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에서 관리·운영 중이다. 사커루(Socceroos, "사커"와 "캥거루"의 합성어)라는 애칭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1922년 6월 17일 뉴질랜드를 상대로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다.

오스트레일리아
Australia national football team badge.svg
별칭사커루 (Socceroos)
연맹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
대륙아시아 축구 연맹
감독그레이엄 아널드
주장매슈 레키
최다 출전자팀 케이힐 (111)
최다 득점자팀 케이힐 (54)
FIFA 코드AUS
FIFA 랭킹
현재32위 (2021년 9월) 확인
최고 순위14위 (2009년 9월)
최저 순위100위 (2015년 1월)
첫 국제 경기 출전
뉴질랜드 뉴질랜드 3-1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Australia.svg
(뉴질랜드 더니딘; 1922년 6월 17일)
최다 점수차 승리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31-0 아메리칸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
(오스트레일리아 코프스하버; 2001년 4월 11일, 2002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최다 점수차 패배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0-8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애들레이드; 1955년 9월 17일)
월드컵
출전 횟수6회 (197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16강 (2006년, 2022년)
OFC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6회 (1980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1980년, 1996년, 2000년, 2004년)
AFC 아시안컵
출전 횟수5회 (2007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2015년)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4회 (1997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준우승 (1997년)

개요편집

지리상 오세아니아에 있어서 2005년까지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소속으로 활동했으나, AFC 합류를 선언하고 독일 월드컵 이후 2006년AFC로 소속을 옮겨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팀에는 크로아티아계 선수들이 꽤 많다. 그 이유는 공산주의 정권 및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지쳐서 생계를 위해 옛 유고슬라비아 사람들이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을 떠났고, 이 곳에서 축구를 널리 전파했기 때문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국장에 있는 동물인 캥거루에뮤가 국가대표팀 심볼에도 있다.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첫 출전한 1974년 대회에서는 1무 2패의 부진한 성적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32년만에 출전한 2006년 대회에서는 사상 첫 월드컵 16강이라는 대업을 달성했다. AFC로 넘어온 이후에는 2010년부터 2022년 대회까지 5회 연속 월드컵 본선에 올랐고 이 중 2022년 대회에서 2006년 이후 16년만에 월드컵 16강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OFC 네이션스컵편집

OFC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6번 출전하여 이 중 4번의 대회(1980년, 1996년, 2000년, 2004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번의 대회(1998년, 2002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6번의 대회에서 모두 준우승 이상의 엄청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06년 이후 AFC로 편입되면서 더 이상 이 대회에는 출전하지 않는다.

AFC 아시안컵편집

2006년 AFC 편입 이후 2007년 AFC 아시안컵을 통해 첫 아시안컵 본선에 발을 디딘 후 현재까지 5회 연속 아시안컵 본선에 올라 이 중 자국에서 열린 2015년 대회에서 대한민국의 55년 만의 우승을 저지시키며 사상 첫 아시안컵 우승을 차지했고 이전 대회인 2011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의 성과를 거두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컨페드컵에는 4번 출전하여 이 중 1996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1997년 대회에서 준우승의 성과를 거두었고 2000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2001년 대회에서는 3위에 입상했다.

하계 올림픽편집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2번 출전하여 자국에서 열린 1956년과 32년 만에 출전한 1988년 대회에서 8강에 이름을 올렸고 U-23 대표팀으로는 6번 출전하여 이 중 1992년 대회에서 팀 역사상 첫 올림픽 축구 4강에 올랐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편집

E-1 풋볼 챔피언십에는 2013년 대회에 유일하게 참가했지만 그나마도 4팀 중 1무 2패로 최하위에 머물렀고 이후 참가 기록은 전무하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예선 탈락 2 0 0 2 2 9 0
  1970년 9 3 5 1 12 8 14
  1974년 조별리그 14위 3 0 1 2 0 5 1 11 5 5 1 21 10 20
  1978년 예선 탈락 12 6 2 4 20 11 20
  1982년 8 4 2 2 22 9 14
  1986년 8 4 3 1 20 4 15
  1990년 6 2 2 2 11 7 8
  1994년 10 7 1 2 21 7 22
  1998년 8 6 2 0 34 5 20
   2002년 8 7 0 1 73 4 21
  2006년 16강 16위 4 1 1 2 5 6 4 9 7 1 1 31 5 22
  2010년 조별리그 21위 3 1 1 1 3 6 4 14 9 3 2 19 4 30
  2014년 조별리그 30위 3 0 0 3 3 9 0 14 8 4 2 25 12 28
  2018년 조별리그 28위 3 0 1 2 2 5 1 22 14 6 2 51 18 48
  2022년 16강 11위 4 2 0 2 4 6 6 20 13 4 3 45 12 43
    2026년 미정 colspan=7|미정
합계 6회 진출(6/21) 16강(1회) 20 4 4 12 17 37 16 146 86 37 23 378 114 295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49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3위 (아시아 1위)

