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12처'''(十二處)는 불교의 여러 [[일체법]] 분류체계 또는 분석방식 중 하나로, 존재 전체를 [[안처]](眼處){{.cw}}[[이처]](耳處){{.cw}}[[비처]](鼻處){{.cw}}[[설처]](舌處){{.cw}}[[신처]](身處){{.cw}}[[의처]](意處)의 '''6근'''(六根) 또는 '''6내처'''(六內處)<ref group="주해" name="6내처외처">
'''내외'''(內外)는 내적인 것[內]과 외적인 것[外]을 말한다. 《[[구사론]]》의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77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마음]], 즉 [[6식]](識)은 [[아집]](我執, ahaṃkāra)의 의지처가 되기 때문에 나[我]라고 가설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12처]](處) 중 내적인 것은 나[我]의 소의(所依)가 되는 가까운 것인 [[6근]](根), 즉 앞의 6처(處)를 말하며, 외적인 것은 나[我]의 소연(所緣)이 되는 먼 것인 [[6경]](境), 즉 뒤의 6처(處)를 말한다. [[18계]](界)의 경우, 내적인 것은 나[我]의 소의(所依)가 되는 가까운 것인 [[6근]](根)과 [[6식]](識)을 말하며, 외적인 것은 나[我]의 소연(所緣)이 되는 먼 것인 [[6경]](境)을 말한다.</ref>와 [[색처]](色處){{.cw}}[[성처]](聲處){{.cw}}[[향처]](香處){{.cw}}[[미처]](味處){{.cw}}[[촉처]](觸處){{.cw}}[[법처]](法處)의 '''6경'''(六境) 또는 '''6외처'''(六外處)<ref group="주해" name="6내처외처"/>의 총 12가지 처(處)로 분류 또는 분석하는 [[법체계 (불교)|법체계]]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77&DTITLE=%A4Q%A4G%B3B 十二處]". 2012년 9월 20일에 확인|quote=<br>"十二處:
 指六根加六境。又作十二入、十二入處。處為梵語 āyatana 之譯,乃養育、生長之意。即長養心、心所之法,計分為十二種,乃眼、耳、鼻、舌、身、意、色、聲、香、味、觸、法等處。前六處為六根,係屬主觀之感覺器官,為心、心所之所依,有六內處之稱;後六處為六境,屬客觀之覺知對象,為心、心所之所緣,稱六外處。此十二處攝盡一切法,若配於五蘊,眼、耳、鼻、舌、身、色、聲、香、味、觸等十色處,相當於色蘊;意處即為識蘊,賅攝六識及意界之七心界;法處為受、想、行三蘊,即賅攝四十六心所、十四不相應行、無表色及三無為等六十四法。〔雜阿含經卷十三、大毘婆沙論卷七十一〕"}}{{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B%AD%EC%9D%B4&rowno=42 十二入(십이입)]". 2012년 9월 20일에 확인}}
 
12처는 '''12입'''(十二入) 또는 '''12입처'''(十二入處)라고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77&DTITLE=%A4Q%A4G%B3B 十二處]". 2012년 9월 20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B%AD%EC%9D%B4&rowno=42 十二入(십이입)]". 2012년 9월 20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