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멜로(pomelo, 학명: Citrus maxima 키트루스 막시마[*])는 운향과과일 나무(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이다.[5]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이다.[2][6]

포멜로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무환자나무목
과: 운향과
속: 귤속
종: 포멜로
학명
Citrus maxima
(Burm.) Merr.

학명이명
이명 목록[1][2]
  • Aurantium decumana (L.) Mill.
  • Aurantium maximum Burm.
  • Citrus × aurantium f. grandis (L.) M.Hiroe
  • Citrus × aurantium var. decumana L.
  • Citrus × aurantium var. grandis L.
  • Citrus × aurantium subsp. decumana (L.) Tanaka
  • Citrus costata Raf.
  • Citrus decumana (L.) L.
  • Citrus grandis (L.) Osbeck
  • Citrus grandis f. buntan Hayata
  • Citrus grandis var. oblonga Hassk.
  • Citrus grandis var. sabon (Siebold ex Hayata) Hayata
  • Citrus grandis var. sphaerocarpos Hassk.
  • Citrus grandis var. yamabuki (Yu.Tanaka) Karaya
  • Citrus obovoidea Yu.Tanaka
  • Citrus pompelmos Risso
  • Citrus pseudograndis hort. ex Tan.
  • Citrus sabon Siebold ex Hayata
  • Citrus truncata Yu.Tanaka
  • Citrus yamabuki Yu.Tanaka
포멜로
100 g (3.5 oz)당 영양가
에너지159 kJ (38 kcal)
9.62 g
식이 섬유1 g
0.04 g
0.76 g
비타민함량 %DV
티아민 (B1)
3%
0.034 mg
리보플라빈 (B2)
2%
0.027 mg
나이아신 (B3)
1%
0.22 mg
비타민 B6
3%
0.036 mg
비타민 C
73%
61 mg
무기질함량 %DV
철분
1%
0.11 mg
마그네슘
2%
6 mg
망간
1%
0.017 mg
2%
17 mg
칼륨
5%
216 mg
나트륨
0%
1 mg
아연
1%
0.08 mg
기타 성분함량
수분89 g

미국 국립학술원의 전문가 권고를 바탕으로 추정된 칼륨의 경우를 제외하고,[3] 모든 수치는 미국의 성인 권장량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임.[4]

열매는 익었을 때 연한 녹색에서 황색을 띠고, 과육은 흰색(극히 드물게는 분홍색이나 빨간색)이며 외피가 매우 두껍다. 직경이15~25cm 정도 되는 대형 감귤류이며 무게는 보통 1~2kg이다. 맛은 그레이프프루트와 유사한데 쓴 맛이 없어 대체로 부드럽고 달다.[7]

포멜로는 귤속 재배식물의 교잡에 감귤나무(C. reticulata)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관여된 식물이다. 흔히 재배되는 감귤 품종들은 순수 감귤나무(C. reticulata) 유전자 이외에도 포멜로 유전자를 일부 포함한다. 그 외에도 오렌지로 불리는 당귤나무(C. × sinensis, 스위트오렌지)나 쓴귤(Citrus × aurantium, 비터오렌지), 그리고 그레이프프루트(Citrus × paradisi) 등 수많은 귤속 재배식물이 포멜로와 감귤나무의 자연적 교잡 또는 인공적 교잡을 통해 만들어진다. 감귤나무와 포멜로의 교잡이 일어날 때 포멜로 DNA의 비율과 과일의 크기 사이에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산도(신맛)에 관여하는 포멜로 유전자가 교잡종 감귤의 맛을 결정하기도 한다.[8]

교잡되지 않은 순수 포멜로 재배종으로 당유자, 만백유 등이 있다.

요리

편집

과육과 즙은 먹을 수 있으며, 껍질은 이나 설탕절임으로 활용된다.[9] 브라질에서는 껍질의 바깥쪽을 이용해 단맛이 나는 보존식을 만들며, 스펀지 같은 속껍질은 버린다. 스리랑카에서는 디저트로 먹으며, 때때로 설탕을 뿌려 먹는다. 폼엘로가 자생하는 동남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는 디저트로 흔히 먹으며, 소금을 뿌리거나 소금 혼합물에 찍어 먹거나 샐러드로 만들어 먹는다.[9] 필리핀에서는 폼엘로와 파인애플 주스를 섞어 분홍빛 음료를 만들기도 한다.[10]

이 과일은 기원전 100년경 중국에서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다.[9] 동아시아, 특히 광둥 요리에서는 브레이징한 폼엘로 속껍질이 섬유질이 풍부하고 지방 함량이 낮은 요리에 사용된다.[11]

사진

편집

각주

편집
  1. Citrus maxima (Burm.) Merr.”.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9년 7월 11일에 확인함. 
  2. Citrus maxima (Burm.) Merr.”. 《Plants of the World Online》 (영어).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7월 11일에 확인함. 
  3.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Health and Medicine Division; Food and Nutrition Board; Committee to Review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2019). 〈Chapter 4: Potassium: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Adequacy〉. Oria, Maria; Harrison, Meghan; Stallings, Virginia A.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The National Academies Collection: Reports funded b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20–121쪽. doi:10.17226/25353. ISBN 978-0-309-48834-1. PMID 30844154. 2024년 12월 5일에 확인함. 
  4.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4). “Daily Value on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DA》. 2024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28일에 확인함. 
  5. Merrill, Elmer Drew. An Interpretation of Rumphius's Herbarium Amboinense 296–297. 1917.
  6. Citrus maxima (Burm.) Merr.”. 《GRIN-Global Web v 1.10.5.0》 (영어). 1988년 12월 27일. 2019년 7월 11일에 확인함. 
  7. Markoulakis, Sophia (2004년 12월 25일). “Pomelo / Growing the granddaddy of grapefruit”. 《SFGate》 (영어). 2018년 3월 28일에 확인함. 
  8. Wu, Guohong Albert; Terol, Javier; Ibanez, Victoria; 외. (2018). “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PDF). 《Nature》 (영어) 554 (7692): 311–316. doi:10.1038/nature25447. PMID 29414943. 
  9. Morton, Julia F. (1987). “Pummelo: Citrus maxima. 《Fruits of warm climates》. NewCROP, New Crop Resource Online Program, Center for New Crops and Plant Products, Purdue University. 147–151쪽. 2020년 1월 31일에 확인함. 
  10. Hargreaves, Dorothy; Hargreaves, Bob (1970). 《Tropical Trees of the Pacific》. Kailua, Hawaii: Hargreaves. 51쪽. 
  11. “Braised pomelo pith”. 《Week in China》. 2017년 12월 8일. 2021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