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지하철
홍콩 지하철(영어: Mass Transit Railway, MTR)은 홍콩 최대의 지하철 노선이다. 일반 명칭은 '매스 트랜짓 레일웨이(Mass Transit Railway)이며, 줄여서 MTR이라고 통칭된다. 중국어로는 항철(중국어 간체자: 港铁, 정체자: 港鐵, 광둥어: 꽁팃, 표준중국어: 깡톄)이라고 한다. 2017년 현재 총 11개의 노선으로 이루어진 지하철 체계로, 경전철 노선도 운영되고 있다.
![]() | |
![]() 둥충선의 K-Stock | |
![]() 홍콩지하철 노선도 | |
정보 | |
---|---|
종류 | 도시 철도 |
상태 | 운행중 |
노선 수 | 10개 경철로 11개 |
역 수 | 93개 경철로 68개 |
궤간 | 1,432 mm(준표준)/1,435 mm(표준) |
운영 | |
개통일 | 1979년 10월 30일 |
운영자 | 홍콩철로 유한공사 |
시설 | |
총 영업거리 | 175km 경전철 36.2km |
http://www.mtr.com.hk |
2007년 12월 2일에 홍콩지철공사(MTRC)에 구광철로공사(KCRC)의 운영권이 양도되어 두 회사가 통합돼 출범한 홍콩철로 유한공사(香港鐵路有限公司, MTR Corporation)가 운영하고 있다.
역사편집
1. 1975년에 첫 노선이 착공.
2. 1979년 군통 선의 군통-섹깁메이 구간이 개통되었다. 당시 기초 운임은 1홍콩달러였다.
3. 1980년에는 짐사저이-중완 구간이 개통되었고, 수정조기계통이 완공되었다.
4. 1982년에는 군통 선과 직통 운행되던 짐사저이-중완 구간에 새로 노선을 연장하여 췬완 선을 개통하였다.
5. 일반철도 노선이던 서철선의 전철화 작업이 진행되어 홍콩 지하철 체계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
6. 1985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홍콩 섬에만 전 구간 노선이 있는 공도 선이 개통되었다.
7. 1998년에는 란타우 섬과 가우룽을 잇는 둥충 선이 개통하였으며, 같은해 7월 6일에는 둥충 선을 따라 홍콩 국제공항까지 이어지는 공항철도인 기장쾌철이 개통되었다.
8. 2002년에는 홍콩 시내와 로하스 파크를 잇는 정관오 선이 개통되었다.
9. 2003년에는 췬문의 홍콩 경전철과 가우룽을 잇는 서철선이 개통되었으며
10. 2004년에는 가우룽 시내로 가지 않는 노선인 마온산 선이 개통되었다.
11. 2005년에는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 전용 노선인 디즈니 선이 개통되었다.
노선편집
색상 | 노선명 | 구간 | 거리 | 개통 | ||
---|---|---|---|---|---|---|
이름 | 한자 | 영어명 | ||||
군통 선 | 觀塘綫 | Kwun Tong Line | 티우겡렝 - 웡보 | 16.4km | 1979년 | |
췬완 선 | 荃灣綫 | Tsuen Wan Line | 췬완 - 중완 (센트럴) | 16km | 1982년 | |
공도 선 | 港島綫 | Island Line | 자이완 - 케네디타운 | 16.3km | 1985년 | |
둥충 선 | 東涌線 | Tung Chung Line | 홍콩 - 둥충 | 31.1km | 1998년 | |
홍콩 공항철도 | 機場快綫 | Airport Express Line | 홍콩 - 아시아월드엑스포(Asia World-Expo) | 35.2km | 1998년 | |
정관오 선 | 將軍澳線 | Tseung Kwan O Line | 보람(Po Lam)/로하스파크(LOHAS Park) - 박곡 (노스포인트) | 11.9km | 2002년 | |
디즈니 선 | 迪士尼線 | Disneyland Resort Line | 서니베이(Sunny Bay) - 디즈니랜드리조트(Disneyland Resort) | 3.3km | 2005년 | |
