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등사
현등사(懸燈寺)는 대한민국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의 사찰이다. 보물 제1793호인 동종과 유형문화재 제63호인 삼층석탑 등 문화재가 있다. 신라 법흥왕 27년에 인도의 승려 마라하미(摩羅訶彌)를 위해 지어졌다. 1986년 5월 2일 가평군의 향토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현등사 | |
---|---|
![]() | |
종파 | 대한불교조계종 |
건립년대 | 540년 |
위치 | |
소재지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 |
좌표 | 북위 37° 52′ 14″ 동경 127° 19′ 51″ / 북위 37.87056° 동경 127.33083° |
![]() | |
종목 | 향토문화재 제4호 (1986년 5월 2일 지정) |
---|
역사편집
현등사는 법흥왕이 527년 불교를 공인하고[1] 13년 후인 540년에 인도에서 불교를 전하기 위해 온 승려 마라하미(摩羅訶彌)를 위해 지어졌다.[2] 이후 오랫동안 버려졌지만, 898년에 도선국사가 고쳐 지었다.[3] 도선국사는 동쪽의 기가 약하다고 생각해 이를 메꾸기 위해 현등사를 이용했다. 이후 1210년에 지눌이 다시 고쳐 지었는데, 밤중에 산속에서 빛이 나 가보니 버려진 절터에서 등이 빛나고 있어서 현등사라는 이름을 지었다.[4] 1411년에 함허대사가 다시 고쳐 지었다.[4] 1811년에 취윤과 원빈이 다시 고쳐 지었지만, 1823년에 많은 전각이 소실되었다.
관련 문화재편집
보물편집
- 가평 현등사 동종 - 보물 제1793호
경기도 유형문화재편집
- 가평 현등사 삼층석탑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
- 가평 현등사 목조아미타좌상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3호
- 가평 현등사 청동지장보살좌상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 가평 현등사 아미타회상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5호
- 가평 현등사 신중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93호
- 가평 현등사 수월관음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98호
- 가평 현등사 함허당득통탑 및 석등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99호
경기도 문화재자료편집
- 가평 현등사 지장시왕도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24호
- 가평 현등사 칠성정화도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25호
- 가평 현등사 독성도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26호
- 가평 현등사 지장시왕도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73호
각주편집
- ↑ 정만진 (2014년 9월 4일). “왕들은 뭐 때문에 전쟁을 좋아했을까”. 오마이 뉴스. 2014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윤석이 (2004년 7월 13일). “<이곳이 한국의 대표 명산>-(79)운악산”. 연합뉴스. 2014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김신의 (2002년 10월 18일). “가을단풍이 장관인 명산으로 초대합니다”. 오마이 뉴스. 2014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임봉재 (2014년 2월 22일). “‘새봄! 가까운 곳에서 취한다’..가평 대표여행지 추천”. 아주경제. 2014년 9월 24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편집
- 현등사 - 가평군 문화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