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격-불활격 정렬

언어학에서 활격-불활격 정렬(혹은 의미론적 정렬, 분열 자동격 정렬. 영어:active-stative alignment, split intransitive alignment 또는 semantic alignment)은 자동사의 주어 논항 ( S로 표지)이 때때로는 타동사의 행위자로 표지되고, 때때로는 타동사의 목적어처럼 표지되는 형태통사론적 정렬이다. 활격-불활격 정렬을 하는 언어들은 때때로 활격 언어라고도 한다.

자동사 주어의 격을 정하는 의미, 형태론적 기준은 각 언어에 따라 다르다. 이 기준은 대개 자유의지의 정도 혹은 서술어의 행동에 대한 행위자의 통제 능력에 기초하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여행에서 쓰러지면, 활격 언어에서는 이를 "fell me."와 같이 말할 것을 요구할 것이다. "I fell"처럼 말하는 것은 그 사람이 의지를 가지고 동작을 수행했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다른 가능성은 공감 능력이다. 예를 들어, 만일 누군가가 기르는 개가 차에 치였다면, 그는 “died her."와 같이 말할 것이다, "she died"라고 말하는 것은 그 사람이 감정을 이입하지 않았음을 암시할 것이다.

타동사구의 핵심 논항이 A (타동사구의 행위자) 와 P(타동사구의 피행위자)로 표시되므로, 활격 언어들은 위의 기준에 따라 SS = P/O∗∗ ("fell me")나 S = A ("I fell")로 정렬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활격 언어들은 SS=A 로 정렬하는 대격 언어는 물론, SS = P/O로 정렬하는 능격 언어와도 대조를 이룬다.

통사적 역할을(S=주어, O=목적어) 의미론적 역할과(A=행위자, P=피행위자) 분류하기 어려우므로, 이들 활격 언어의 언어 구조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몇몇 언어에서, "me fell," 은 덜 비인간적이고 더 감정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유형 편집

대부분 언어에서, 자동사 주어는 주어의 의지 정도 등에 관계없이 형태적으로 고정된 격을 갖지만, 대개 가장 일반적인 상황에 일치한다. 예를 들어, "수영하다"의 주어 논항은 항상 타동사의 주어, 즉 행위자처럼 취급될 것이다. 또한, "자다"의 주어 논항은 항상 직접목적어처럼, 즉 피행위자처럼 취급될 것이다. 다코타어에서, 활동동사(예를 들어 "달리다"와 같은)의 주어 논항은 대격언어에서처럼 타동사의 행위자처럼 취급되고, 비활동동사의 주어는("서다"와 같이) 능격언어에서와 같이 타동사 목적어처럼 취급될 것이다. 이런 언어에서, "뛰다"나 "삼키다"와 같은 동사의 주어는 설렁 그 행동이 자발적이지 않았더라도 활격으로 표시될 것이다. 이 유형은 split-S로도 알려져 있다.


다른 언어에서, 자동사 주어의 격표지는 의미론적 고려를 통해 화자가 정한다. 이런 언어에서는 어떤 자동사에서든, 화자는 자동사의 주어를 활격으로 표지할지 불활격으로 표지할지 정할 수 있다. 이런 언어들 중 몇몇은 불활격을 기본으로 사용하며, 활격은 행동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의지나 통제능력을 표지한다. 다른 몇몇은 활격이 기본으로 사용되는 반면에 불활격이 의지나 통제능력의 부재, 행동으로부터의 영향, 화자의 동정심 등을 표지한다. 이 두 유형(활격 기본과 불활격 기본)은 fluid-S로도 알려져 있다.

논항 표지 편집

Terminology 편집

나타나는 언어 편집

(†)는 사멸한 언어이다.

남아메리카 편집


중앙아메리카 편집

북미 지역 편집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편집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아체어 (인도네시아 아체와 말레이시아 페락 지역에서 쓰임, split-S type)
    • Kuanua어 (뉴브리튼 섬의 톨라이족에서 쓰임, split-S type)
    • many active languages of Central branch of this family are spoken in Eastern Indonesia
  • 파푸아 제어: 야와어 (Split-S)
  • 티베트버마어파:티베트 구어 (fluid-S)

코카서스 편집

다른 언어들 편집

  • 예니세이어족의 케트어 (split-S)