FIFA 월드컵 대륙간 플레이오프 성적편집

FIFA 월드컵 대륙간 플레이오프 성적
년도 상대팀 무* 득점 실점 결과
  1986   스코틀랜드 2 0 1 1 0 2 탈락
  1994   캐나다
  아르헨티나
4 1 1 2 4 5 탈락
  1998   이란 2 0 2 0 3 3 탈락
    2002   우루과이 2 1 0 1 1 3 탈락
  2006   우루과이 2 1 0 1 1 1 본선진출
  2018   온두라스 2 1 1 0 3 1 본선진출
  2022   페루 1 0 1 0 0 0 본선진출
Various 15 4 6 5 12 15 3/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불참
  1995년
  1997년 준우승 2위 5 2 1 2 4 8 7
  1999년 진출 실패
   2001년 4강 3위 5 3 0 2 4 2 9
  2003년 진출 실패
  2005년 조별리그 8위 3 0 0 3 5 10 0
  2009년 진출 실패
  2013년
  2017년 조별리그 6위 3 0 2 1 4 5 2
합계 4회 진출(4/10) 준우승(1회) 16 5 3 8 17 25 18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8위

지역대회 기록편집

OFC 네이션스컵편집

OFC 네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73년 불참
  1980년 우승 1위 4 4 0 0 24 4 12
1996년 우승 1위 4 3 1 0 14 0 10
  1998년 준우승 2위 4 3 0 1 23 3 9
  2000년 우승 1위 4 4 0 0 26 0 12
  2002년 준우승 2위 5 4 0 1 23 2 12
  2004년 우승 1위 7 6 1 0 32 4 19
2008년 이후 비회원국(아시아 소속)
합계 6회 진출(6/7) 우승(4회) 28 24 2 2 142 13 74
순위 OFC 네이션스컵 순위 : 2위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2004년 이전 비회원국(오세아니아 소속) 비회원국(오세아니아 소속)
     2007년 8강 7위 4 1 2 1 7 5 5 4 3 0 1 7 3 9
  2011년 준우승 2위 6 4 1 1 13 2 13 6 3 2 1 6 4 11
  2015년 우승 1위 6 5 0 1 14 3 15 자동참가(개최국)
  2019년 8강 7위 5 2 1 2 6 4 7 8 7 0 1 29 3 21
  2023년 본선 진출 8 8 0 0 28 2 24
합계 4회 진출(4/4) 우승(1회) 21 12 4 5 40 14 40 22 17 2 3 58 11 53
순위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0위

EAFF 동아시안컵편집

EAFF 동아시안컵 기록
년도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2008년 불참
  2010년
  2013년 4위 3 0 1 2 5 7 1
  2015년 불참
  2017년
합계 1회 진출(1/3) 3 0 1 2 5 7 1

종합 스포츠 대회 기록편집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불참
  1904년
  1908년
  1912년
  1920년
  1924년
  1928년
  1936년
  1948년
  1952년
  1956년 8강 6위 2 1 0 1 4 4 3
  1960년 기권
  1964년 진출 실패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불참[1]
  1984년 진출 실패
  1988년 8강 7위 4 2 0 2 2 6 6
  1992년[2] 4강 4위 6 2 1 3 8 12 7
  1996년[3] 조별리그 13위 3 1 0 2 4 6 3
  2000년[4] 조별리그 15위 3 0 0 3 3 6 0
  2004년[5] 8강 7위 4 1 1 2 6 4 4
  2008년[6] 조별리그 11위 3 0 1 2 1 3 1
  2012년[7] 진출 실패
  2016년[8]
합계 7회 진출(7/26) 4위(1회) 25 7 3 15 28 41 24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은 2023년 3월 24일과 3월 28일   에콰도르와 두 경기를 뛸 선수 명단이다.[9]

출장 수와 골은 2022년 12월 2일   아르헨티나와의 경기 이후 기준.

