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대학 정보

캠퍼스 편집

저는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도시/교외/시골의 구분이 왜 중요한 정보이지요? 예를 들어, 경기도에서 어디가 교외이고 어디가 농촌인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적어도 대한민국에서 이런 구분은 불필요하지 않을까요? --정안영민 2006년 2월 20일 (월) 23:17 (KST)답변

도시/시골의 구분은 중요합니다. 한눈에 캠퍼스의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으니까요. 시골에 있는 대학은 조용하고 한적한 반면 학내 편의 시설 말고는 다른 유흥/문화 시설이 없어 대학내에서만 빙빙 돌아다니다가 지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학 문을 나섰는데 밭이 보이고 주변에 고속도로와 주유소 밖에 보이지 않는다면 시골로 분류하면 되겠습니다. 도시에 있는 대학은 떠들썩하고 치안이 조금 위험한 반면 공연이나 박물관 방문 또는 사회 활동에 유리합니다. 동시에 학생들이 캠퍼스 외부로 쉽게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주말에는 캠퍼스가 썰렁해지는 측면도 있습니다.
.
남한에서 불필요한 구분이라고 하시는데, 1) 위키백과는 남한백과가 아니라 한국어백과사전이며, 2) en:Seoul National University를 보십시오. --김용호 (+,  ) 2006년 3월 8일 (수) 16:29 (KST)답변

대한민국 사람이 보기에 불필요한 기준이라고 말씀드린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대학교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기준이 아닐까 말씀드린 겁니다. 누가 작심하고 연구해서 도시/교외/시골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지 않는한, 판단은 매우 주관적이기 쉽고 이러한 주관적 판단은 백과사전에서 되도록 지양해야 합니다. 게다가 캠퍼스 두 세개씩 있는 대학도 많은데, 캠퍼스마다 도시/교외/시골 구분을 하는 것도 번잡스럽고 큰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한 가지 예를 들면, 서울대학교는 학교 앞에 거의 아무것도 없습니다. 대학 문을 나서면 그린 벨트라 화훼업하시는 분들과 등산하러 온 사람들만 있고 고속도로는 아니지만 큰 길이 지나갑니다. 그렇다고 서울대학교가 시골에 있다고 하기도 좀 그렇고.. 시골에 있다고 그러면 뭔가 "구려보이는" 느낌이 나므로(저만 그런가요?), 객관성을 유지하기도 힘듭니다. --정안영민 2006년 3월 15일 (수) 19:28 (KST)답변

삭제하였습니다. 필요한 상황이 생기면, 그 때 추가하지요. :) --정안영민 2006년 7월 31일 (월) 15:01 (KST)답변

대학원 설명 편집

그리고 "대학원 설명"도 왜 필요한지 모르겠는데, 그곳에 "대학원_설명=대학원생"이라 써 넣는 경우 말고 다른 어떤 경우가 있을 수 있죠? 혹시 특수과정(최고경영자과정 등등..)이 있더라도 대학원생 역시 있는 경우가 많지 않을까요? --정안영민 2006년 2월 20일 (월) 23:17 (KST)답변

제가 저 템플릿을 처음 번역했을 시기에는 대학들의 설명에 MBA등의 학생수가 나와있었는데 그걸 대학원 과정의 일부로 삽입해서 사용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제는 없어졌더군요. 지우셔도 될 듯. --김용호 (+,  ) 2006년 3월 8일 (수) 16:29 (KST)답변

교수 편집

교수의 기준이 모호합니다. 정교수,부교수,조교수,전임강사,기금교수(기금부교수,기금조교수,기금전임강사),계약제교수(기금부교수,기금조교수,기금전임강사),초빙교원,전임대우연구교원,계약제전임대우강사 등 다양한 직위가 있는데, 어디까지를 교수의 분류에 넣어서 표시해야할까요? --정안영민 2006년 2월 27일 (월) 16:42 (KST)답변

남한 대학들은 교수 대 학생 비율 (faculty-to-student ratio)을 표시하지 않나요? 1:10, 1:20 이렇게 말입니다. 대학들이 경쟁적으로 비율을 표시할 경우 자연스레 표준이 생기게 되는데 그걸 이용하면 됩니다. --김용호 (+,  ) 2006년 3월 8일 (수) 16:29 (KST)답변

이 곳에 들러서 어떤 기준이 좋을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정안영민 2006년 3월 13일 (월) 11:14 (KST)답변

일단 위에 연결되어 있는 통계자료에서 [교수+부교수+조교수+전임강사]에 해당하는 숫자를 대한민국 대학교의 교수수 기준으로 삼겠습니다. --정안영민 2006년 4월 29일 (토) 11:10 (KST)답변