재구된 조어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Andréasson Daniel: Active languages, Department of Linguistics, Stockholm University
  • Bauer Brigitte L.M. 2000 Archaic Syntax in Indo- European: The Spread of Transitivity in Latin and French. Berlin /New York: de Gruyter
  • Blake Barry J. 1994: Survey of Case Marking: Active system, in: Blake B., Ca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126
  • Benveniste Emile 1971: Origines de la Formations des Noms en Indoeuropéen. Paris: Adrien- Maissonneuve171-172 from Lehmann 1995: 17
  • Castro Alves, Flávia de 2010: Evolution of Alignment in Timbira, in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76(4): 439-475
  • Dixon, R. M. W. (1979). “Ergativity”. 《Language》 55: 59–138. doi:10.2307/412519. 
  • Dixon, R. M. W. (1994). 《Erg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4898-0. 
  • Donohue, Mark; Wichmann, Søren, 편집. (2005), 《The Typology of Semantic Alignmen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38385 
  • Gamkrelidze Thomas V. / Ivanov Vjačeslav V. 1995 [1984]: Proto-Indo European as a Language of the Active Type, in Gamkrelidze Thomas V. / Ivanov Vjačeslav V.: Indo-European and the Indo-Europeans, Berlin / New York: Mouton de Gruyter, p. 233- 276
  • Gamkrelidze Thomas V. / Ivanov Vjačeslav V. 1995 [1984]: The grammatical syntagmatics of Proto-Indo European in typological perspective, in Gamkrelidze Thomas V. / Ivanov Vjačeslav V.: Indo-European and the Indo-Europeans, Berlin / New York: Mouton de Gruyter, p. 233- 276
  • Gante Christiane 2007: Objektkasus im Indogermanischen, Magisterarbeit an der Universitaet Hamburg, Grin Verlag 2008
  • Haas Mary R. 1946: A grammatical Sketch of Tunica, pp. 337–366 in Linguistic Structures of Native America, ed Harry Hoijer. New York: Viking, S.337-366, from Lehmann 1995
  • Harris A. 1981: Georgian syntax: a study in relational gramm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from Blake B. 1994
  • Harris, A. 1985: Diachronic syntax. Orlando: Academic Press, from Blake B. 1994
  • Hoijer Harry 1946: Charicahua Apache, Linguistic Structures of Native America, ed Harry Hoijer. New York: Viking, S. 55-84
  • Holisky, Dee Ann (1987). “The case of the intransitive subject in Tsova-Tush (Batsbi)”. 《Lingua71: 103–32. doi:10.1016/0024-3841(87)90069-6. 
  • Iliev, Ivan G. (2007) On the Nature of Grammatical Case ... (Case and Vocativeness)
  • Ivanova Natalia 2008: Impersonal Constructions as a Residue of an Active Language, Magisterarbeit, University of Hamburg (not published but there is a copy of the work in Moscow Russian State Library and two copies in Hamburger Staats- und Universitätsbibliothek, Teilbibliothek Allgemeine Sprachwissenschaft, Teilbibliothek Anglistik / Amerikanistik)
  • Klimov, Georgij A. 1973: Očerk obščej teorii ergativnosti (Outline of a general theory of ergativity). Moscow: Nauka
  • Klimov, Georgij A. 1974: On the Character of Languages of Active Typology, in Linguistics 131: 11-25
  • Klimov, Georgij A. 1977: Tipologija Jazykov Aktivnogo Stroja. Moscow: Nauka
  • Klimov, Georgij A. 1983: On contentive Typology [Principy contensivnoj tipologii] Moscow: Nauka
  • Langemann, Katrin 2004 Morphologie und Syntax der Nominativ- und Akkusativkasus im Indogermanischen, Magisterarbeit an der Universitaet Hamburg
  • Lehmann Winfred P. 1995: Residues of Pre-Indo-European Active Structure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ialects, Innsbruck
  • Lehmann, Winfred P. 1993: Theoretical Bases of Indo-European Linguistics. London: Routledge.
  • Lehmann, Winfred P. 2002: Pre-Indo-European (Journal of Indo-European Studies Monograph 41).
  • Mithun 1991 : Active / agentive case marking and its motivation, in Language 67: 510–546, p. 513, 515–516, from Blake 1994 : 126
  • Oliveira, Christiane Cunha de 2003: Lexical categories and descriptives in Apinajé, in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69: 243-274
  • Seki, Lucy 1990. "Kamaiurá (Tupí-Guaraní) as an active–stative language." In Doris L. Payne (ed.), Amazonian linguistics: Studies in lowland South American languages, 367–91.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외부 링크 편집

  • Active languages, by Daniel Andréasson, Department of Linguistics, Stockholm University