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모음곡 (바흐)
프랑스 모음곡 BWV 812–817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가 1722년에서 1725년 사이에 건반 악기(하프시코드 또는 클라비코드) 연주용으로 쓴 6개의 모음곡이다. 모음곡 1번에서 4번은 일반적으로 172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첫 번째 모음곡은 다소 더 일찍 작곡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프랑스 모음곡'이라는 이름은 바흐의 전기 작가 요한 니콜라우스 포르켈이 1802년에 쓴 바흐 전기에서 "프랑스식으로 쓰여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프랑스 모음곡이라고 부르다." 그러나 이 주장은 정확하지 않다. 바흐의 다른 모음곡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이탈리아 관습을 따른다. 이 모음집에 대해 살아남은 최종 사본은 없으며 장식은 사본에 따라 유형과 정도가 모두 다르다. 첫 번째 모음(D단조)과 세 번째 모음(B단조)의 꾸랑트는 프랑스 스타일이고 나머지 네 모음의 꾸랑트는 모두 이탈리아 스타일이다. 어쨌든 바흐는 프랑스 방식과는 다른 춤 동작(6번째 모음곡의 폴로네즈와 같은)도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알레망드 뒤의 빠른 2악장은 쿠랑테(프랑스 스타일) 또는 코렌테(이탈리아 스타일)로 명명되지만 바흐 카탈로그 목록에 따르면 이러한 모든 모음곡에서 2악장은 쿠랑테로 명명된다.
외부 링크편집
- French Suites: Scores -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 (IMSLP)
- French Suites Archived 2021년 4월 11일 - 웨이백 머신, Mutopia Project (free sheet music)
- Liner notes for recording by Angela Hewitt
- Liner notes Archived 2021년 4월 11일 - 웨이백 머신 for recording by Julian Perkins
- Liner notes Archived 2020년 9월 3일 - 웨이백 머신 for recording by Masaaki Suzuki
- 랄프 커크패트릭의 연주: 프랑스 모음곡
- 서스턴 다트의 연주: 프랑스 모음곡
- 머리 페라이어의 연주: 프랑스 모음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