위에 링크는 시간이 지나면서 깨졌네요. 새로 올라온 자료(2006년 현황)은 이 곳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2006년 11월 15일에 ‘2006년도 대학 및 대학원대학 교원현황 통계’란 제목으로 올라온 글에 첨부된 파일(xls)에 실려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교수+부교수+조교수+전임강사]를 교수 수의 기준으로 삼겠습니다. --정안영민 2007년 10월 25일 (목) 06:22 (KST)답변

위치의 표시 범위 편집

대한민국의 대학교는 대한민국 + 특별시/광역시/도 까지만 표시하는 것이 어떨까요? 그 이상 자세히 표시하다보면 캠퍼스도 여러개 있는 학교도 있고 해서, 미관상 좋지 않아 보입니다. --정안영민 2006년 3월 19일 (일) 03:43 (KST)답변

국가를 따로 표시하도록 변경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시군구까지 밝히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안영민 2006년 4월 5일 (수) 01:51 (KST)답변

명칭 변경 편집

  • 모토 => 표어 , 마스코트 => 상징

위과 같이 변경하겠습니다. --정안영민 2006년 3월 19일 (일) 03:52 (KST)답변

웹사이트 편집

어차피 공식 홈페이지는 바깥 고리의 가장 처음에 위치할텐데, 굳이 표에 웹사이트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름이 길 경우에는 광운대학교와 같이 틀이 깨질 염려도 있고요. 빼는 것이 어떨까요? --정안영민 2006년 8월 5일 (일) 17:45 (KST)답변

도메인네임은 그다지 중요해보이지 않아서 빼도 될 것 같은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실지.. 4년 전 의견이군요!;;--Ifflies (토론) 2010년 8월 20일 (금) 23:58 (KST)답변

학생수에 재학생 수를 적나요? 재적생(재학+휴학) 수를 적나요? 편집

--Ilovesabbath (토론) 2009년 3월 20일 (금) 23:27 (KST)답변

저는 재학, 휴학 합한 수를 넣고 있습니다. 그냥 학생 수라고 나와있어서요..--Ifflies (토론) 2010년 8월 20일 (금) 23:55 (KST)답변

학생수 적는 방식이 달라졌네요~ 편집

학생수(학부,대학원 학생수 합한 항목) 안적은 학교들에서 학생수 글자가 나오고 있어요. 틀을 고치든 각 대학 페이지를 고치든 해야겠네요.--Ifflies (토론) 2010년 8월 20일 (금) 23:54 (KST)답변

고쳤어요.--Ifflies (토론) 2010년 9월 6일 (월) 03:27 (KST)답변

대학 정보에도 영문 표기와 한자 표기가 필요할까요? 편집

틀:학교 정보에는 영문 표기와 한자 표기가 있는데, 대학 정보에는 그런 부분이 없습니다. 대학 정보에도 이 부분이 필요할까요? 특히 대학 같은 경우, 대한민국에 있는 대학 뿐만 아니라, 외국에 있는 대학 문서도 이런 부분이 해당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여러분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Tcfc2349 (토론) 2014년 10월 22일 (수) 15:42 (KST)답변

현재에도 영문 표기나 한자 표기를 br 태그를 써서 입력할 수는 있으므로 바뀌는 것은 디자인뿐입니다. 틀:학교 정보처럼 영문 표기와 한자 표기를 따로 구분할 수 있게 한다면 보다 더 깔끔하게 보일 것이라 생각하므로 구분하는 것에는 찬성합니다. 다만, '영문 표기'라는 변수명은 재고해보았으면 좋겠네요. 대한민국 국내의 학교나 영어권의 학교의 경우 별 문제가 없지만, 프랑스나 독일 등 라틴문자를 쓰는 비영어권 국가들의 학교에 '영문 표기'라는 변수명은 어울리지 않습니다. 틀:학교 정보는 해당 틀을 쓰는 외국 학교가 얼마 안 되고 그마저도 대부분이 영어권 국가의 학교인지라 위화감이 없지만, 틀:대학 정보에 적용할 때는 달리 써야한다고 봅니다. Bluemersen (+) 2014년 10월 22일 (수) 16:28 (KST)답변

 정보 틀:대학 정보에 '한자표기' 변수는 추가하였습니다. 이미 '라틴어이름' 변수가 있어 서구권 대학의 라틴어표기는 기재할 수 있기에, 이에 상응하여 한자표기도 가능하게 변수를 추가하였습니다. Bluemersen (+) 2018년 7월 18일 (수) 20:50 (KST)답변

"대학 정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