동철선 | 東鐵線 | East Rail Line | 훙함(Hung Hom) - 로우(Lo Wu)/록마자우(Lok Ma Chau) | 41.1km | 1910년 | |
경철 | 輕鐵 | Light Rail | 튄문(Tuen Mun), 윈롱(Yuen Long) | 36.15km | 1988년 | |
서철선 | 西鐵線 | West Rail Line | 훙함(Hung Hom) - 튄문(Tuen Mun) | 35.7km | 2003년 | |
마온산 선 | 馬鞍山線 | Ma On Shan Line | 다이와이(Tai Wai) - 우카이사(Wu Kai Sha) | 11.4km | 2004년 | |
남공도 선 | 南港島綫 | South Island Line | 애드미럴티(Admiralty) - 사우스허라이즌(South Horizon) | 7.4km | 2016년 |
미래 노선편집
남공도 선(南港島線, South Island Line)편집
남공도 선(서단)(南港島線(西段), SOUTH ISLAND LINE (WEST))편집
남공도 선(서단)[1] | |||||||||||
---|---|---|---|---|---|---|---|---|---|---|---|
역명 | 한자 역명 | Station Name | 소재지 | 환승 | |||||||
홍콩대학(헝공다이혹)/향항대학 | 香港大學 | HKU | 중시 구 | ■홍콩 지하철 공도 선 | |||||||
퀸메리병원 | 瑪麗醫院 | Queen Mary Hospital | 난 구 | ||||||||
사이버포트(소마공)/수마항 | 數碼港 | Cyberport | |||||||||
와푸/화부 | 華富 | Wah Fu | |||||||||
틴완/전만 | 田灣 | Tin Wan | |||||||||
애버딘(헝공자이)/향항자 | 香港仔 | Aberdeen | |||||||||
웡죽항/황죽갱 | 黃竹坑 | Wong Chuk Hang | ■홍콩 지하철 남공도 선(동단) |
사틴-센트럴선(사중선)(沙田至中環線(沙中線), Shatin to Central Link(SCL))편집
남북복도(南北走廊, North South Corridor)편집
남북복도 | |||||||||||
---|---|---|---|---|---|---|---|---|---|---|---|
역명 | 한자 역명 | Station Name | 소재지 | 환승 | |||||||
애드미럴티(감중)/금종 | 金鐘 | Admiralty | 중시 구 | ■홍콩 지하철 췬완선 ■홍콩 지하철 공도 선 ■홍콩 지하철 남공도 선(동단) | |||||||
국제전시센터(우이진)/회전 | 會展[2] | Exhibition | 완쯔 구 | ||||||||
훙함/홍감 | 紅磡 | Hung Hom | 유젠왕 구 | ■홍콩 지하철 서철선 ■Intercity Through Train | |||||||
몽콕이스트(웡곡둥)/왕각동(몽콕 이스트) | 旺角東 | Mong Kok East | |||||||||
가우룽통/구룡당 | 九龍塘 | Kowloon Tong | 주룽청 구 선수이부 구 |
■홍콩 지하철 군통 선 | |||||||
다이와이/대위 | 大圍 | Tai Wai | 사톈 구 | ■홍콩 지하철 마온산선 | |||||||
사틴/사전 | 沙田 | Sha Tin | |||||||||
포탄/화탄 | 火炭 | Fo Tan | |||||||||
경마장(마청)/마장(레이스코스) | 馬場 | Racecourse | |||||||||
대학(다이혹)/대학(유니버시티) | 大學 | University | |||||||||
다이보시장(다이보허이)/대포허 | 大埔墟 | Tai Po Market | 다푸 구 | ||||||||
타이워/태화 | 太和 | Tai Wo | |||||||||
판링/분령 | 粉嶺 | Fanling | 베이 구 | ||||||||
성서이/상수 | 上水 | Sheung Shui | |||||||||
로우/나호 | 羅湖 | Lo Wu | |||||||||
