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나무
향나무(학명: Juniperus chinensis 유니페루스 키넨시스[*])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다. 몽골, 중국, 일본 등 북동아시아와 러시아의 남동부 원산이다.
향나무 | |
---|---|
인천 원인재에서 살고 있는 원추형의 어린 향나무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문: | 구과식물문 |
강: | 구과식물강 |
목: | 구과목 |
과: | 측백나무과 |
속: | 향나무속 |
종: | 향나무 |
학명 | |
Juniperus chinensis | |
L. (1767) | |
보전상태 | |
|
형태
편집늘푸른 바늘잎나무로 키는 15~25m에 이르고 온 몸에서 향이 나는 나무로, 오래 산다. 나무껍질은 회갈색 또는 흑갈색, 적갈색으로 오래 되면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어린 나무는 원추형으로 자라며 줄기가 곧지만 나이가 들면서 주변의 조건에 맞게 비틀어지고 구부러진다.
잎
편집잎은 바늘잎과 비늘잎 두 가지가 달리는데, 어린 가지에는 만지면 따가운 바늘잎이 달리고 묵은 가지에는 만지면 부드러운 비늘잎이 달린다.
꽃
편집암수딴그루로 4월쯤 꽃이 피는데 수꽃은 가지 끝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타원형이며, 암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달리며 동그랗다. 지름 1.5mm로 작아서 잘 보이지 않아서 옛날에는 눈이 안좋은사람들은 못본다고 많이 놀렸다고한다.
구과
편집구과는 원형이거나 너비가 약간 넓고 지름이 7.5~12mm이다. 자흑색을 띠며, 실편이 서로 붙어있고 실편 끝 돌기가 흩어져 있다. 밑에 6개의 포린이 있고, 생긴 지 2년만에 성숙한다. 1~6개씩 씨앗이 들어있기도 하나 평균적으로 세 개씩 들어있다. 씨앗은 뚜렷하지 않은 2개의 능선이 있으며 밑부분은 연갈색이다. 구과가 클수록 많은 씨앗이 들어있다.[2]
식재와 이용
편집정원이나 공원에서 흔히 심어 기른다. 곁뿌리가 많아서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라고, 공해에 강하며 옮겨 심어도 잘 자란다. 보통 씨앗을 심는데 가지를 끊어 심기도 한다. 가지를 끊어서 장마철에 심으면 뿌리를 잘 내려서 씨앗을 심은 것보다 훨씬 빨리 자란다. 배나무에 붉은별무늬병을 옮기므로 과수원 가까이에는 심지 않는다.[2]
나무를 깎아 향으로 쓰고, 향기가 좋고 붉은색이 나며 윤이 나고 결이 좋아서 고급 가구재로 쓴다. 가지와 잎은 잘라 말렸다가 약으로 쓴다. 상처와 피부병에 잘 듣고, 뱃병이 났을 때 먹기도 한다.
사진
편집-
바늘잎
-
세로로 벗겨지는 나무껍질
-
나사처럼 소용돌이치는 모양인 향나무의 변종 나사백 (J. chinensis var. kaizuka)
변종과 품종
편집- 나사백(가이즈카향나무) (J. chinensis var. kaizuka) : 바늘잎이 없고 어린 가지가 옆으로 꼬여서 나사가 소용돌이치는 것처럼 보인다. 일본 원산으로 전정이 잘 되어 인위적으로 가꾸기에 알맞아 대한민국에서 조경수로 향나무보다 더 많이 심고 있다.
- 뚝향나무 (J. chinensis var. horizontalis Nakai) : 뚝향나무는 향나무와 비슷하지만 똑바로 자라지 않고 줄기와 가지가 비스듬히 자라다가 전체가 수평으로 자란다.[3]
- 섬향나무 (J. chinensis var. procumbens (Siebold) Endl.) : 바닷가의 암석지대 또는 사질토에서 자란다.
- 눈향나무 (J.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 : 원대와 가지가 비스듬히 자라고 비늘잎과 침엽이 돋는다.
- 둥근향나무 (J. c. var. globosa Hornibr.) : 곧게 자라지 않고 밑에서 여러 개로 갈라져 원형이 되는 품종이다.[2]
- 은반향나무 (J. c. var. albo-variegata Reiss) : 잎의 일부가 은백색을 띤다.
- 금반향나무 (J. c. var. aureo-variegata Rehder) : 재배 품종으로 새로 나오는 잎이 노란색이고 일반적인 향나무에 비해 생장이 느리며, 키도 향나무에 미치지 못한다.
같이 보기
편집천연기념물
편집대한민국에서는 다음과 같이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다.
- 서울 동대문구 선농단 향나무 (제240호)
- 서울 종로구 창덕궁 향나무 (제194호)
- 경기도 남양주시 양지리 향나무 (제232호)
- 충남 연기군 봉산동 향나무 (제321호)
- 충북 천안시 양령리 향나무
- 경북 울릉군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 (제49호)
- 경북 울릉군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 (제48호)
- 경북 울진군 후정리 향나무
- 경북 울진군 화성리 향나무 (제312호)
- 경북 청송군 장전리 향나무
시도 지정 기념물
편집- 경기 안산시 팔곡리 향나무
최고령 향나무
편집또한, 울릉도 도동항 주변 해안 절벽에는 세계 최고령 향나무로 추정되는 수령 2500년의 향나무 한 그루가 있다.[4][5]
참고자료
편집-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나무 백 가지》(현암사, 1995) ISBN 89-323-0830-6
- 《조경수목 핸드북》(광일문화사, 2000) ISBN 89-85243-25-X
- 《나무 쉽게 찾기》(진선출판사, 2004) ISBN 978-89-7221-414-4
- 《나무도감》(도서출판 보리, 2001) ISBN 89-8428-060-7
각주
편집- ↑ Farjon, A. (2017). “Picea abies”. 《IUCN 적색 목록》 (IUCN) 2017: e.T42318A71233492. doi:10.2305/IUCN.UK.2017-2.RLTS.T42318A71233492.en. 202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이창복 (1986년 6월 30일). 《수목학》 5판. 향문사. 107-109쪽. ISBN 978-89-7187-076-1.
- ↑ 문화재청.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2012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최고령 나무 2천년된 울릉도 향나무, 울산 떡갈나무”. 연합뉴스. 1994년 1월 27일.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울릉도 향나무”. 오마이뉴스. 2005년 7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