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다누스(학명Pandanus boninensis 판다누스 보니넨시스[*])는 일본 오가사와라제도의 건조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종이다.[2] 지주근이 있으며 바위 위에서 성장한다.[3] Phylloplatypus pandani라는 곤충은 판다누스의 잎을 먹는 식식성 딱정벌레로 1998년 과학자들이 처음 발견했다.[4] Kodonospora tetracolumnaris라는 곰팡이는 판다누스의 죽은 잎에서 분리시켜 1993년 기술되었다.[5]

판다누스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식물계
(미분류): 관다발식물
(미분류): 속씨식물
(미분류): 외떡잎식물
목: 판다누스목
과: 판다누스과
속: 판다누스속
종: 판다누스
학명
Pandanus boninensis
Warb.
향명
  • 일본어: 蛸の木(타코노키, 문어나무)[1]
    露兜樹(로카부토주, 노구수)
  • 중국어: 小笠原露兜(오가사와라노구)

특징

편집

오가사와라제도 바다 근처에 자생하며 높이는 3~12m이다.[6] 판다누스과 식물 전반에서 볼 수 있는 특징으로 기근이 지주처럼 줄기를 휘감아 문어처럼 보여 판다누스목의 모식종이 된다. 나무껍질은 아당과 마찬가지로 담갈색이며 낙엽 자국의 가로 줄무늬가 있다.[1] 지주근은 매끈하고 작은 돌기가 드문드문 있다.[1]

잎은 가늘고 길며 길이 1-2m 정도에 이르며 끝이 뾰족하고 엽연에는 크고 날카로운 가시 같은 톱니가 달린다.[6] 잎의 가시는 아당보다 촘촘하다.[1]

꽃이 피는 시기는 초여름이 되는 7월이다.[6] 자웅이주이다.[6] 수꽃은 흰색이며 암꽃은 담록색이고, 여름에 수십 개의 열매가 굳어진 파인애플 모양의 집합과가 달린다. 집합과는 둘레가 약 20cm이며, 가을에 주황색으로 익는다.[6] 익은 열매는 보닌날여우박쥐가 즐겨 먹는다.[6] 또 열매는 삶아서 식용으로 하거나 식용유를 채취하는 원료로 삼는다.

오가사와라 제도의 고유종으로, 하치조섬 등에 유입되었으며, 잎의 아름다움 때문에 관엽식물로 판매되고 있다. 난세이 제도에 많이 번식하는 아당의 근연종으로, 아당의 잎에 난 작은 톱니 등으로 이를 구분할 수 있다.

사진

편집


각주

편집
  1. 鈴木庸夫・高橋冬・安延尚文 2014, 230쪽
  2. “Ogasawara subtropical moist forests”. 《Terrestrial Ecoregions》. World Wildlife Fund. 2006년 11월 21일에 확인함. 
  3. “Conservation Portraits: Botanical Illustrations of Japan’s Endangered Plants”. 《Arboretum Exhibits》. The United States National Arboretum. 2006년 11월 21일에 확인함. 
  4. Kato, M (January 1998). “Unique leafmining habit in the bark beetle clade: A new tribe, genus, and species of Platypodidae (Coleoptera) found in the Bonin Islands”. 《Annals of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1 (1): 71–80. 
  5. Ando, K (April 1993). “Kodonospora, a new staurosporous hyphomycete genus from Japan”. 《Mycological Research》 97 (4): 506–508. doi:10.1016/S0953-7562(09)80139-1. 
  6. 永岡書店 1997, 29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