번호 위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전 득점 소속
GK 매슈 라이언 (주장) 1992년 4월 8일(1992-04-08)(30세) 79 0   AZ 알크마르
GK 앤드류 레드메인 1989년 1월 13일(1989-01-13)(34세) 4 0   시드니 FC
GK 조 가우치 2000년 7월 4일(2000-07-04)(22세) 0 0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DF 아지즈 베히치 1990년 12월 16일(1990-12-16)(32세) 57 2   던디 유나이티드
DF 밀로시 데게네크 1994년 4월 28일(1994-04-28)(28세) 42 1   콜럼버스 크루
DF 베일리 라이트 1992년 7월 28일(1992-07-28)(30세) 28 2   로더럼 유나이티드
DF 해리 수타 1998년 10월 22일(1998-10-22)(24세) 14 6   레스터 시티
DF 프란 카라치치 1996년 5월 12일(1996-05-12)(26세) 13 1   브레시아
DF 카이 롤스 1998년 6월 24일(1998-06-24)(24세) 7 0   하트 오브 미들로디언
DF 너새니얼 앳킨슨 1999년 6월 13일(1999-06-13)(23세) 6 0   하트 오브 미들로디언
DF 토마스 덩 1997년 3월 20일(1997-03-20)(26세) 2 0   알비렉스 니가타
DF 조던 보스 2002년 10월 29일(2002-10-29)(20세) 0 0   멜버른 시티
MF 에런 무이 1990년 9월 15일(1990-09-15)(32세) 57 7   셀틱
MF 잭슨 어빈 1993년 3월 7일(1993-03-07)(30세) 53 7   장크트파울리
MF 라일리 맥그리 1998년 11월 2일(1998-11-02)(24세) 15 1   미들즈브러
MF 키아누 배커스 1998년 6월 7일(1998-06-07)(24세) 5 0   세인트 미렌
MF 코너 멧커프 1999년 11월 5일(1999-11-05)(23세) 5 0   장크트파울리
MF 캐머런 데블린 1998년 6월 7일(1998-06-07)(24세) 1 0   하트 오브 미들로디언
MF 에이든 오닐 1998년 7월 4일(1998-07-04)(24세) 0 0   멜버른 시티
MF 알렉산더 로버트슨 2003년 4월 17일(2003-04-17)(19세) 0 0   맨체스터 시티
FW 아워 마빌 1995년 9월 15일(1995-09-15)(27세) 31 8   스파르타 프라하
FW 미첼 듀크 1991년 1월 18일(1991-01-18)(32세) 25 9   마치다 젤비아
FW 크레이그 굿윈 1991년 12월 16일(1991-12-16)(31세) 14 2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FW 마르코 틸리오 2001년 8월 23일(2001-08-23)(21세) 5 0   멜버른 시티
FW 브랜든 보렐로 1995년 7월 25일(1995-07-25)(27세) 4 0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W 가랑 쿠올 2004년 9월 15일(2004-09-15)(18세) 3 0   하트 오브 미들로디언
FW 제이슨 커밍스 1995년 8월 1일(1995-08-01)(27세) 2 1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최근 차출편집

