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둥현
핑둥현(병동현, 중국어: 屏東縣, 병음: Píngdōng Xiàn)은 중화민국의 현이다. 현 정부 소재지는 핑둥 시이다. 타이완 섬 최남단의 곶인 어롼비가 현내에 있다.
핑둥 현 | |
屏東縣 | |
![]() | |
![]() | |
행정 | |
나라 | 중화민국 |
---|---|
청사소재지 | 핑둥 시 |
인구 | |
인구 | 842,976명 (2015년) |
지리 | |
면적 | 2,775.6003 km2 |
기타 | |
시간대 | GMT+8 |
지역번호 | 08 |
역사편집
정성공이 대만을 지배하고 있었던 시기에, 핑둥은 아후사(阿猴社)로 불리며 만년현의 관할하에 놓여져 있었다. 정성공은 둔전 정책을 추진해, 낭교(瑯嶠, 현재의 헝춘 진)에 취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청나라의 강희 연간이 되면서 아후는 봉산현(鳳山縣) 관할에 놓여졌다. 청말이 되면서 일본의 대만 출병으로 청에서도 대만의 해안 방비를 중시하게 되어, 심보정을 낭교에 파견해, 해안 방비 정책의 구체화를 추진했다. 그리고 대만 최남단에 항춘현을 설치했다. 현재의 현 북부는 봉산현, 현 남부는 항춘현의 관할이 되었다.
1885년에 일본령이 된 핑둥 현은 다이난 현의 관할이 되었고 호잔, 고슌 지청을 두었다. 그 후 1897년에 호잔 현을 설치하였다가 1899년에 다시 다이난 현 관할로 복귀시키는 등의 행정 개편이 계속되었다.
그 후 1909년에 아사루 청(阿猴庁)을 합병했고, 1920년에 다카오 주 관할이 되어, 현재의 핑둥 현 지역에는 헤이토(屏東), 조슈(潮州), 도코(東港), 고슌(恒春)의 4군이 설치되었다. 또한 헤이토 군은 1933년에 헤이토 시로 승격하였다.
1945년에 일본의 통치가 끝나면서 핑둥 시를 직할시로 승격시켰고, 아울러 지방 자치의 실시와 함께 독립한 핑둥 현이 설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행정 구역편집
1시 3진 29향을 관할한다.
- 핑둥 시(屏東市)
- 차오저우 진(潮州鎮)
- 둥강 진(東港鎮)
- 헝춘 진(恆春鎮)
- 창즈 향(長治鄉)
- 처청 향(車城鄉)
- 춘르 향(春日鄉)
- 팡랴오 향(枋寮鄉)
- 팡산 향(枋山鄉)
- 가오수 향(高樹鄉)
- 자둥 향(佳冬鄉)
- 주루 향(九如鄉)
- 칸딩 향(崁頂鄉)
- 라이이 향(來義鄉)
- 리강 향(里港鄉)
- 린볜 향(林邊鄉)
- 린뤄 향(麟洛鄉)
- 류추 향(琉球鄉)
- 마자 향(瑪家鄉)
- 만저우 향(滿州鄉)
- 무단 향(牡丹鄉)
- 난저우 향(南州鄉)
- 네이푸 향(內埔鄉)
- 싼디먼 향(三地門鄉)
- 스쯔 향(獅子鄉)
- 타이우 향(泰武鄉)
- 완단 향(萬丹鄉)
- 완롼 향(萬巒鄉)
- 우타이 향(霧臺鄉)
- 신피 향(新埤鄉)
- 신위안 향(新園鄉)
- 옌푸 향(鹽埔鄉)
- 주톈 향(竹田鄉)
인구편집
연도 | 인구 | ±% |
---|---|---|
1985 | 901,981 | — |
1990 | 893,282 | −1.0% |
1995 | 911,843 | +2.1% |
2000 | 907,590 | −0.5% |
2005 | 893,544 | −1.5% |
2010 | 873,509 | −2.2% |
2015 | 841,253 | −3.7% |
2016 | 835,792 | −0.6% |
2019 | 817,803 | −2.2% |
Source:“Populations by city and country in Taiwan”. Ministry of the Interior Population Census. 2017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7일에 확인함. |
기후편집
Pingtung County (Hengchun Township)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최고 기온 기록 °C (°F) | 32.2 (90.0) |
32.4 (90.3) |
34.2 (93.6) |
35.8 (96.4) |
37.1 (98.8) |
36.4 (97.5) |
35.6 (96.1) |
35.3 (95.5) |
36.0 (96.8) |
34.1 (93.4) |
33.8 (92.8) |
32.5 (90.5) |
37.1 (98.8) |
평균 최고 기온 °C (°F) | 25.1 (77.2) |
26.6 (79.9) |
28.3 (82.9) |
29.6 (85.3) |
31.0 (87.8) |
31.5 (88.7) |
32.0 (89.6) |
31.7 (89.1) |
31.2 (88.2) |
29.8 (85.6) |
27.7 (81.9) |
26.2 (79.2) |
29.2 (84.6) |
일 평균 기온 °C (°F) | 21.2 (70.2) |
21.7 (71.1) |
23.3 (73.9) |
25.4 (77.7) |
27.1 (80.8) |
28.1 (82.6) |
28.5 (83.3) |
28.2 (82.8) |
27.6 (81.7) |
26.4 (79.5) |
24.5 (76.1) |
22.0 (71.6) |
25.3 (77.6) |
평균 최저 기온 °C (°F) | 18.3 (64.9) |
19.0 (66.2) |
20.3 (68.5) |
22.5 (72.5) |
24.2 (75.6) |
25.5 (77.9) |
25.7 (78.3) |
25.4 (77.7) |
24.9 (76.8) |
24.0 (75.2) |
22.2 (72.0) |
19.6 (67.3) |
22.6 (72.7) |
최저 기온 기록 °C (°F) | 8.4 (47.1) |
9.8 (49.6) |
10.4 (50.7) |
14.7 (58.5) |
17.1 (62.8) |
18.6 (65.5) |
19.4 (66.9) |
19.5 (67.1) |
18.7 (65.7) |
16.0 (60.8) |
12.7 (54.9) |
9.5 (49.1) |
8.4 (47.1) |
평균 강우량 mm (인치) | 25.7 (1.01) |
27.7 (1.09) |
19.9 (0.78) |
43.5 (1.71) |
163.9 (6.45) |
371.3 (14.62) |
396.3 (15.60) |
475.2 (18.71) |
288.3 (11.35) |
141.8 (5.58) |
43.2 (1.70) |
20.6 (0.81) |
2,017.4 (79.43) |
평균 강우일수 (≥ 0.1 mm) | 8.0 | 6.8 | 4.8 | 6.3 | 11.1 | 16.9 | 16.4 | 18.9 | 15.9 | 10.8 | 7.1 | 6.1 | 129.1 |
평균 상대 습도 (%) | 72.6 | 73.7 | 74.4 | 75.4 | 78.5 | 83.6 | 83.3 | 84.0 | 79.7 | 74.0 | 73.1 | 72.4 | 76.7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68.0 | 165.1 | 199.7 | 192.6 | 193.9 | 183.6 | 221.0 | 195.5 | 177.2 | 198.1 | 177.7 | 161.4 | 2,233.8 |
출처: Central Weather Bureau (normals 1994–2013) (extremes 1897–present)[1][2] |
교육편집
교통편집
공항편집
철도편집
도로편집
- 국도 3호선
각주편집
- ↑ “Climate”. Central Weather Bureau. 2017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Climate”. Central Weather Bureau. 2014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편집
- (중국어) 핑둥 현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