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otialeBot (토론 | 기여)
22번째 줄:
'''허헌'''(許憲, [[1885년]] [[음력 6월 11일]] [[함경북도]] [[명천군]] ~ [[1951년]] [[8월]])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법조인 출신의 [[북조선]]의 정치인이다. [[이인]], [[김병로]]와 함께 독립운동가들을 변호하던 변호사로, '''3대 민족 인권 변호사'''로 유명했다.
 
[[한성중학교]], [[보성전문]]을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 [[메이지 대학]] 법과를 졸업했다. [[1907년]]에는 [[대한제국]] 제1회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였고, [[일본]]에서도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그뒤그 뒤 독립운동가들의 변호와 노동자들의 고용 문제, 임금 인상 문제 등을 무료로 변론하였으며 [[1924년]] [[보성전문학교]] 교장 취임과 조선인변호사 회장을 겸임 [[동아일보]] 사장직무대행등 각종 사회활동 하였다. [[1926년]] 6개월동안 세계일주 여행 간것으로 유명하며, 이듬해 1927년에는 [[신간회]] 단체 주요간부로 활동하였다. [[1943년]]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단파방송 밀청사건]]에 연루되어 2년간 옥고를 치루기도 했다.
 
광복 이후 [[1945년]] [[8월]] [[여운형]], [[박헌영]] 등과 함께 [[건국준비위원회]] 결성에 참여하였고, [[건국준비위원회|건준]] 부위원장을 거쳐 [[조선인민공화국]] 내각에서는 [[국무총리]]에 선출되기도 했다. 인공 해체 후 [[남조선]]에서 [[민주주의민족전선]], [[남조선로동당]]등 활동하다가 탄압받자, [[1948년]] [[4월]] [[남북협상]]차 북으로 건너간 후 북조선에 정착하였다. [[1948년]] [[북조선]]의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 [[최고인민회의]] 의장(의회 의장)에 선출되기도 하였고, [[김일성대학]] 총장이 되었다. 통일운동가로 활동하다가 [[1951년]] [[8월]] 청천강에서 익사하였다. [[북조선]]의 여성운동가 [[허정숙]]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호는 긍인(兢人). 함북 명천 출생.
35번째 줄:
아버지 허추가 병사하고 부친상 3년상을 치르고 난 뒤 허헌은 견문을 넓힌다는 생각으로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트크에 다녀왔고 돌아오는 길에 [[청진]]의 친지인 강씨를 찾아가 다시 [[한성부]]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재력가인 강씨는 당나귀 두마리와 엽전 한 꾸러미를 학자금으로 주었다고 한다. 그가 고향인 함북 명천에 돌아오자 어머니는 장가 들기를 권해 함흥에 사는 정보영이라는 여자를 아내로 맞이했다.<ref name="생애 초기">《끝나지 않은 역사 앞에서》, 이이화 저. 김영사. p336 ~ p339</ref> 정보영에게서 얻은 자녀들 중 딸 [[허정숙]]만이 성인이 될 때까지 생존하였고, [[허정숙]]은 후일 [[일제 강점기]]의 여성운동가이자 [[사회주의]]자로 활동한다.
 
그는 학업에 계속 종사하여 [[경성]]으로 올라갔고, 가정의 생계는 부인 정보영이 꾸려나갔다. 그후그 후 뒤늦게 유덕희(柳德禧)와 재혼하여 딸 [[허근욱]]과 아들 허선욱, 허종욱, 허영욱, 허선욱, 허기욱 등을 더 둔다.
 
==== 수학 시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