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불규칙 활용

한국어 용언이 어간 또는 어미의 모습이 달라지는 것

불규칙 활용 또는 벗어난끝바꿈한국어에서 용언활용할 때 어간 또는 어미의 모습이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어간이 바뀌는 활용

편집

ㄷ 불규칙 활용

편집

용언 어간 받침 ''이 홀소리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로 바뀌는 활용 형식이다.

예)

  • 걷다[步] → 걸어, 걸으니
  • 긷다 → 길어, 길으니
  • 깨닫다 → 깨달아, 깨달으니
  • 눋다 → 눌어, 눌으니
  • 닫다[走] → 달아, 달으니
  • 듣다 → 들어, 들으니
  • 묻다[問] → 물어, 물으니
  • 붇다 → 불어, 불으니
  • 싣다 → 실어, 실으니
  • 일컫다 → 일컬어, 일컬으니

ㅂ 불규칙 활용

편집

어간 끝소리 'ㅂ'이 '우'로 바뀌는 활용 형식이다. '워', '우니'의 형태로 결합되어 나타난다.

예)

  • 가깝다 → 가까워, 가까우니
  • 가볍다 → 가벼워, 가벼우니
  • 간지럽다 → 간지러워, 간지러우니
  • 굽다 → 구워, 구우니
  • 그립다 → 그리워, 그리우니
  • 깁다 → 기워, 기우니
  • 껄끄럽다 → 껄끄러워, 껄끄러우니
  • 노엽다 → 노여워, 노여우니
  • 더럽다 → 더러워, 더러우니
  • 덥다 → 더워, 더우니
  • 맵다 → 매워, 매우니
  • 메스껍다 → 메스꺼워, 메스꺼우니
  • 무겁다 → 무거워, 무거우니
  • 부끄럽다 → 부끄러워, 부끄러우니
  • 사납다 → 사나워, 사나우니
  • 서럽다 → 서러워, 서러우니
  • 쑥스럽다 → 쑥스러워, 쑥스러우니
  • 줍다 → 주워, 주우니

※ '곱다(≒아름답다)'와 '곱디곱다', '돕다'는 'ㅂ' 이 '오' 로 바뀐다.

ㅅ 불규칙 활용

편집

어간 끝소리 ''이 홀소리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이다.

예)

  • 긋다 → 그어, 그으니
  • 낫다 → 나아, 나으니
  • 붓다 → 부어, 부으니
  • 잇다 → 이어, 이으니
  • 잣다 → 자아, 자으니
  • 젓다 → 저어, 저으니
  • 짓다 → 지어, 지으니

르 불규칙 활용

편집

어간의 끝 음절 '르'가 'ㄹ'로 줄고, 어미 '-아/-어'가 '-라/-러'로 바뀌는 활용 형식이다(ㅡ → ㄹ).

예)

  • 가르다[區分, 分] → 갈라
  • 거르다 → 걸러
  • 거우르다[傾注] → 거울러
  • 고르다 → 골라
  • 구르다 → 굴러
  • 누르다[壓] → 눌러
  • 모르다 → 몰라
  • 벼르다 → 별러
  • 빠르다 → 빨라
  • 흐르다 → 흘러

우 불규칙 활용

편집

어간 끝 '우'가 어미 '-어'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이다. 이 형식을 따르는 용언은 '푸다'가 유일하다.

예)

  • 푸다 → 퍼

어미가 바뀌는 활용

편집

러 불규칙 활용

편집

어미 '-어/-어서'의 '-어'가 '-러'로 바뀌는 활용 형식이다(ㄹ 첨가).

예)

  • 검푸르다 → 검푸르러
  • 노르다[黃] → 노르러
  • 이르다(≒닿다) → 이르러
  • 푸르다 → 푸르러

여 불규칙 활용

편집

어미 '-아'가 '-여'로 바뀌는 활용 형식이다. '하다'와 '-하다'로 끝나는 모든 용언은 여 불규칙 활용을 한다.

예)

  • 하- + -아 → 하여 → 해
  • 공부하- + -아 → 공부하여 → 공부해

오 불규칙 활용

편집

어미 '-아라/어라'가 어간 뒤에서 '-오'로 바뀌는 활용 형식이다. 이 형식을 따르는 용언은 달다(어떤 것을 주도록 요구하다)가 유일하다.