다음은 최근 12개월 내에 대표팀에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

위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전 득점 소속 최근 소집
GK 대니 부코비치 1985년 3월 27일(1985-03-27)(37세) 4 0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2022년 FIFA 월드컵
GK 미첼 랭가랙 1988년 8월 22일(1988-08-22)(34세) 8 0   나고야 그램퍼스 2022년 9월 25일,   뉴질랜드
DF 조엘 킹 2000년 10월 30일(2000-10-30)(22세) 4 0   시드니 FC 2022년 FIFA 월드컵
DF 트렌트 세인스버리 1992년 1월 5일(1992-01-05)(31세) 61 4   알와크라 2022년 9월 25일,   뉴질랜드
DF 해리슨 델브리지 1992년 3월 15일(1992-03-15)(31세) 1 0   인천 유나이티드 2022년 9월 25일,   뉴질랜드
DF 라이언 스트레인 1997년 4월 2일(1997-04-02)(25세) 1 0   세인트 미렌 2022년 9월 25일,   뉴질랜드
DF 제이슨 데이비드슨 1991년 6월 29일(1991-06-29)(31세) 23 1   오이펜 2022년 6월 14일,   페루
DF 라이언 맥가원 1989년 8월 15일(1989-08-15)(33세) 22 0   세인트 존스톤 2022년 3월 30일,   사우디아라비아
DF 앨릭스 윌킨슨 1984년 8월 13일(1984-08-13)(38세) 16 0   시드니 FC 2022년 3월 30일,   사우디아라비아
MF 아이딘 흐루스티치 1996년 7월 5일(1996-07-05)(26세) 23 3   엘라스 베로나 2022년 FIFA 월드컵
MF 데니스 젠리우 1999년 5월 21일(1999-05-21)(23세) 4 0   툴루즈 2022년 9월 25일,   뉴질랜드
MF 타이리스 프랑수아 2000년 7월 16일(2000-07-16)(22세) 0 0   풀럼 2022년 9월 25일,   뉴질랜드
MF 케니 두걸 1993년 5월 7일(1993-05-07)(29세) 5 0   블랙풀 2022년 6월 14일,   페루
MF 잔니 스텐스니스 1999년 2월 7일(1999-02-07)(24세) 2 0   비킹 2022년 6월 14일,   페루
MF 톰 로기치 1992년 12월 16일(1992-12-16)(30세) 53 10   웨스트브로미치 앨비언 2022년 6월 2일,   요르단
MF 제임스 제고 1992년 2월 12일(1992-02-12)(31세) 15 0   하이버니언 2022년 3월 30일,   사우디아라비아
FW 매슈 레키 1991년 2월 4일(1991-02-04)(32세) 77 14   멜버른 시티 2022년 FIFA 월드컵
FW 제이미 매클래런 1993년 7월 29일(1993-07-29)(29세) 29 8   멜버른 시티 2022년 FIFA 월드컵
FW 마틴 보일 1993년 4월 25일(1993-04-25)(29세) 19 5   하이버니언 2022년 FIFA 월드컵
FW 애덤 태가트 1993년 6월 2일(1993-06-02)(29세) 17 6   퍼스 글로리 2022년 9월 25일,   뉴질랜드
FW 니콜라스 다고스티노 1998년 2월 25일(1998-02-25)(25세) 2 0   비킹 2022년 6월 14일,   페루
FW 브루노 포나롤리 1987년 9월 7일(1987-09-07)(35세) 2 0   멜버른 빅토리 2022년 3월 30일,   사우디아라비아
FW 벤 폴라미 1999년 8월 6일(1999-08-06)(23세) 1 0   멜버른 빅토리 2022년 3월 30일,   사우디아라비아
범례

: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 국가대표팀 은퇴
: 예비 명단에 포함

최근 대표팀 경기결과와 일정편집

2021년편집

2022년편집

마케팅과 축구협회 후원사편집

  콴타스 (항공사)

  커먼웰스 뱅크 (은행)

  나이키 (스포츠용품)

  파라마운트+(플러스) (OTT)

  세븐컨설팅 (회계+컨설팅 업체)

  팬틴 (제약+화학(샴푸))

  프라이슬라인 파머시 (약국 체인)

  레벨스포츠 (스포츠용품 공급업체)

  채널 10 (호주 지상파채널)

각주편집

  1. 1980년 하계 올림픽은 대다수 서방 세계 국가들이 보이콧하였다. 호주 역시 일부 동참하였기 때문에 예선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2.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3.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4.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5.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6.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7.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8.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9. “Socceroos’ squad for June's crucial FIFA World Cup Play-offs confirmed”. 《Socceroos》. Football Australia. 2022년 5월 28일. 2022년 5월 28일에 확인함. 
  10.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호주 연방정부의 국경 폐쇄(외국인 입국금지)로 호주 대표팀 홈경기는 카타르에서 중립경기로 시행되었다.
  11.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호주 연방정부의 국경 폐쇄(외국인 입국금지)로 호주 대표팀 홈경기는 카타르에서 중립경기로 시행되었다.
  12.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중국 정부의 엄격한 3주간 격리 명령 때문에 중국 대표팀 홈경기는 아랍에미레이트에서 중립경기로 시행되었다.

틀:AFC 아시안컵 개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