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놀룰루 당밀 유출 사고
호놀룰루 당밀 유출 사고는 2013년 9월 호놀룰루 항구에서 당밀 1,400톤이 유출된 사고이다. 유출 사실은 2013년 9월 9일 확인되었다.[1] 이 당밀은 운송회사인 맷슨 주식회사의 파이프 균열로 인해 누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2] 당밀은 규제품으로, 맷슨 주식회사 및 정부는 당밀 유출에 대비한 비상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1] 자연 정화와 날씨 때문에 항구와 석호 근처의 당밀은 자연적으로 희석 및 세척될 것으로 예상된다.[3]
항구 지역의 다이버들은 당밀이 항구 바닥으로 침전되면서 광범위한 산소 부족으로 인해 모든 바다생물이 당밀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4][5][6] 다양한 종의 산호가 손상 또는 사망했으며, 물고기 26,000마리 이상과 기타 해양종이 질식으로 사망했다.[2]
이 당질은 마우이섬의 하와이 상업 및 설탕 주식회사에서 생산, 가공되며 육지로 판매할 예정이었다. 맷슨은 30년동안 호놀룰루 항구에서 당밀을 운송했으며 약 7일에 한 번 운송한다.[1]
더 보기편집
- 보스턴 당밀 유출 사고 (1919년 1월)
각주편집
- ↑ 가 나 다 McMavoy, Audrey (2013년 9월 21일). “Pipe had leak months before Hawaii molasses spill”. 《NBC News》. 2013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Hawaii still assessing impact of molasses spill”. 《The Garden Island》. 2013년 10월 10일. 2013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 Basu, Tanya (2013년 9월 17일). “Hawaii Molasses Spill: Better or Worse Than Oil?”. 《National Geographic》. 2013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 Pearce, Matt (2013년 9월 13일). “Molasses spill in Honolulu Harbor poses calamity for marine life”. 《Los Angeles Times》. 2013년 9월 14일에 확인함.
- ↑ “Thousands of fish dying as 1,400 tons of molasses ooze into Honolulu harbor”. 《The Guardian》. 2013년 9월 12일. 2013년 9월 14일에 확인함.
- ↑ Memmott, Mark (2013년 9월 12일). “Massive Molasses Spill Devastates Honolulu Marine Life”. 《National Public Radio》. 2013년 9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