예)

  • 달- + -아라 → 다오

어간과 어미 모두 바뀌는 활용

편집

ㅎ 불규칙 활용

편집

일부 형용사에서 어간 끝 'ㅎ'이 어미 '-ㄴ'이나 '-' 앞에서 사라지고, 어미 '-아/-어' 앞에서 로 바뀌어 합쳐지는 활용 형식이다. '-ㅎ다' 꼴의 형용사는 '좋다'를 제외하고는 이런 불규칙 활용을 하며, 동사는 모두 규칙 활용을 한다.

예)

  • 까맣다 → 까매, 까만, 까마니, 까마면, 까맸다
  • 노랗다 → 노래, 노란, 노라니, 노라면, 노랬다
  • 말갛다 → 말개, 말간, 말가니, 말가면, 말갰다
  • 멀겋다 → 멀게, 멀건, 멀거니, 멀거면, 멀겠다
  • 빨갛다 → 빨개, 빨간, 빨가니, 빨가면, 빨갰다
  • 파랗다 → 파래, 파란, 파라니, 파라면, 파랬다
  • 하얗다 → 하얘, 하얀, 하야니, 하야면, 하얬다

으 불규칙 활용

편집

용언 어간 '으'가 어미 '-아/-어'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이다. '통일 학교 문법'에서는 늘 생기는 음운 탈락 현상으로 보아 불규칙 활용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예)

  • 기쁘다 → 기뻐, 기쁘니
  • 슬프다 → 슬퍼, 슬프니
  • 쓰다 → 써,쓰니
  • 예쁘다 → 예뻐
  • 크다 → 커

ㄹ 불규칙 활용

편집

어간 끝소리 'ㄹ'이 '', 'ㄹ', '', '오', '시' 앞에서 사라지는 활용 형식이다. 학교 문법에서는 어간 끝소리 'ㄹ'이 'ㄴ', 'ㄹ', 'ㅂ', '오', '시' 앞에서 늘 사라지므로 단순한 소리의 탈락으로만 본다.

예)

  • 갈다 → 가니, 가오, 가는
  • 날다 → 나니, 나오, 나는
  • 살다 → 사니, 사오, 사는
  • 쏠다 → 쏘니, 쏘오, 쏘는
  • 줄다 → 주니, 주오, 주는

국어 변천의 영향

편집

현대 국어 ‘좁다’와 ‘돕다’의 15세기 중엽의 국어에서의 활용형을 보면, ‘좁다’는 ‘좁고’, ‘조바’처럼 자음과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 모두에서 어간이 ‘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돕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돕고’처럼 어간이 ‘돕-’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도 ’처럼 어간이 ‘ -’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현대 국어 ‘벗다’와 ‘젓다’의 15세기 중엽의 국어에서의 활용 형을 보면, ‘벗다’는 ‘벗고’, ‘버서’처럼 자음과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 모두에서 어간이 ‘벗-’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젓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젓고’처럼 어간이 ‘젓-’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저 ’처럼 어간이 ‘-’으로 나타난다. 당시 국어의 음절 끝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의 8개의 소리가 올 수 있었기에 ‘돕고’의 ‘ㅂ’과 ‘젓고’의 ‘ㅅ’은 각각 ‘ㅸ’이 ‘ㅂ’으로 교체되고 ‘ㅿ’이 ‘ㅅ’으로 교체된 것을 표기한 것이다. 그리고 ‘도’와 ‘저’는 ‘ㅸ’과 ‘ㅿ’ 이 뒤 음절의 첫소리로 연음된 것을 표기한 것이다. 그런데 ‘ㅸ’, ‘ㅿ’은 15세기와 16세기를 지나면서 소실되었다. 먼저 ‘ㅸ’은 15세기 중엽을 넘어서면 서 ‘도>도와’, ‘더>더워’에서와 같이 ‘ㅏ’ 또는 ‘ㅓ’ 앞에서는 반모음 ‘ㅗ˘/ㅜ˘[w]’로 바뀌었고, ‘도 시니>도오시니’, ‘셔>셔울’에서와 같이 ‘•’ 또는 ‘ㅡ’가 이어진 경우에는 모음과 결합하여 ‘ㅗ’ 또 는 ‘ㅜ’로 바뀌었으나, 음절 끝에서는 이전과 다름없이 ‘ㅂ’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ㅿ’은 16세기 중 엽에 ‘아>아’, ‘저>저어’에서와 같이 사라졌으며, 음절 끝에서는 이전과 다름없이 ‘ㅅ’으로 나타 났다. 이런 변화를 겪은 말 중에 ‘셔울’, ‘도오시니’, ‘아’는 18~19세기를 거쳐 ‘서울’, ‘도우시니’, ‘아우’로 바뀌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