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마루소엽

마루엽의 일부
(하두정소엽에서 넘어옴)

아래마루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 아래마루小葉) 또는 하두정소엽(下頭頂小葉)은 대뇌 반구의 가쪽 면에서, 두정엽(마루엽)의 아래쪽 약 1/2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중심 뒤 고랑의 뒤쪽, 마루 속 고랑의 아래쪽에 해당한다. 뇌의 기능 국재화(functional specialization)에서는 기억 및 언어의 산출 그리고 시각적 언어 정보를 청각적 정보로 변환하는 것과 연관있다고 알려져있다.

구조 편집

아래마루소엽은 중심뒤고랑보다 뒤쪽에 있는 두정엽의 영역 가운데에서 마루속고랑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아래마루소엽을 다시 모서리위이랑(supramarginal gyrus,연상회)과 모이랑(angular gyrus,각회)의 세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연상회(supramarginal gyrus)는 가쪽고랑의 뒤가지(posterior ramus)가 위쪽으로 꺾여 끝나는 부분 근처에 존재하는 두정엽의 영역을 가리키며, 측두엽의 위관자이랑과 이어진다. 각회(angular gyrus)은 위관자고랑이 끝나는 부분 근처에 존재하는 두정엽의 영역을 가리키며, 측두엽의 중간관자이랑과 이어진다.

 
(예시) 모서리위이랑(supramarginal gyrus,연상회)과 모이랑(angular gyrus,각회)의 세부 영역을 보여주는 아래마루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인 노란색 영역은 해부학적으로 중심뒤고랑(postcentral sulcus)과 마루속고랑(intraparietal sulcus)으로 경계지워진다.

언어처리 편집

 
(예시) 아래마루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 안쪽(배측) 위치에 공간적으로 놓여있는 해마체(hippocampus)가 자리잡고있다.

뇌 백질(white matter)의 언어처리에 있어서 제3의 영역이 국재(localization)하는 아래마루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의 각회와 연상회가 간접적인 부전경로(accessory pathway)로서 직접적인 맞교차 경로(commissural pathway)로 알려진 궁상섬유속(arcuate fasciculus)의 데미지에서 두 뇌 언어영역의 단절로 인하여 특징적인 실어증적인 증상들이 발생하는 것으로는 잘 설명될 수 없는 증상들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맥락은 아래마루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이 해부학적으로 언어기억인출 및 저장과 관련해서 해마체(hippocampus)와의 변연계(limbic system)간 공간적 연관을 보여준다.[1]

같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1. (대한방사선의학회지2003 ; 48 : 201 - 211─201─암묵기억과 외현기억 인출의 신경학적 기전: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강형근·정광우·박태진·서정진·김형중·은성종·정태웅)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016JKRS/jkrs-48-20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