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6번째 줄: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주요 논서인 《[[성유식론]]》 에 따르면, '''오작'''(惡作) 또는 '''회'''(悔)는 [[마음 (불교)|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행한 일[所作業]을 미워[惡]하게 하고 후회[追悔]하게 하는 것을 [[본질적 성질]][性]로 하는 [[마음작용]]이다.
그리고, [[악작오작 (마음작용)|악작오작]](惡作) 또는 [[회 (마음작용)|회]](悔)의 [[마음작용]]은 이러한 [[본질적 성질]]을 바탕으로 [[마음 (불교)|마음]]으로 하여금 [[사마타]][止, śamatha, 奢摩他, 삼마지]에 들지 못하도록 장애하는 것을 [[본질적 작용]][業]으로 한다. 또한, 《[[성유식론]]》에 따르면, 행하지 않은 일[所不作業]에 대해 후회하게 하는 것도 악작오작(惡作) 또는 회(悔)의 [[마음작용]]에 포함된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7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5c11 T31n1585_p0035c11 - T31n1585_p0035c14]. 회(悔)심소}}{{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7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48 348 / 583]. 회(悔)심소}}{{sfn|황욱|1999|p=72. 회(悔)심소}}{{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5b19 T31n1605_p0665b19 - T31n1605_p0665b22]. 회(悔)심소|quote=<br>"何等惡作。謂依樂作不樂作應作不應作。是愚癡分心追悔為體。或善或不善或無記。或時或非時。或應爾或不應爾。能障心住為業。"}}{{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9c16 T31n1606_p0699c16 - T31n1606_p0699c23]. 회(悔)심소|quote=<br>"惡作者。依樂作不樂作應作不應作。是愚癡分心追悔為體。或善或不善或無記。或時或非時。或應爾或不應爾。能障心住為業。樂作者。樂欲為先造善惡行。不樂作者。由他勢力及諸煩惱之所驅逼。令有所作如其所應。愚癡分者隨煩惱所攝。時者。乃至未出離。非時者。出離已後。應爾者。於是處。不應爾者。於非處。"}}{{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2|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2_p0849b26 T31n1612_p0849b26]. 회(悔)심소|quote=<br>"云何惡作。謂心變悔為性。"}}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