구둥/고동 | 古洞[3] | Kwu Tung | |||||||||
록마자우/낙마주 | 落馬洲 | Lok Ma Chau | 위안랑 구 |
툰마선(屯馬綫, Tuen ma line)편집
동서복도 | |||||||||||
---|---|---|---|---|---|---|---|---|---|---|---|
역명 | 한자 역명 | Station Name | 소재지 | 환승 | |||||||
우카이사/오계사 | 烏溪沙 | Wu Kai Sha | 사톈 구 | ||||||||
마온산/마안산 | 馬鞍山 | Ma On Shan | |||||||||
항온/항안 | 恆安 | Heng On | |||||||||
다이서이항/대수갱 | 大水坑 | Tai Shui Heng | |||||||||
섹문/석문 | 石門 | Shek Mun | |||||||||
시티원(다이얏싱)/제일성 | 第一城 | City One | |||||||||
사틴와이/사전위 | 沙田圍 | Sha Tin Wai | |||||||||
체궁사원(체궁미우)/차공묘 | 車公廟 | Che Kung Temple | |||||||||
다이와이/대위 | 大圍 | Tai Wai | ■홍콩 지하철 동철선 | ||||||||
힌겡/현경 | 顯徑 | Hin Keng | |||||||||
다이아몬드힐(쥔섹산)/찬석산 | 鑽石山 | Diamond Hill | 황다셴 구 | ■홍콩 지하철 군통 선 | |||||||
카이닥/계덕 | 啟德 | Kai Tak | 주룽청 구 | ||||||||
토과완/토과만 | 土瓜灣 | To Kwa Wan | |||||||||
마타우와이/마두위 | 馬頭圍 | Ma Tau Wai | |||||||||
호만틴/하문전 | 何文田 | Ho Man Tin | ■홍콩 지하철 군통 선 | ||||||||
훙함/홍감 | 紅磡 | Hung Hom | 유젠왕 구 | ■홍콩 지하철 동철선 ■Intercity Through Train | |||||||
동짐사저이(짐둥)/첨동(이스트짐사저이) | 尖東 | East Tsim Sha Tsui | |||||||||
오스틴/오스틴 | 柯士甸 | Austin | |||||||||
남청/남창 | 南昌 | Nam Cheong | 선수이부 구 | ■홍콩 지하철 둥충선 | |||||||
메이푸/미부 | 美孚 | Mei Foo | ■홍콩 지하철 췬완선 | ||||||||
췬완서(췬완사이)/전만서 | 荃灣西 | Tseun Wan West | 취안완 구 | ||||||||
금상로/금상로 | 錦上路 | Kam Sheung Road | 위안랑 구 | ||||||||
윈롱/원랑 | 元朗 | Yuen Long | ■홍콩 지하철 경전철 | ||||||||
롱핑/낭병 | 朗屏 | Long Ping | |||||||||
틴서이와이/천수위 | 天水圍 | Tin Shui Wai | ■홍콩 지하철 경전철 | ||||||||
훙서이키우/홍수교 | 洪水橋 | Hung Shui Kiu | ■홍콩 지하철 경전철 | ||||||||
시우홍/조강 | 兆康 | Siu Hong | 툰먼 구 | ■홍콩 지하철 경전철 | |||||||
튄문/둔문 | 屯門 | Tuen Mun | ■홍콩 지하철 경전철 | ||||||||
튄문남/둔문남 | 屯門南 | Tuen Mun South |
성격편집
도시가 하나의 국가, 즉 시국(市國)인 홍콩의 MTR 철도 형식은 다른나라(한국 포함)의 일반철도 같이 장거리형 도시간 철도가 아닌 우리나라의 지하철처럼 근교보다는 통근에 가까우며 역간거리가 짧은 도시철도형식이나, 홍콩의 전역을 그물쳐 운행하는 철도이므로, 홍콩의 철도를 대표하는 국가급 철도이다.
운영자료편집
- 첫차 : 오전 6:00
- 막차 : 오전 1:00
- 배차간격 : 2 ~ 4 분 (둥충선 : 6 분)
운임편집
- 어른표 운임: 3.8HKD 이상 (옥토퍼스 카드) / 4HKD 이상 (보통권)
- 3세~12세까지와 64세 이상 5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