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로머레이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Category:텔로미어을(를) 추가함
Minsu907 (토론 | 기여)
19번째 줄:
 
====텔로머레이스에 있는 RNA분자의 역할을 밝히다. (1989)====
[[파일:159RNA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jpg|섬네일|400px|오른쪽|텔로머레이스의 RNA 분자인 159RNA와 그에 상보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NucleotidesOligonucleotides)]]
이 당시 텔로머레이스가 단백질 분자와 RNA분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힌 상태였다. 단백질 분자가 텔로미어를 신장시키는 효소로서 작용한다는 것은 알 수 있었지만 RNA 분자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지 못하는 상태였다. 엘리자베스 블랙번과 캐럴 그라이더는 텔로머레이스의 RNA 분자가 텔로미어를 합성하는 데에 있어서 주형으로 작용할 것이라 가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실험을 위해 텔로머레이스로 추정되는 물질을 정제한 후, 싸운썬 블랏(영어: Southern blot) 실험 기법을 통해 ''테트라하이메나'' [[게놈]](genome)에서 텔로머레이스의 RNA 유전자를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유전자에서 159염기로 이루어진 RNA 분자를 찾아내었고, 그 159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서로 다른 서열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를 1부터 10까지 만들었다. 그림에는 결과를 도출하는 데에 필요한 서열들만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표시된 -CAACCCCAA- 서열은 주형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하는 서열이다. 실험에는 [[리보뉴클레이스]] H 불활성화(RNase H inactivation)를 사용하였다. 리보뉴클레이스 H를 첨가해주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붙는 RNA 서열이 분해되기 때문에, 만약 주형 서열이 분해된다면 텔로미어의 신장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올리고 3만 텔로미어 신장을 저해하였고, 올리고 6, 7, 8, 10은 저해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올리고 3과 올리고 8의 사이에 있는 CAACCCCAA 서열이 텔로미어를 신장하는 데에 사용되는 주형 서열임을 알 수 있다. 이외에 수행한 다른 실험 결과들도 이 실험적 증거를 뒷받침하였다.<ref>Greider CW, Blackburn EH. A telomeric sequence in the RNA of Tetrahymena telomerase required for telomere repeat synthesis. Nature. 1989 Jan 26;337(6205):331‐7.</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