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 질량: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P76837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구별|원자량}} [[Image:Stylised Lithium Atom.svg|right |thumb|200px|여기서 나타낸 [[리튬]]-7 원자는 양성자 3개, 중성자 4개, 전자 3개로 이루어져 있다(전자의 총 질량은 핵의 질량의 ~1/4300에 해당한다). 이 원자의 질량은 7.016 '''u'''이다. 드믈게 존재하는 리튬-6 (질량은 6.015 '''u''') 원자는 오직 3개의 중성자 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리튬의 원자량은 6.941 '''u'''으로 줄어든다.]]
'''원자 질량'''(原子質量) 또는 '''원자량'''(原子量)은 특정 환경 하에서 해당 원소의 [[동위 원소]]의 존재 비율에 따라 가중평균한 [[질량]]을 말한다. [[주기율표]]에는 [[지구 지각]]이나 [[지구 대기권]]을 기준으로 한 값을 말한다.
'''원자 질량'''(atomic mass,原子質量)은 특정 [[동위원소]]의 [[원자질량단위]]로 나타낸 [[질량]]이다.<ref>{{GoldBookRef|file=A00496|title=atomic mass}}</ref>
 
== 개요 ==
원자 중에서 가장 가벼운 수소를 1로 하여 다른 원자가 수소의 몇 배가 되는지를 알면 원자의 상대적인 무게를 알 수 있다. [[존 돌턴|돌턴]]은 이와 같이 생각하고 원자량을 정하려고 했으나, 실험적으로 산소의 원자량을 결정하는 데는 수소와 산소가 어떤 원자수의 비로 화합하는가를 알지 못하면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없고, 또 돌턴 자신이 물이나 암모니아의 조성을 잘못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가 계산한 원자량은 그다지 정확한 것이 못 되었다.
 
[[베르셀리우스]]는 수소보다 산소가 화합물을 잘 만들고, 실험도 하기 쉽다는 데서 산소를 기준으로 하여 그 원자량을 100으로 해서 43종의 원소의 원자량을 결정하였다. 베르셀리우스의 실험은 상당히 정밀한 것이었지만 계산에 문제가 있었다.
 
[[아보가드로의 법칙]]이 [[카니차로]]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이로부터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 확실해진 뒤에야 원자량의 측정도 분명한 근거를 갖게 되고 정확한 것이 되었다. 그리하여 원자량의 기준으로 산소를 16.000으로 하기로 하였다. 그러면 수소는 거의 1이 된다. 1913년 영국의 [[소디]]에 의해서 [[동위 원소]]의 개념이 분명해진 뒤, 같은 원소의 원자에도 무게가 다른 것이 있음이 명백해지자 원자량은 그 평균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하여, 산소에도 무게(질량수)가 16, 17, 18인 것이 있음을 알게 되어, 무엇을 기준으로 삼는가가 재검토되었는데, 1962년 이후 질량수 12인 탄소 원자의 질량을 기준으로 삼게 되었다.
 
==원자 질량의 측정==
원자들의 질량에 대한 비교와 측정은 [[질량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다.
== 바깥 고리 ==
*[http://www.carlton.srsd119.ca/chemical/molemass/ 원자 질량의 개념과 측정에 대한 강좌]
줄 13 ⟶ 9:
 
== 참고 문헌 ==
<references/>
{{글로벌}}
 
{{토막글|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