되었다.<ref>문종실록 1권, 문종 즉위년(1450 경오 / 명 경태(景泰) 1년) 5월 18일(신유) 2번째기사 "참상직도 성균관에 거처하도록 허락하다"</ref> 그의 성균관 수학으로부터 참상관의 성균관 수학제도가 비롯되었다는 의견도 있다.<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a_A1422_1_0002819&curSetPos=0&curSPos=0 김질]</ref>
40번째 줄:
 
==== 청년 시절 ====
음보로 출사하여 [[충의위]](忠義衛)가 되었으며 그뒤그 뒤 여러 벼슬을 거쳐 [[충의위]] 부사직(副司直)에 이르렀을 때 사가독서(賜暇讀書)를 청원했다가, 특별히 허락받았다. 그는 과거 급제자가 아닌데도 참상관의 자격으로 사가독서를 청하여 [[세종대왕]]이 이를 허락했다. 그가 과거 급제자가 아닌데도 사가독서를 한 일은 후일 성균관에서 참상관의 수학제도의 전례가 되었다. 그뒤그 뒤 [[사직]](司直)으로 승진했다.
 
[[1450년]](문종 즉위년) [사직]](司直) 재직 중, 추장[[문과]]에 응시하여 정과로 급제, 바로 [[성균관]]주부가 되었다. 그 뒤 집현전 학사가 되었으며, 사간원우정언, 병조좌랑을 지내며 [[집현전] 학사를 겸임하였다. 김질은 글씨를 잘 썼고 고전에 능하였으며 지식이 해박하였다. 그 무렵 [[성삼문]](成三問), [[박팽년]], 최항(崔恒), [[신숙주]](申叔舟) 등 몇몇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문종]]의 각별한 사랑과 총애를 받았다.
96번째 줄:
 
==== 국방, 군사 활동 ====
[[1459년]] [[8월]] [[병조]][[참판]] 상락군(上洛君)이 되어 [[조선 세조|세조]]의 국방정책 수립에 참여하고 그뒤그 뒤 다시 상락군(上洛君)에 봉하여졌다. 그해 [[12월]] [[이조판서]] [[구치관]]·[[예조판서]] [[홍윤성]]과 함께 무경(武經)과 병서(兵書), 진법 등을 강론하였다.
 
[[1460년]] [[한명회]]의 처가 병이 들자 그와 임무를 교체하라는 명을 받았다.<ref>세조실록 19권, 세조 6년(1460 경진 / 명 천순(天順) 4년) 2월 10일(정사) 2번째기사 "서북면 도체찰사 한명회에게 처의 병을 알리고 상경할 것을 유시하다"</ref>
115번째 줄:
[[1468년]](세조 14년) 다시 상락군에 봉해진 뒤 [[조선 예종|예종]]이 즉위하자 [[의정부]] [[우의정]]에 발탁 되었으며 [[조선 세조|세조]]의 능침을 정하는 산릉 도감 제조(右議政山陵都監提調)를 겸임하였다.
 
그뒤그 뒤 겸 경연 영사(兼經筵領事)를 겸하다가 곧 [[좌의정]]으로 승진했다. 이어 상락군에서 상락부원군으로 진봉되었다.
 
이때 [[세종대왕]]의 능침을 이장할 때 [[천릉 도감]] 제조(左議政遷陵都監提調)의 한사람으로 선발되었고, [[1469년]] [[1월]] 평안도 도체찰사(左議政平安道都體察使)로 다시 부임하였다. 그해 [[2월]] 다시 [[좌의정]](右議政)에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