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오르

빙하로 만들어진 좁고 깊은 만

피오르 또는 피오르드(노르웨이어: fjord, 영어: fiord) 또는 협만(峽灣)은 빙하로 만들어진 좁고 깊은 을 말한다. 옛날 빙하로 말미암아 생긴 U자 모양의 골짜기에, 빙하기 종결 이후 빙하가 녹아 해안선이 상승하면서 바닷물이 침입한 것이다.[1] 피오르가 형성될 때, 해수면이 침식기준면으로 작용하지 못하였으므로, 해수면보다 깊이가 깊은 피오르도 있다.[1] 해수면이 올라갈 때 생기는 지형으로 유명한데, 한국에서는 볼 수 없다. 피오르 해안은 빙하가 두껍게 발달한 지역에서 빙하로 인해 계곡이 U자형으로 깊게 패여 거기에 바닷물이 침입하여 생기는 지형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한국처럼 빙하가 없었던 곳에서는 이러한 지형은 볼 수 없다. 유럽의 노르웨이 해안, 남미 칠레 남부의 해안, 그린란드 해안 등이 유명하다

피오르의 대표적인 지형

피오르 해안의 예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Frederick K. Lutgens; Edward J. Tarbuck (2009). 《지구시스템의 이해》 제5판. 서울: 박학사. 146쪽. ISBN 9788991633605.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피오르드해안"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