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Hyundai Mobis)는 대한민국의 자동차부품 기업이다.[1]
![]() | |
형태 | 주식회사 |
---|---|
ISIN | KR7012330007 |
산업 분야 | 자동차 산업 ![]() |
창립 | 1977년 7월 : 현대정공 2000년 11월 : 현대모비스 |
해체 | 2000년 11월 : 현대정공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03 (역삼동) |
핵심 인물 | 정의선 (대표이사 회장) 조성환 (대표이사 사장) |
제품 | 자동차부품 |
서비스 | 그외 기타 자동차 부품 제조업 |
매출액 | 36,626,504,000,000원 (2020) |
영업이익 | 1,830,292,000,000원 (2020) |
1,526,850,000,000원 (2020) | |
자산총액 | 48,497,676,000,000원 (2020.12) |
주요 주주 | 기아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 30.17% 국민연금공단 : 11.78% |
종업원 수 | 10,243명 (2018.12) |
자회사 | 현대아이에이치엘 |
계열사 | 현대자동차그룹 |
자본금 | 491,096,000,000원 (2020.12) |
시장 정보 | 한국: 012330 (1989년 9월 5일 상장) |
웹사이트 | 현대모비스 |
연혁편집
- 1977년 7월: 현대정공으로 설립
- 1979년: 특장차 사업부문 진출
- 1982년: 요트사업 및 수처리·플랜트 등 환경사업 진출
- 1985년: 현대차량의 합병에 따라 철도차량 사업 및 군수 사업에 진출
- 1986년: 한국형 디젤전기기관차 생산
- 1987년: 마북리 기술연구소 신축 개관
- 1989년: 항공사업 진출 및 기업공개 실시
- 1993년: 서울 지하철 4호선 신형 전동차 납품
- 1994년: 항공 사업 부문 현대우주항공(주)로 이관
- 1995년: 싼타모 생산공장 준공 및 서울 지하철 5호선 전동차 납품
- 1997년 : 변속기 사업 부문을 현대기술개발(주)로 이관
- 1999년: 철도차량 사업 부문을 한국철도차량 신설법인으로 이관
- 1999년: 사륜구동 승용차 부문 및 공작기계 부문을 현대자동차로 이관.
- 2000년 11월: 사명을 현대정공에서 현대모비스로 변경
- 2001년: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프로농구단 창단
- 2002년: 강소모비스 준공
- 2003년: 이화모듈(주) 흡수합병, 북경 모듈공장 준공
- 2005년: 역삼동으로 사옥 이전, 아산 물류센터 준공
- 2006년: 미국 오하이오 모듈공장(DXC 모듈공장) 준공
- 2007년: 카스코 합병 및 창원 공장 신설
- 2008년: 품질연구소 설립, 하이브리드 핵심부품 사업 진출, 상용차용 제동시스템 개발
- 2009년: 체코 모듈공장 준공
- 2010년: LG화학과 배터리기술 합작사 설립
- 2013년: 충주공장 준공
- 2017년: 서산주행시험장 준공
주요사업장편집
- 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03
- 기술연구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240번길 17-2
- 의왕연구소: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37
- 주행시험장: 충남 서산시 부석면 부남1로 67
- 울산 염포동공장: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로 706
- 울산 매암동공장: 울산광역시 남구 장승포고래로 8
- 아산공장: 충남 아산시 영인면 토정로 40
- 서산공장: 충남 서산시 음암면 음암로 140
- 천안 IP공장: 충남 천안시 서북구 2공단2로 105
- 천안 MEB공장: 충남 천안시 서북구 2공단1로 168
- 진천공장: 충북 진천군 문백면 사양2길 95
- 충주공장: 충북 충주시 대소원면 기업도시1로 47
- 김천공장: 경북 김천시 공단로 258-45
- 창원공장: 경남 창원시 성산구 성산패총로 87
- 광주공장: 광주광역시 광산구 진곡산단중앙로 45
- 이화공장: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남양만로 707
- 안양공장: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로 337-53
- 포승공장: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포승공단로118번길 16
각주편집
- ↑ 김익환 (2015년 9월 23일). “현대모비스, 연내 자사주 2122억 매입”. 《한국경제》. 2015년 9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