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KB Dubeolsik for Old Hangul (NG3).svg

원본 파일(SVG 파일, 실제 크기 900 × 300 픽셀, 파일 크기: 185 KB)

파일 설명

설명
English: A modified version of South Korean Dubeolsik (two-set type) for old hangul letters. This layout is contained in Nalgaeset Hangul Input Method (NG3), a free (but not a open source) Korean input method and text editor. Note:
  • The shapes and arrangement of keys are based on the typical IBM PC-compatible/Windows keyboards sold in South Korea (see File:KB South Korea.svg).
  • The backslash is replaced with the Won sign or both of them are printed on many South Korean keyboards. The (halfwidth) backslash is replaced with the Won sign in many South Korean encoding systems.
    • Exception: On the Korean keyboards for Mac because the backslash is printed because it is not replaced with the Won sign in Mac OS.
  • The vertical bar | (Shift+\) is also replaced as the broken bar ¦  on some South Korean keyboards, but the broken bar in Unicode (U+00A6) is not inputted by most of Korean IMEs. The (halfwidth) vertical bar and the broke bar are ambiguous in some character encoding systems such as ASCII and EUC-KR.
  • In this picture, the E in a quadrangle (Shift+ㅡ, or Shift+M on QWERTY) means "to terminate the hangul combination" ("E" is the code name for this special ability in NG3). The old Korean spellings contains more complicated consonantal groups (such as ㅺ, ㅴ) than in the modern one, so it is useful because Dubeolsik can cause ambiguity between the first and final consonants. This is same as in the F in a quadrangle in the Dubeolsik for Old Hangul by Microsoft (see this) and in HWP (see this).
  • In this picture, the circle with a dotted line (Shift+ㅓ, or Shift+J on QWERTY) means the "filler". The key inputs an empty consonant or vowel in the syllable.
  • Shift+ㅛ(Y) and Shift+ㅕ(U) are tone mark of Old Hangul and combining characters in Unicode. They are not dead keys and typed in the LAST while typing a syllable.
한국어: 날개셋 한글 입력기에 내장된 옛한글 입력용 두벌식 자판.

참고:

  • E에 네모가 쳐진 것(Shift+ㅡ)은 한글의 조합을 강제로 중단하는 키이다(E는 날개셋 한글 입력기 내에서 이러한 기능을 하는 특수 코드를 가리킴). 옛한글에서는 ㅺ, ㅴ과 같이 현대 철자보다 훨씬 복잡한 자음 표기가 존재하는데, 두벌식 자판의 특성상 이런 자음을 입력할 때 초성과 종성을 구분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키는 이 때에 유용하다. 이 키는 마이크로소프트(MS)나 한/글 워드프로세서(HWP)의 두벌식 옛한글 자판(MS의 자판, HWP의 자판)의 F에 네모가 쳐진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 Shift+ㅛ and Shift+ㅕ는 방점으로, 유니코드의 결합 문자(combining character)이다. 이 키는 한글 한 음절의 가장 ‘마지막’에 입력한다.
날짜
출처 자작
저자 Yes0song
SVG 발전
InfoField
 
SVG 파일의 소스 코드를 2가지의 실수입니다.
 
이 W3C-무효 벡터 그림Inkscape(으)로 제작되었습니다, or with something else.


라이선스

나는 아래 작품의 저작권자로서, 이 저작물을 다음과 같은 라이선스로 배포합니다:
w:ko: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동일조건변경허락
이용자는 다음의 권리를 갖습니다:
  • 공유 및 이용 – 저작물의 복제, 배포, 전시, 공연 및 공중송신
  • 재창작 – 저작물의 개작, 수정, 2차적저작물 창작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 저작자표시 – 적절한 저작자 표시를 제공하고, 라이센스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고, 변경사항이 있는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당신은 합리적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사용권 허가자가 당신 또는 당신의 사용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없습니다.
  • 동일조건변경허락 – 만약 당신이 이 저작물을 리믹스 또는 변형하거나 이 저작물을 기반으로 제작하는 경우, 당신은 당신의 기여물을 원저작물과 동일하거나 호환 가능한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여야 합니다.
GNU head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1.2판 또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발행한 이후 판의 규정에 따라 본 문서를 복제하거나 개작 및 배포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에는 변경 불가 부분이 없으며, 앞 표지 구절과 뒷 표지 구절도 없습니다. 본 사용 허가서의 전체 내용은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부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라이선스 중에서 목적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명

#시간의 글 담는 예전키

이 파일에 묘사된 항목

다음을 묘사함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12년 3월 4일 (일) 18:572012년 3월 4일 (일) 18:57 판의 섬네일900 × 300 (185 KB)Yes0songThe F in a quadrangle to the circle with a dotted line. The "filler" letter in NG3 does not represented by "F".
2010년 12월 27일 (월) 16:332010년 12월 27일 (월) 16:33 판의 섬네일900 × 300 (186 KB)Yes0songI fixed the opacity.
2010년 12월 20일 (월) 16:432010년 12월 20일 (월) 16:43 판의 섬네일900 × 300 (186 KB)Yes0songminor edit
2010년 12월 20일 (월) 16:402010년 12월 20일 (월) 16:40 판의 섬네일900 × 300 (185 KB)Yes0song{{Information |Description={{en|1=A modified version of South Korean dubeolsik (two-set type) for old hangul letters. This layout is contained in [http://moogi.new21.org/prg4.html Nalgaeset Hangul Input Method], a free (but not a open source) Korean input

다음 문서 2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위키의 문서 목록

다음 위키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en.wikipedia.org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 목록
  • vi.wikipedia.org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 목록
  • www.wikidata.org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