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새목

파랑새목(Coraciiformes)은 조강의 한 목이다. 남극 대륙을 제외한 전세계에 서식한다. 전체적으로 색채가 선명한 조류가 많다.

Picto infobox reptile.png
파랑새목
파랑새
파랑새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하강: 신악하강
상목: 신조상목
목: 파랑새목
(Coraciiformes)
Forbes, 1884
  • 본문 참조
파랑새목의 분포
Kingfisher range.png
파랑새목의 분포 지역

파랑새목에 속하는 새들은 머리뼈 등의 해부학적인 특징 외에 네 개의 발가락 중 앞쪽 세 개가 밑부분에서 유합하고 있는 점이 공통된 특징인데, 대부분 아름답고 찬란한 색깔을 띤다. 일반적으로 동물질을 섭취하는데, 식성에 따라 부리의 모양이 크게 변화되어 있다. 파랑새·물총새·후투티 등을 비롯하여 190종이 알려져 있다.

하위 과편집

계통 분류편집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의한 육조류 계통 분류이다.[1]

육조류
수리류

콘도르목

수리목

올빼미목

파랑새류

쥐새목

뻐꾸기파랑새목

비단날개새목

코뿔새목

파랑새목

딱따구리목

오스트레일리아조류

느시사촌목

매목

앵무목

참새목

다음은 2014년 자비스 등(Jarvis, E.D.)[2]과 2013년 유리 등(Yury, T. et al.)의 연구[3]에 기초한 천공조류의 계통 분류이다.

천공조류

뻐꾸기파랑새목

진천공조류

비단날개새목

코뿔새목
코뿔새아목

코뿔새과

땅코뿔새과

후투티아목

후투티과

후투티사촌과

딱따구리목

파랑새목

벌잡이새과

파랑새과

땅파랑새과

난쟁이새과

벌잡이새사촌과

물총새과(뿔호반새류호반새류 포함)

각주편집

  1. Braun, E.L. & Kimball, R.T. (2021) Data types and the phylogeny of Neoaves. Birds, 2(1), 1-22; https://doi.org/10.3390/birds2010001
  2. Jarvis, E. D.; Mirarab, S.; Aberer, A. J.; Li, B.; Houde, P.; Li, C.; Ho, S. Y. W.; Faircloth, B. C.; Nabholz, B.; Howard, J. T.; Suh, A.; Weber, C. C.; Da Fonseca, R. R.; Li, J.; Zhang, F.; Li, H.; Zhou, L.; Narula, N.; Liu, L.; Ganapathy, G.; Boussau, B.; Bayzid, M. S.; Zavidovych, V.; Subramanian, S.; Gabaldon, T.; Capella-Gutierrez, S.; Huerta-Cepas, J.; Rekepalli, B.; Munch, K.; 외. (2014). “Whole-genome analyses resolve early branches in the tree of life of modern birds” (PDF). 《Science》 346 (6215): 1320–1331. doi:10.1126/science.1253451. PMID 25504713. 
  3. Yuri, T. et al. (2013) Parsimony and Model-Based Analyses of Indels in Avian Nuclear Genes Reveal Congruent and Incongruent Phylogenetic Signals. Biology, 2(1):419-444. doi:10.3390/biology201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