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남구·울릉군
포항시 남구·울릉군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와 울릉군을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무소속의 김병욱 (초선, 2020년~)이다.
포항시 남구·울릉군 | |
---|---|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 |
![]() 경상북도 내 포항시 남구·울릉군 선거구의 경계(1996 총선). | |
현 선거구 | |
신설연도 | 1996년 |
국회의원 | 김병욱 (무소속) |
의원 수 | 1인 |
이전 선거구 | 포항시 영일군·울릉군 |
중복되는 선거구 | |
지역의회 | 포항시 제5선거구 포항시 제6선거구 포항시 제7선거구 포항시 제8선거구 울릉군 선거구 |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1995년 제1회 지방선거와 1996년 제15대 총선부터 신설되었다.
포항시의 전신인 영일군과 울릉군은 해방 당시부터 존재했다. 1948년 제1대 총선에서 영일군의 지역구는 영일군 갑과 영일군 을로 나뉘었고, 울릉군의 지역구는 그대로 '울릉도'로 설치되었다. 1949년 영일군 포항읍이 포항시로 승격되자 이듬해 제2대 총선에서 포항시와 영일군 갑·을의 3선거구 체제가 되었다. 1963년 제6대 총선부터는 세 선거구와 울릉군이 통합되어 포항시·영일군·울릉군이 되었다가, 1971년 제8대 총선에서는 잠시 포항시·울릉군과 영일군으로 나뉘기도 했다.
1973년 제9대 총선부터 중선거구제 실시로 포항시, 영일군, 울릉군에 영천군이 더해져 포항시·영일군·울릉군·영천군을 이루어 국회의원 2인을 뽑게 되었다. 이후 1981년 제11대 총선에서 영천군이 분리되어 다시 포항시·영일군·울릉군이 되었다. 1988년 제13대 총선에서 소선거구제로 회귀하면서 선거구 분할이 이뤄짐에 따라, 포항시·영일군·울릉군도 포항시와 영일군·울릉군으로 분할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제1회 지방선거를 앞두고 행정구역 개편으로 영일군이 포항시에 편입되고, 포항시는 다시 또 포항시 남구와 포항시 북구로 분구되면서 이에 맞게 지자체장과 지역의회 선거를 치렀다. 이듬해 1996년 제15대 총선부터는 국회의원 선거구도 바뀌어 포항시의 지역구를 포항시 남구와 북구로 우선 나누고, 포항시 남구에 울릉군을 추가해 지금의 포항시 남구·울릉군을 이루게 되었다.
21대 총선에서 경북 북부의 인구가 많이 감소하면서 울릉군의 분리 논의가 나왔다. 하지만 실제 분리되지는 않았다.
관할 구역편집
- 포항시 남구 전역
- 울릉군 전역
역대 국회의원편집
1996년 이전의 국회의원 목록은 포항시의 국회의원 문서를 참고.
선거 | 의원 | 정당 | 비고 | |
---|---|---|---|---|
1996 | 이상득 | 신한국당 | 코오롱그룹 회장 제17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한일의원연맹 회장 | |
2000 | 한나라당 | |||
2004 | ||||
2008 | ||||
2012 | 김형태 | 새누리당 | ||
2013 | 박명재 | |||
2016 | ||||
2020 | 김병욱 | 미래통합당 |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 선거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 | % | ±% | ||
---|---|---|---|---|---|---|---|---|
1996년 제15대 총선 유권자수: 181,102 투표수: 116,673 | 신한국당 승리 | 이상득 | 신한국당 | 55,105 | 48.77 | |||
장준익 | 자유민주연합 | 32,104 | 28.41 | |||||
김병구 | 민주당 | 20,945 | 18.53 | |||||
김만철 | 새정치국민회의 | 4,823 | 4.26 | |||||
2000년 제16대 총선 유권자수: 188,635 투표수: 121,655 | 한나라당 승리 | 이상득 | 한나라당 | 64,067 | 53.45 | |||
강석호 | 자유민주연합 | 45,043 | 37.58 | |||||
김병구 | 새천년민주당 | 10,733 | 8.95 | |||||
2004년 제17대 총선 유권자수: 195,239 투표수: 119,815 | 한나라당 승리 | 이상득 | 한나라당 | 59,370 | 50.10 | |||
박기환 | 열린우리당 | 41,449 | 34.97 | |||||
서인만 | 민주노동당 | 8,067 | 6.80 | |||||
김형태 | 무소속 | 7,437 | 6.27 | |||||
김병구 | 무소속 | 2,177 | 1.83 | |||||
2008년 제18대 총선 유권자수: 203,214 투표수: 99,607 | 한나라당 승리 | 이상득 | 한나라당 | 68,392 | 69.62 | |||
허대만 | 통합민주당 | 16,767 | 17.06 | |||||
이성석 | 무소속 | 10,733 | 10.92 | |||||
백운학 | 평화통일가정당 | 2,337 | 2.37 | |||||
2012년 제19대 총선 유권자수: 209,261 투표수: 112,212 | 새누리당 승리 | 김형태 | 새누리당 | 45,775 | 41.24 | |||
박명재 | 무소속 | 24,297 | 21.89 | |||||
정장식 | 무소속 | 21,105 | 19.01 | |||||
허대만 | 민주통합당 | 19,802 | 17.84 | |||||
2013년 재보궐선거 유권자수: 210,156 투표수: 73,425 | 새누리당 승리 | 박명재 | 새누리당 | 57,309 | 78.56 | |||
허대만 | 민주당 | 13,501 | 18.50 | |||||
박신용 | 통합진보당 | 2,132 | 2.92 | |||||
2016년 제20대 총선 유권자수: 209,993 투표수: 108,519 | 새누리당 승리 | 박명재 | 새누리당 | 75,569 | 71.9 | |||
박승억 | 민중연합당 | 15,851 | 15.1 | |||||
임영숙 | 무소속 | 13,740 | 13.1 | |||||
2020년 제21대 총선 유권자수: 206,620 투표수: 135,978 | 미래통합당 승리 | 김병욱 | 미래통합당 | 74,794 | 55.83 | |||
허대만 | 더불어민주당 | 45,968 | 34.31 | |||||
박승호 | 무소속 | 11,034 | 8.23 | |||||
박승억 | 민중당 | 1,345 | 1.00 | |||||
박덕춘 | 국가혁명배당금당 | 825 | 0.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